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c electrolyte

검색결과 273건 처리시간 0.021초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이온성 액체 젤형 고분자전해질의 제조 및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Gel Polymer Electrolyte from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in Sonic Liquid)

  • 신보라;조미숙;김덕준;심상준;김지흥;이동현;남재도;이영관
    • 폴리머
    • /
    • 제29권2호
    • /
    • pp.216-22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PEGDA) 고분자 매트릭스에 이온성 액체인 1-butyl-3-methyl-imidazolium bis((trifluoromethyl) sulfonyl) amide$(BuMeIm^+Tf_2N^-)$로 구성된 전해질 용액을 함유하는 젤 형태의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이온성 액체가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기존의 유기 용매를 넣은 고분자 전해질보다 높은 이온 전도도$(ca.\;10^{-3}S/cm)$와 전기 화학적 안정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다공성 그물구조 음극을 이용한 구리 전착에 관한 연구 (II) -유기첨가제 PEG, MPS의 영향 - (Electrodeposition of Copper on Porous Reticular Cathode (II) - Effect of PEG and MPS on throwing Power-)

  • 이관희;이화영;정원용
    • 전기화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41-46
    • /
    • 2001
  • 황산과 황산구리 수용액을 전해질로 사용하여 다공성 그물구조 금속을 전기화학적으로 제조하였으며, 이때 균질 전착에 영향을 미치는 첨가제 PEG, MPS의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분극실험과 기공의 평균 직경이 $250{\mu}m$의 그물구조 전극을 여러장 적층하여 throwing power를 정량화 한 결과, PEG의 경우 분극 초기에 전극에서 탈착됨으로써 오히려 throwing power를 감소시키고 MPS는 500ppm까지 용액 중 첨가량의 증가와 함께 throwing power를 향상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MPS와 PEG가 동시에 혼합된 용액에서는 MPS의 효과가 우선적으로 나타나며 PEG의 효과는 무시할 정도였다 그러나 MPS의 첨가는 전착층의 균열을 유도하여 기계적 강도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며 균열을 피하려면 50ppm 이하가 적정함을 SEM 관찰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리튬 이차전지용 고체전해질 개발 동향 (Research Trend of Solid Electrolyte for Lithium Rechargeable Batteries)

  • 서순성;이철우;김건
    • 전기화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1
    • /
    • 2012
  • 최근 리튬이차전지는 높은 에너지 밀도와 고용량화되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친환경 수송 장치의 전기자동차가 주목 받고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리튬이차전지의 많은 성능개선이 요구된다. 현재 리튬이차전지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Hybrid Electric Vehicle, HEV)'에 실제 적용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 높은 용량, 긴 수명, 그리고 안전성 확보가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현재 리튬이차전지에서 리튬이온의 이동을 위해 사용하는 유기전해액의 과열 및 과충전 상태에서 폭발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기에 높은 안전성을 가진 고체전해질로의 대체가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리튬이차전지의 안정성 및 성능 개선을 위한 고체전해질의 연구 동향과 출원된 특허 및 논문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Thermal Behavior of LixCoO2 Cathode and Disruption of Solid Electrolyte Interphase Film

  • Doh, Chil-Hoon;Kim, Dong-Hun;Lee, Jung-Hun;Lee, Duck-Jun;Jin, Bong-Soo;Kim, Hyun-Soo;Moon, Seong-In;Hwang, Young-Gi;Veluchamy, Angathevar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0권4호
    • /
    • pp.783-786
    • /
    • 2009
  •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and ion chromatography(IC)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thermal behavior of $Li_xCoO_2$ cathode material of lithium ion battery. The mass loss peaks appearing between 60 and 125 ${^{\circ}C}$ in TGA and the exothermic peaks with 4.9 and 7.0 J/g in DSC around 75 and 85 ${^{\circ}C}$ for the $Li_xCoO_2$ cathodes of 4.20 and 4.35 V cells are explained based on disruption of solid electrolyte interphase (SEI) film. Low temperature induced HF formation through weak interaction between organic electrolyte and LiF is supposed to cause carbonate film disruption reaction, $Li_2CO_3\;+\;2HF{\rightarrow}\;2LiF\;+\;CO_2\;+\;H_2O$. The different spectral DSC/TGA pattern for the cathode of 4.5 V cell has also been explained. Presence of ionic carbonate in the cathode has been identified by ion chromatography and LiF reported by early researchers has been used for explaining the film SEI disruption process. The absence of mass loss peak for the cathode washed with dimethyl carbonate (DMC) implies ionic nature of the film. The thermal behavior above 150 ${^{\circ}C}$ has also been analyzed and presented.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의 총설 (Review on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 이재훈;박철훈;이창수;김종학
    • 멤브레인
    • /
    • 제29권2호
    • /
    • pp.80-87
    • /
    • 2019
  •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으로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효율과 장기 안정성은 전극 물질과 전해질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데 본 총설에서는 전해질에 초점을 두어 서술하고자 한다. 고분자 전해질막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서 기존의 액체 전해질을 대체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시되어 왔다. 기존의 액체 전해질은 높은 효율을 나타낼 수 있지만 장기적인 안정성 문제와 누액 문제로 인해 고분자 전해질막에 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매년 이와 관련된 논문들이 활발히 보고되고 있다. 본 총설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위한 고분자 전해질막의 개념과 개발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다루고 있으며 고분자 매트릭스의 개질, 유-무기 가소제 및 이온성 액체와 같은 첨가제의 도입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효율과 전기화학적 특성에 대해서도 최근의 연구들이 정리되어 있다.

하수방류수 내 TOC 제거를 위한 전기분해공정의 최적 조건 (Optimal Condition of TOC Removal Parameter for Sewage Effluent using Electrolysis Process)

  • 안상우;정혁상;이희경;고준걸;명대원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23-29
    • /
    • 2017
  • 2013년 환경 정책 개정에 따라 총유기탄소(TOC)항목이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에 도입되었으며, 이러한 정책 시행에 따라 공공하수처리시설에서의 TOC에 대한 수질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실험실 규모 전기분해공정에서 전기화학적 반응을 이용하여 하수방류수 내 TOC 제거특성을 살펴보았다. 실험실 규모의 전기분해공정에서의 실험 결과를 반응표면법에 적용하여 방류수 내 TOC 제거 특성분석을 실시하였다. 중심합성에 사용된 독립변수로는 전해공정의 주요 운전인자인 전극간격($x_1$), 전류밀도($x_2$), 전해질의 농도($x_3$)를 선정하였으며, 종속변수로는 TOC 제거효율(y)이다. 전해공정에서 최적화 조건은 전극간격 50mm, 전류밀도 $10.3mA/cm^2$, 전해질의 농도 0.1M로 조사되었다. 통계학적 결과를 바탕으로 독립변수는 전극간격 > 전류밀도 > 전해질농도의 순으로 작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hase Pure NiO Nanoparticles via the Combustion Route using Different Organic Fuels for Electrochemical Capacitor Applications

  • Srikesh, G.;Nesaraj, A. Samson
    • Journal of Electrochem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권1호
    • /
    • pp.16-25
    • /
    • 2015
  • Transition metal oxide nanocrystalline materials are playing major role in energy storage application in this scenario. Nickel oxide is one of the best antiferromagnetic materials which is used as electrodes in energy storage devices such as, fuel cells, batteries, electrochemical capacitors, etc. In this research work, nickel oxide nanoparticles were synthesized by combustion route in presence of organic fuels such as, glycine, glucose and and urea. The prepared nickel oxide nanoparticles were calcined at 600℃ for 3 h to get phase pure materials. The calcined nanoparticles were preliminarily characterized by XRD, particle size analysis, SEM and EDAX. To prepare nickel oxide electrode materials for application in supercapacitors, the calcined NiO nanoparticles were mixed with di-methyl-acetamide and few drops of nafion solution for 12 to 16 h. The above slurry was coated in the graphite sheet and dried at 50℃ for 2 to 4 h in a hot air oven to remove organic solvent. The dried sample was subjected to electrochemical studies, such as cyclic voltammetry, AC impedance analysis and chrono-coulometry studies in KOH electrolyte medium. From the above studies, it was found that nickel oxide nanoparticles prepared by combustion synthesis using glucose as a fuel exhibited resulted in low particle diameter (42.23 nm). All the nickel oxide electrodes have shown better good capacitance values suitable for electrochemical capacitor applications.

유기첨가제에 의한 전기도금 퍼말로이 박막의 물성변화 (Properties Change of Electroplated Permalloy Thin Films by Organic Additives)

  • 방원배;배종학;홍기민;고영동;정진석;이희복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33-136
    • /
    • 2007
  • 퍼말로이 도금용 순수전해액에 유기첨가제(organic additive)를 첨가하여 제작된 박막의 물성과 자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일정한 도금조건에서 특정한 유기첨가제를 첨가하여 도금한 퍼말로이 박막은 순수한 전해액으로만 제작된 박막과는 결정성과 표면 거칠기가 달라진다. 그 결과로 도금 박막의 보자력 등 자기적 특성이 변화하였다. 유기첨가제에 의한 이러한 특성 변화는 자기임피던스 비율을 최대 20%까지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Electrodeposition of Cobalt Nanowires

  • Ahn, Sungbok;Hong, Kimi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4권3호
    • /
    • pp.927-930
    • /
    • 2013
  • We developed an electroplating process of cobalt nanowires of which line-widths were between 70 and 200 nm. The plating electrolyte was made of $CoSO_4$ and an organic additive, dimethyldithiocarbamic acid ester sodium salt (DAESA). DAESA in plating electrolytes had an accelerating effect and reduced the surface roughness of plated cobalt thin films. We obtained void-free cobalt nanowires when the plating current density was 6.25 mA/$cm^2$ and DAESA concentration was 1 m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