• 제목/요약/키워드: organic paddy field

검색결과 260건 처리시간 0.029초

이모작 벼 재배시 경운방법 및 관개량에 따른 쌀 수량, 토양특성에 대한 보릿짚 시용효과 (Effect of Barley Straw Application on Soil Properties, Rice Yield and Plowable Stress with Plowing Methods and Irrigation Rates in Barley- Rice Double Cropping System)

  • 양창휴;김병수;박우균;이덕배;류철현;김재덕;정광용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01-207
    • /
    • 2007
  • 답리작 보리재배 후 보릿짚을 시용하고 관개량, 경운방법을 달리하여 만추벼를 전북통에서 2년 동안 재배시 토양이화학성, 작업정도, 생육 및 수량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릿짚 시용 후 경운방법 및 관개량에 따른 작업정도는 마른로타리 1회 + 물 로타리 1회 처리구에서 경운 + 물 로타리 1회(관행)보다 보릿짚 피복정도가 적었고 결주율 2.6%, 부묘율 1.7% 낮았으며 관개량이 많을수록 결주율과 부묘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토양이화학성 변화는 마른로타리 1회 + 물 로타리 1회 처리구 심토에서 토양경도, 용적밀도가 낮아지고 공극율, 기상율이 증가되어 토양물리성이 개선되었으며 마른로타리 1회 + 물 로타리 1회 처리구에서 CEC가 높아지고 유기물, 유효인산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C/N율이 낮아져 토양화학성이 개량되었다. 경운방법에 따른 벼의 유효경비율은 마른로타리 1회 + 물 로타리 2회 > 마른로타리 1회 + 물 로타리 1회 > 경운 + 물 로타리 1회 > 물 로타리 1회 순으로 높았으며 쌀 수량은 $500Mg\;ha^{-1}$ 관개시 마른로타리 1회 + 물 로타리 1회, $700Mg\;ha^{-1}$ 관개시 마른로타리 1회 + 물 로타리 2회 처리구에서 수수 및 영화수 확보가 많았고 현미천립중이 무거워 경운 + 물 로타리 1회(관행) 대비 각각 7%, 5% 증수되었다.

경기지방(京畿地方)의 농업공해(農業公害)에 관(關)한 조사연구(調査硏究) 제1보(第1報) 황구지천유역(黃口池川流域)의 오수류입답(汚水流入畓)에서 질소수준(窒素水準)과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가 수도(水稻)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Agricultural Pollutions in Gyeong Gi Area 1. Effect of Nitrogen Level and Soil Improvements on Growth and Yield of Rice in the Paddy Field Irrigated with Polluted Water of Hwangguji River)

  • 최영진;조광동;박창규;박준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16-122
    • /
    • 1982
  • 1981년(年) 황구지천(黃口池川)의 수질(水質)을 조사(調査)하고 아울러 황구지천 유역(黃口池川 流域)의 오수 유입답(汚水 流入畓)에서 주구(主區)로 실소수준(室素水準)을 달리하고 세구(細區)로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의 종류(種類)를 달리하여 수양반응(收量反應)을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황구지천(黃口池川)의 수질(水質)은 중류(中流)인 안영리(安寧里)에서 파종기(播種期)에 COD 54ppm, $NH_4-N$는 6.5ppm이고 이앙기(移秧期)는 COD 52ppm, $NH_4-N$ 5.2ppm으로 기준치(基準値)를 상회(上廻)하였다. 수질오염(水質汚染)은 주(主)로 유기성 폐기물(有機性 廢棄物)의 유입(流入)에 의(依)한 것으로 생각된다. 2) 질소적량(窒素適量)은 NPK 3요소(要素)인 표준구(標準區) 7.2㎏/10a에 비(比)하여 가리배양(加里倍量)+규회석(珪灰石)+석회(石灰)+생고(生藁) 500 ㎏/10a인 종합개량구(綜合改良區)는 7.3㎏/10a, 석회구(石灰區)는 7.5㎏/10a, 규회석구(珪灰石區)에서는 8.2㎏/10a로 증가 경향(增加 傾向)이며 황구지천변(黃口池川邊)에서 수도재배시 질소량(水稻栽培時 窒素量)은 $7{\sim}8Kg/10a$가 적양(適量)이었다. 3) 질소적정 사용시(室素適正 施用時)의 수량(收量)은 NPK 3요소(要素)인 표준구(標準區) 569㎏/10a에 비(比)하여 3요소(要素)+석회(石灰)+규회석(珪灰石)+가리배양(加里倍量)+생고(生藁) 500㎏/10a인 종합개량구(綜合改良區) 8%, 석회구(石灰區) 5%, 가리배양구(加里倍量區)에서 4% 증수(增收)하였다.

  • PDF

벼-자운영 연속 무경운 직파재배에서 자운영 이용방법 차이가 토양 및 벼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Vetch Sward Treatments on Soil and Rice Growth in No-till Direct-sown Rice-Vetch Interrelaying Cropping Systems)

  • 홍광표;김장용;강동주;강남대;최진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64-570
    • /
    • 1997
  • 두과식물인 자운영을 논에 재배하여 유기물 및 질소공급원으로 활용함과 동시에 피복식물로서 잡초방제등 부수적인 효과를 얻기 위하여 자운영 방치, 예취 제거 등 그 이용방법을 달리하여 1995년과 1996년 2년동안 경상남도농촌진흥원 포장에서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험후 토양화학성은 자운영 이용방법의 차이에 따라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며, 토양심도별로 비교하여 보면 pH와 Ca, Mg는 심토(10~20cm)에서, 유기물과 P$_2$ $O_{5}$, K는 표토(0~10cm)에서 그 함량이 높았다. 2. 토양의 산화환원전위는 자운영 예취구의 담수초기 때 심한 환원상태를 보이다가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그 정도가 완화되는 경향이었으며, 자운영을 방치하였을 경우 다른 처리에 비하여 환원 정도가 더 심하였고, 최고분얼기경에 다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3. 잡초방제후 최고분얼기경 잡초발생은 자운영 방치답에서 가장 많았고, 다음이 예취후 제거답이었으며, 비선택성 제초제를 살포하여 자운영을 고사시킨 답에서는 그 발생량이 가장 적었다. 4. 벼 입모율은 자운영 재배답에서 가장 낮았고, 출수기 때의 생육은 각 처리간 비슷하였으며, 수량은 자운영 경운답에서 가장 높고, 다음이 관행 경운답이었으며, 자운영을 방치 혹은 예취후 제거하거나 비선택성 제초제를 살포하여 고사시킨 답에서 다소 감수되는 경향이었다.

  • PDF

돈분액비의 시용수준이 벼 생육과 품질 및 토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lication Rates of Liquid Pig Manure on Rice Growth, Quality and Soil Properties)

  • 류종원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67-682
    • /
    • 2014
  • 본 연구는 돈분액비의 시용수준이 벼의 생육, 수량구성요소, 수량, 미질과 토양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돈분액비의 시용수준은 벼의 추천 질소시용량인 9kg N/10a를 기준으로 하여 화학비료 질소 총량을 돈분액비로 대체하는 방법, 즉 100%, 130%, 160% 시용구를 두어 시용시험을 수행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초장과 분얼수는 돈분액비 100, 130% 시용구에서 화학비료와 대등하였다. 돈분액비 160% 시용구는 화학비료 시용구 보다 분얼수가 많았고 초장이 큰 과번무 상태를 나타내었다. 백미수량은 돈분액비 100% 처리구에서 410 kg/10a으로 화학비료 처리구에 비해 3% 낮은 수준을 보였으나 돈분액비 130% 처리구는 화학비료처리구와 대등한 수량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돈분액비 160% 처리구에서 화학비료를 시용한 구에 비해 5%의 수량 감소가 있었는데 등숙율 및 천립중 저하가 수량감소의 원인이었다. 백미의 단백질 함량은 돈분액비 100% 시용구에서 6.8%로 화학비료 처리구의 6.9%와 유사하였다. 그러나 돈분액비 130, 160% 시용구에서 7.20~7.68%로 높은 수준이었다. 식미치는 돈분액비 100% 시용구가 73.7로 가장 좋았고 돈분액비 160% 처리구에서 66.9로 식미치가 낮았다. 완전미 비율이 가장 높은 처리구는 화학비료구로서 92.2%이었던 반면 돈분액비 100, 130% 처리구에서는 약간 감소하였다. 돈분액비 160% 처리구의 완전미 비율이 88.9%로 가장 낮았는데, 주원인은 활청미의 비율이 높았기 때문이었다. 현미의 무기성분 중 질소농도는 0.92~0.99% 범위이었는데 처리간 유의적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벼의 10a당 질소흡수량은 화학비료시용구에서 15.1 kg으로 돈분액비 100% 시용구의 12.5 kg보다 높은 흡수량을 나타냈다. 돈분액비 100%, 130% 시용구의 토양 중금속 함량은 화학비료 시용구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돈분액비 160% 시용구 토양의 아연, 구리, 비소 함량은 화학비료 시용구 보다 높았다. 따라서 벼의 수량과 품질지수 측면에서는 돈분액비 130%가 유리하였다. 돈분액비 160% 시용구에서는 등숙률과 천립중이 낮아지므로 수량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돈분액비의 양분 이용률을 고려 할 때 130% 범위에서 시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벼의 수확량과 품질 그리고 토양의 중금속함량 감소에 유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그러나 돈분액비 160% 시용구 토양의 아연, 구리, 비소 함량은 화학비료 시용구보다 높았다. 따라서 벼의 수량과 품질지수 측면에서는 돈분액비 130%가 유리하였다. 돈분액비 160% 시용구에서는 등숙률과 천립중이 낮아지므로 수량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돈분액비의 양분 이용률을 고려 할 때 130% 범위에서 시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벼의 수확량과 품질 증대, 그리고 토양의 중금속함량 감소에 유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분해성 피복자재의 멀칭처리가 벼 생육 및 지렁이 생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lching with Easily-Decomposable Organic Materials on the Rice Growth and Earthworm Ecology Characteristics in Paddy Fields)

  • 남홍식;이상범;박광래;홍승길;강충길;손진관;김석철
    • 유기물자원화
    • /
    • 제22권4호
    • /
    • pp.72-86
    • /
    • 2014
  • 본 연구는 벼 재배에서 유기물함유 피복자재의 멀칭처리가 벼 생육 및 수량과 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피복 자재의 원료 및 색상에 따라 쌀함유, 전분함유(투명색과 검정색), 광물질함유, 일반 비닐의 멀칭 처리구와 무피복(관행 및 유기재배) 대조구를 설정하였다. 처리구에 따라 벼의 생육과 수량이 상이하였는데, 벼의 수량은 쌀함유 피복($6.51ton\;ha^{-1}$)과 일반 비닐($6.47ton\;ha^{-1}$)이 가장 높았고, 전분함유 투명 피복($6.25ton\;ha^{-1}$)와 광물질 함유 피복($6.20ton\;ha^{-1}$)이 관행 제초구($6.15ton\;ha^{-1}$)과 유사하였으며, 전분함유 검정 피복($4.93ton\;ha^{-1}$)은 관행 제초구 보다 낮았다. 벼 재배 기간 중 토양의 평균 온도는 $23.6{\sim}24.1^{\circ}C$로 쌀함유 피복에서 가장 높았으며, 토양의 누적온도 역시 쌀함유 피복에서 다른 처리보다 높았다. 토양 이화학성 중 전기전도도, 유기물 함량, 인산 함량 등도 처리간 차이가 있었다. 쌀함유 피복구에서 지렁이에 의한 분변토 생성량($17.7kg\;m^{-2}$)이 다른 처리구($5.5{\sim}9.8kg\;m^{-2}$) 보다 많은 특성을 보였다. 따라서, 벼 수량과 논 토양의 지렁이 활동 측면에서 쌀함유 피복의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Effects of Integrated Soil Amelioration Techniques to Mature Newly Established Research Fields

  • Jung, Sug-Jae;Hyun, Byung-Keun;Sonn, Yeon-Kyu;Cho, Hyun-Jun;Choi, Jung-Won;Lee, Pyeong-Ho;Lim, Dong-Hyuk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08-217
    • /
    • 2016
  •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moved to Jeonju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land. This situation required establishment of new research fields with soils appropriate to cultivation. We applied a variety of amelioration techniques to mature soils of new research field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NAS) and evaluated effects of the integrated amelioration techniques. The schedule of amelioration was following: 1) location of research fields was determined, 2) surface and subsoil samples were collected separately, 3) after aligning the top level of research fields, subsoil and surface soil were re-established with soil amendment, 4) the green manure crops were grown four seasons to improve the uniformity and increase the organic content of the research field, and 5) drainage canal and/or underdrainage were applied to poorly drained fields. The last green manure crop was rape in RDA fields and green barley in NAS fields. The average height, fresh weight, and dry matter weight of rape in good condition were 123 cm, $3,938kg\;10a^{-1}$, and $651kg\;10a^{-1}$, respectively. The height, fresh weight, and dry matter of green barley, on average, were 97 cm, $3,013kg\;10a^{-1}$, and $1,004kg\;10a^{-1}$, respectively. In the chemical properties of paddy field, pH and levels of silicate, calcium, magnesium, and potassium were in appropriate range but organic matter content of $16g\;kg^{-1}$ was less than the optimum level. In the chemical properties of upland field, pH and levels of phosphorus, calcium, magnesium, and potassium were appropriate range but organic matter content of $12g\;kg^{-1}$ was less than the optimum range. Evaluation of well-adapted soil was performed. The field in RDA was classified into the superior class with points ranging from 90 to 95 by the field evaluation test. The fields in NAS were mainly evaluated as the superior class with points greater than 85. However, some fields in NAS remained low quality with scores between 80 and 83. Further soil amelioration practices were suggested to fields with low soil quality.

마늘 재배지토양중(栽培地土壤中) SO4-2의 분포(分布) (The Distributions of SO4-2 in the Cultivating Soils of Garlic)

  • 장기철;장상문;최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21-326
    • /
    • 1987
  • 황(黃)의 시비체계(施肥體系)에 대(對)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경북도내(慶北道內)의 마늘재배지(栽培地) 답(畓)과 전토양(田土壤)을 표토(表土)와 심토(心土)로 구분(區分)하여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 및 이들과 $SO_4{^{-2}}$ 함량(含量)과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하였다. 토양중(土壤中)의 $SO_4{^{-2}}$ 평균함량(平均含量)은 표토(表土) 및 심토(心土)에서 각각(各各) 답토양(畓土壤)의 경우 72.1 및 45.1ppm, 전토양(田土壤)의 경우 53.1 및 19.5ppm이었다. 답토양(畓土壤)의 경우 $SO_4{^{-2}}$ 함량(含量)은 표토(表土)에서 유기물(有機物), 전질소(全窒素) 및 치환성(置換性) 가리함량(加里含量)(1%) 치환성(置換性) Ca 및 Mg의 함량(含量)(5%), 심토(心土)에서 치환성(置換性) Ca, Mg, 및 Fe의 함량(含量)(1%), 전질소함량(全窒素含量)(5%)과 각각(各各) 정(正)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전토양(田土壤)의 경우 $SO_4{^{-2}}$ 함량(含量)은 표토(表土)에서 유기물(有機物) 및 전질소함량(全窒素含量)(5%)과는 정(正)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으나, 그 외의 화학성(化學性)과는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Ca^{{+}{+}}$$Mg^{{+}{+}}$ 함량(含量)은 토심(土深)이 깊어질수록 증가(增加)하였지만, $K^+$ 함량(含量)은 표토(表土)에 비(比)하여 토심(土深)이 깊어질수록 급격히 감소(減少)하였다. $SO_4{^{-2}}$는 1m 깊이 까지는 많은 양(量)이 존재(存在)하였으나, 유효인산(有效燐酸)은 표토(表土)에 비(比)하여 토심(土深)이 깊어질수록, 급격히 감소(減少)하였으며 토심(土深) 60cm 이상에서는 극미량(極微量)의 유효인산(有效燐酸)만이 존재(存在)하였다.

  • PDF

생물자원의 논 잡초 생물학적 방제 효과와 그에 따른 수서동물과 곤충 종수 및 벼 수량 변화 (Effects of Biocontrol Agents on Weed Control, Abundance of Aquatic Animals and Insects, and Yield in Paddy Rice Fields)

  • 최효정;서상영;최선우;이창규;엄미정;김주희;안민실;최우정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63-70
    • /
    • 2023
  • Golden apple snails (Pomacea canaliculat) (GAS) are widely used for weed control in rice cultivation. However, concerns on the ecological risk of invasive GAS species are increasing.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overall impacts of GAS on weed control, abundance of aquatic animals and insects, and rice yield, in comparison with that from other biocontrol agents such as loach (Misgurnus mizolepis) and catfish (Silurus asotus), which are alternatives for biological weed control in rice paddy cultivation. Field experiments included five treatments; control, herbicide, GAS, loach, and catfish. During the rice growth, weed appearance and biological abundance were monitored, and at harvest, the rice yield was determined. Weed control efficiency was the highest for GAS treatment (100%), followed by that for herbicide (95.8%), loach (57.5%), and catfish treatments (31.7%). Insect abundance was considerably decreased in GAS treatment due to heavy weed removal, which affects the habitat of aquatic animals and insects. The amount of rice yield (unit: kg 10 a-1) was in the order of GAS (798.9) > loach (708.1) = herbicide (700.7) > catfish (629.4) > control (496.0). Therefore, considering the weed control efficiency, biological abudance, and rice yield, loach could be a potential alternative for biological weed control in organic rice farming. However, the activity of the biocontrol agents are susceptible to environmental conditions; therefore, further studies under different conditions are essential to confirm these findings.

친환경 벼 재배지에서 왕우렁이(Pomacea canaliculata) 안전사용을 위한 시기별 논 관리요령 (Seasonal Paddy Management Options for the Safe Use of Golden Apple Snails (Pomacea canaliculata) in Eco-friendly Rice Cultivation)

  • 이진희;최덕수;김효정;조아해;김지인;홍성준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13-426
    • /
    • 2023
  • 본 연구는 친환경 벼 재배지에서 왕우렁이의 생태계 유출을 예방하며 논잡초 제거를 위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 개발을 위하여 2021년부터 2023년까지 3년 동안 연구하였다. 전남 남부지역에서 벼를 심은 후 논에 넣은 왕우렁이 치패는 7월 중순경 성패가 되어 산란을 시작한다. 이 개체는 물이 마르지 않은 배수로에서 월동할 수 있지만, 7월 중순 이후 부화한 개체는 월동할 수 있을 만큼 성장하지 못한다. 배수로에서 월동한 왕우렁이의 크기는 각고 2.5 cm 이상이었다. 입수구에 그물망을 설치하면 왕우렁이 유입을 95% 차단할 수 있었고, 배수구에 개량물꼬와 그물망 설치로 유출차단효과는 99%였다. 중간물떼기와 수확 전 논 건조할 때 동력논배토기로 물길을 만들었다. 물길에 유인되어 수거한 왕우렁이는 59.5%이었고, 물길조성과 왕우렁이 수거작업은 130분이 소요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에서 왕우렁이 안전사용을 위한 시기별 논 관리요령을 제시하였다. 이앙 전(4월 하순~5월 하순)에는 논둑정비, 입수구 물꼬차단망과 배수구 개량물꼬 설치, 월동 왕우렁이 방제, 이앙기(5월 하순~6월 상순)는 논둑에서 30 cm 안쪽으로 30일묘 이앙, 이앙 5일 후 치패 1.2 kg/10a 투입, 중간물떼기(7월 상중순)에는 물길 조성하여 왕우렁이 수거, 재배 후기(7월 하순~9월 중순) 수위 조절, 물길 조성하여 왕우렁이 수거 또는 유기농업자재 활용 방제, 수확 후(10월 중순~4월 중순)에는 논 깊이갈기 및 건조관리이다.

유기물 시용이 토양 내 비소의 용해도와 벼의 비소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ganic matter addition on the solubility of arsenic in soil and uptake by rice: a field-scale study)

  • 류지혁;김단비;김원일;김성철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4호
    • /
    • pp.439-446
    • /
    • 2021
  • 유기물 시용이 논토양 내 비소의 용해도와 벼의 비소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한 포장시험을 수행하였다. 유기물(미강, 볏짚, 돈분퇴비, 우분퇴비, 계분퇴비 및 가축분뇨액비)을 토양 중 총 비소 농도가 53 mg kg-1 (highly polluted, 고농도) 및 28 mg kg-1 (polluted, 저농도)인 논토양에 시용한 결과, 고농도 비소 토양의 경우 벼의 유수형성기-등숙기 기간 토양용액 중 비소 농도는 돈분퇴비, 가축분뇨액비 및 미강 처리에서 0.61-1.15 mg L-1로 무처리구의 0.42-0.66 mg L-1에 비해 최대 약 1.7배의 유의한 농도 차이를 보였다. 저농도 비소 토양의 토양용액 중 비소 농도는 0.12-0.50 mg L-1로 고농도 토양에 비해 약 50-70% 낮았으며 무처리구와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토양용액 중 비소 농도의 증가는 비소와 결합한 철 (수)산화물의 환원적 용해로 인한 결과로 보이며 유기물의 탄질비와 비소 농도 사이에는 상관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고농도 및 저농도 비소 토양에서 수확한 현미의 비소 평균 농도는 0.35-0.46 mg kg-1 범위로 대부분의 처리에서 무기비소에 대한 코덱스의 안전기준인 0.35 mg kg-1을 초과하였고 토양 오염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무처리구에 비해 유기물 처리구의 농도가 높은 경향이었다. 현미 중 비소와 토양용액 중 비소 농도와의 뚜렷한 상관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는 비소에 대한 벼의 내성 발현에 따른 비소의 흡수 감소, 또는 알곡으로의 이행이 감소한 결과로 추측되었다. 그러나, 유기물 시용 후 토양 내 비소의 용해도 증가와 대부분의 유기물 처리에서 현미 중 비소 농도의 증가 경향이 나타나 토양의 비소 농도가 높은 경우 유기물 시용시 적정량 시용 등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