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c acid

검색결과 4,363건 처리시간 0.04초

호박을 첨가하여 제조한 고추장의 숙성 중 성분 변화 및 관능적 특성 (Sensory Evaluation and Changes in Physiochemical Properties, and Microflora and Enzyme Activities of Pumpkin-added Kochujang)

  • 주종재;신현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851-859
    • /
    • 2000
  • 순창식 식혜고추장의 담금 과정에서 식혜액 제조시 찹쌀의 일부를 건조완숙호박으로 대체하여(고추장 총 무게비로 1, 2, 5% 수준) 제조한 고추장을 $25^{\circ}C$에서 120일간 숙성시키면서 30일 간격으로 이화학적 특성 및 미생물 그리고 효소활성도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관능적특성은 숙성 120일째에 조사하였다. 숙성 중 고추장의 수분함량은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다. pH는 담금 초기부터 서서히 감소하다가 숙성 90일에 약간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그 후 다시 감소하였다. 적정산도는 숙성 중 서서히 증가하여 숙성 90일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다가 숙성 120일에는 약간 감소하였다. 호박 첨가에 의해 고추장의 pH는 낮아지고 적정산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호박중의 유기산에 기인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숙성이 진행되는 동안 환원당 함량은 계속 증가하여 숙성 120일에는 대조구가 20.82%, 1% 호박첨가구가 21.34%, 2% 호박첨가구가 22.73% 그리고 5% 호박첨가구가 24.48%로 분석되었다. 아미노태 질소는 숙성 기간 중 서서히 증가하여 숙성 120일에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환원당과 아미노태 질소는 호박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높아졌으며, 에탄올 함량도 호박 첨가에 의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효모수나 세균수 그리고 효소 활성도는 호박 첨가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관능적 특성에 있어 호박첨가는 고추장의 색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냄새, 구수한 맛, 매운맛, 단맛, 짠맛 그리고 전체적인 기호도 등의 항목에서는 대조구, 1% 호박첨가구, 2% 호박첨가구 그리고 5% 호박첨가구 사이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는 않았으나 단맛의 경우에는 호박첨가량에 비례적하여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구수한 맛의 경우에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호박첨가량이 낮은 수준에서는 오히려 대조구에 비해 낮게 평가되는 등 다소 복잡한 양상을 보였다. 예상과는 달리 고추장의 전체적인 기호도는 호박첨가에 의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나지는 않았다.

  • PDF

발효온도가 사과와인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mentation Temperature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Apple Wine)

  • 곽한섭;서재순;배혜정;이화종;이영승;정윤화;김미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55-159
    • /
    • 2016
  • 본 연구는 사과와인의 제조 시 술덧의 발효 온도에 따른 발효 기간 동안의 이화학 특성, 알코올 생성량, 발효 후 메탄올과 아세트알데하이드 생성량을 분석하여 사과와인의 품질특성을 알아보았다. 저온발효($15^{\circ}C$)의 경우 알코올 생성량이 낮게 나타나 $20^{\circ}C$$25^{\circ}C$의 발효보다 비경제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총산의 함량이 높아 사과와인의 향미가 강할 것으로 생각된다. 20 및 $25^{\circ}C$의 발효 온도에서 pH, 총산 함량, 알코올 함량 및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유사하였다. 또한 알코올 생성량이 $15^{\circ}C$에서의 발효보다 높아 사과와인 생산비가 절감될 것으로 생각된다. 메탄올의 생성은 발효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에탄올 생성과정의 일부로 0.68 mg/L에서 1.69 mg/L로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으나, 아세트알데하이드 함량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3.43 mg/L에서 1.02 mg/L로 감소하였다. 알코올 및 유해물질 생성량을 고려할 때 $20^{\circ}C$ 내외의 발효가 사과와인 제조에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도장철근의 부착강도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초기재령에서의 PCS 도장재 배합조건 (Mix Design Conditions at Early Curing Age of PCS-Coating Material Effected on Improvement in Bond Strength of Coated Rebar)

  • 조영국;박동열;김완기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73-80
    • /
    • 2013
  • 이 연구는 폴리머 시멘트 슬러리로 도장한 도장철근의 부착강도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초기재령에서의 PCS 도장재 배합에 관한 연구로 폴리머의 종류, 시멘트의 종류, 폴리머 시멘트비, 도장재의 양생재령, 도장두께 등을 변화시켜 배합을 설정하여 부착강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 결과, PCS 도장철근의 부착강도는 거의 모든 배합에서 도장하지 않은 보통철근 및 에폭시철근에 비해 높은 부착강도를 나타냈다. 도장철근의 최대 부착강도는 보통철근에 비해 1.52배, 에폭시 철근에 비해 1.58배로 높게 나타났으며, 도장두께는 $100{\mu}m$에서 우수하였으며, 시멘트는 초조강 시멘트, 폴리머는 EVA, 폴리머 시멘트비는 80%~100% 범위에서 우수한 부착강도를 나타냈다. 또한 양생재령에 있어서는 3시간의 단시간 양생에 의한 부착강도도 양생재령 1일 및 7일에 비해 열악하지 않고 동등이상의 부착강도를 나타내 실제 현장에서의 사용성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황토의 인흘착 성능평가

  • 허영오;손지호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1997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프로그램
    • /
    • pp.65-66
    • /
    • 1997
  • 우리나라의 대부분 하천과 인공댐의 경우 조류발생에 기여하는 영양염은 질소, 인 그리고 규소 등인데 특히 인이 생산제한 인자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인을 적절히 제거할 경우에는 조류 발생에 의한 수질의 악화와 수이용의 저해요인을 배제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다. 지금까지와 연구는 인의 화학적 응집 침전법, 생물학적 처리법에 대하여 수행되어 왔으나 설비자금, 운영비, 운전기술, 슬러지 생성 그리고 제거효율 등에서 만족스런 결과가 도출되지 못하여 현장 적용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우리의 자연 환경에서 쉽게 자할 수 있는 황토를 모재로하여 Al3-과 Fe3-, Ca2-을 적절히 배합하여, 주로 인을 선택적으로 제거하 고자 개발된 황토의 흡착능력 그리고 흡착 메카니즘에 대한 기본적인 연구를 하고자 (1) 등온흡착실험을 통하여 흡착용량을 평가하고 (2) 흡착제거속도를 평 가하였고 (3)파과시간 및 흡착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column 흡착실험을 하였다 또한 (4) 황토내의 Al3-, Fe3-과 Ca2- 등이 인의 화학적 흡착에 기여하는 정도를 파악하여 흡착메카니즘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흡착용량실험을 위하여 PO3-4-P 농도 3ppm의 용액 200mf에 황토 0.2g, 0.5g, 1.0g, 2.0g을 각각 투여한 후 충분한 흡착평형이 일어나게 24시간 동 안 130rpm으로 $25^{\circ}C$ 등온반웅조에서 저어주어 흡착평형에 도달하면 상등액을 GF/C Filter로 여과한 후, 여액에 대해 PO3-4-P의 농도를 Ascrobic he건법으로 측정한 결파, Freundlich 등온흡착식에 의하면 K값은 17.34와 16.28이었으며 1/n 값은 1.32와 1.42로 인흡착 성능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흡착속도 실험은 PO3-4-P 농도 1.5ppm의 용액 2f에 259의 황토를 투여하고 충분한 혼합이 일어날 수 있도록 170rpm으로 교반하면서 시간별 용액 의 농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 0.45mg/g/m교의 속도로 15분만에 94.3%의 인 제거 효율을 보였다. 셋째, 직경 12mm의 glass column에 황토를 209 채우고 1.5ppm의 PO34P 용액을 2.Sne11in의 유량으로 통수 시킨 후, 시간에 따른 농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 원수 농도의 50%에 해당하는 파과점까지 약 70시간 만에 도달하였다. 넷째, Al3-, Fe3-과 Ca2- 등이 화학적 흡착에 기여하는 정도를 파악하기 위 하여 황토 2g에 대하여 Hieltijes and Lijklema 방법에 의해 Adsorbed-p, Nonapatite inorganic-P(NAI-P), Apatite-p, Organic-P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총인(Total Phosphorus)을 Standard Methods에 따라 Persulfate digestion후 0.45 m membrane 여지 여과하여 여액에 대해 PO3-4-P의 농도를 Ascorbic Acid 법으로 측정한 결과, NAI-P가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고, 부원료로 첨가된 금속 양이온 중 Fe3-이온이 흡착에 기여하는 정도가 가장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버섯 수확 후 배지의 수도용 상토로써의 활용가능성 평가 (Evaluate spent mushroom substrate for raising bed soil of rice)

  • 오태석;박윤진;김태권;김창호;조용구;김성민;신동일;구한모;장명준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50-255
    • /
    • 2015
  • 버섯 수확 후 배지의 수도용상토의 부재료로써 활용가능성을 확인한 결과 버섯 수확 후 배지는 유기물함량이 60.72%이었으며 질소-인산-칼륨이 1.39-0.89-0.81%의 화학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버섯 수확 후 배지의 안정화과정에서는 온도는 20일 경과시점에서 pH의 상승과 온도하강이 이루어졌으며 발아지수도 77로 확인되어 버섯 수확 후 배지를 수도용 상토의 재료로 활용 시에는 20일 이상의 안정화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벼 종자의 발아특성에서는 일반적인 수도용상토 재료로 제조된 대조구와 비교시에 버섯 수확 후 배지가 10% 이내로 혼합된 실험구들이 발아율은 82%이상이었으며 평균 발아일수와 발아세에도 통계적 유의차가 없거나 대조구보다 양호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초기생육에서도 버섯 수확 후 배지가 10% 이내로 혼합된 처리구의 지상부건물중과 묘소질이 대조구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버섯 수확 후 배지는 수도용상토의 재료로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Influence of Cilnidipine on Catecholamine Release Evoked by Cholinergic Stimulation and Membrane Depolarization in the Perfused Rat Adrenal Gland

  • Lim, Dong-Yoon;Woo, Seong-Chang;Ko, Suk-Tai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95-95
    • /
    • 2001
  • Ciinidipine (FRC-8635) is a newly synthesized novel DHP type of organic Ca$\_$2+/channel blockers that have been developed so far in Japan (Yoshimoto et al., 1991 : Hosono et at., 1992). It also has a blocking action on L-type voltage-dependent Ca$\^$2+/channel (VDCCs) in the rabbit basilar artery (Oike et al., 1990) and a slow-onset and long-lasting hypotensive action in clin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Ikeda et al., 1992 ; Tominaga et al., 1997). Recent electrophysiological data indicate that cilnidipine might be a dual-channel antagonist for peripheral neuronal N-type and vascular L-type Ca$\^$2+/channels (Oike et al., 1990 ; Fujii et al., 1997; Uneyama et at., 1997).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involvement of N-type VDCCs in contributing to the muscarinic receptor-mediated CA secretion.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ilinidipine on secretion of catecholamines (CA) evoked by ACh, high K$\^$+/, DMPP and McN-A-343 from the isolated perfused rat adrenal gland. Cilnidipine (1-10 ${\mu}$M) perfused into an adrenal vein for 60 min produced dose- and time-dependent inhibition in CA secretory responses evoked by ACh (5.32${\times}$10$\^$-3/M), DMPP (10$\^$-4/ M for 2 min) and McN-A-343 (10$\^$-4/ M for 2 min). However, lower dose of lobeline did not affect CA secretion by high K$\^$+/(5.6${\times}$10$\^$-2/ M), higher dose of it reduced greatly CA secretion of high K$\^$+/. Cilnidipine itself did also fail to affect basal catecholamine output. Furthermore, in adrenal glands loaded with cilnidipine (10 ${\mu}$M), CA secretory response evoked by Bay-K-8644 (10 ${\mu}$M), an activator of L-type Ca$\^$2+/channels was markedly inhibited while CA secretion by cyclopiazonic acid (10 ${\mu}$M), an inhibitor of cytoplasmic Ca$\^$2+/-ATPase was no affected. Moreover, $\omega$-conotoxin GVIA (1 ${\mu}$M), given into the adrenal gland for 60 min, also inhibited time-dependently CA secretory responses evoked by ACh and high K$\^$+/.

  • PDF

Effect of Niacin Supplementation on Growth, Nutrient Utilization and Blood Biochemical Profile in Male Buffalo Calves

  • Kumar, Ravindra;Dass, R.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10호
    • /
    • pp.1422-1428
    • /
    • 2006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levels of niacin supplementation on growth, nutrient utilization, their balance and blood biochemical profile, 15 male buffalo calves (9-10 months of age, $88.4{\pm}4.37kg$ average body weight) were divided into 3 equal groups each of 5 calves, following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and fed individually for 120 days with wheat straw and concentrate mixture to meet their nutrient requirements. In addition calves were supplemented with 0 ppm (control, group I), 100 ppm (group II) and 200 ppm (group III) niacin. After 90 days of experimental feeding a metabolism trial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digestibility of nutrients and their balance. Fortnightly body weights were recorded to assess their growth rate and blood was collected from the jugular vein at day 0 and subsequently at 30-day intervals from all the experimental buffalo calves to study blood biochemical parameters. Results showed that intake and digestibility of dry matter, organic matter, crude protein, ether extract, total carbohydrates, neutral detergent fibre, acid detergent fibre, cellulose and hemicelluloses were statistically similar in the 3 groups. Buffalo calves in all three groups were in positive nitrogen, calcium and phosphorus balance, without showing any significant effect of the treatments. Dry matter, crude protein, digestible crude protein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 intake ($g/d/kgW^{0.75}$) were similar in the control and niacin supplemented groups. Digestible crude protein (%)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 in the ration of the 3 groups were 8.07, 7.99, 7.92 and 56.70, 56.63, 56.74, respectively, and were comparable among the groups. The average daily gain (g) in-group II (567.50) was not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group I (500.0) and group III (510.0). Blood biochemical constituents (glucose, total protein, albumin, globulin, urea-N, insulin)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f niacin supplementation. However, serum cholesterol (mg/100 ml) was significantly (p<0.01) lower in the 200 ppm niacin-supplemented group than in the control and 100 ppm niacin-supplemented groups. It can be concluded that supplementation of niacin at 100 and 200 ppm in the diet of buffalo calves had no significant beneficial effect on their growth and nutrient utilization.

흰가루병에 대해 성체식물 저항성을 지닌 봄보리에서 $^{14}CO_2$ 동화와 $^{14}C-$동화산물의 대사 ([ $^{14}CO_2$ ] Assimilation and Metabolism of $^{14}C-$Assimilates in Whole Plants of Spring Barley In Relation to Adult-Plant Resistance to Powdery Mildew)

  • 황병국;이벤탈;하이테프스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2-30
    • /
    • 1986
  • 흰가루병에 대하여 감수성인 봄보리품종 Peruvian과 성체식물 저항성품종 Asse의 4엽기에서 흰가루병에 감염되었을 때 $^{14}CO_2$동화와 $^{14}C-$동화산물의 대사변화를 연구하였다. 건전식물에서는 Peruvian과 Asse간에 $^{14}CO_2$동화와 $^{14}C-$동화산물 대사에서 차이가 어 없었다. 감염된 엽수가 늘어남에 다라 이들 두 품종에서 $^{14}CO_2$ 동화와 동화산물의 이행량은 감소하였다. 감염정도가 같을때도 Asse보다 Peruvian에서 $^{14}CO_2$동화가 더 감소되었다. 흰가루병이 감염되지 않은 제4엽에서도 $^{14}CO_2$고장이 줄어들었고, Peruvian에서 더 줄었다. 아래 3엽이 감염되었을 때 감염되어 있지 않는 상위 제4엽에서 fructose, glucose등의 탄수화물로 $^{14}C$가 결합되는 것을 억제하였고 Asse보다 Peruvian에서 억제가 더 컸다. 감염된 제3엽에서도 탄수화물내에 $^{14}C$이 줄어들었으나 Peruvian에서 $^{14}C$로 표식된 fructose, glucose함량이 더 높았다. 모든 식물기관에 $^{14}C$-유기산합성이 촉진되었고 Asse보다 Peruvian에서 합성이 더 뚜렷하였다. 감염된 제3엽이나 건전제4엽에서 $^{14}C$이 아미노산으로 결합되는 것이 증가하였으나 엽초로 이동은 감소되었다. 이들 잎에서 어떤 $^{14}C$-아미노산은 Asse보다 Peruvian에 더 많이 축적되었다.

  • PDF

담수토양의 아연 유효도에 미치는 아연비종별 효과 (Effect of Organic and Inorganic Zinc Sources on Zinc Availability under Flooded Soil Condition)

  • 김태순;김재성;한강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85-91
    • /
    • 1981
  • 아연비료로서 ZnEDTA와 $ZnSO_4$의 유효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수도의 아연흡수 실험을 시도했다. 수도의 아연흡수에 있어서 급원별(給源別) 아연 유효도는 토양에 따라서 차이(差異)가 있었다. pH가 높은 제천(提川) 석회암질(石灰岩質) 토양에서는 ZnEDTA가 $ZnSO_4$보다 수도체아연 농도(濃度)와 아연 흡수량(吸收量)을 증가시키는데 더 유효했다. 그러나 산성(酸性)인 금곡토양의 경우도 ZnEDTA의 유효성이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ZnEDTA를 처리(處理)한 제천(提川) 석회암질(石灰岩質) 토양에서 생육(生育)한 수도는 $ZnSO_4$ 처리구 수도보다 분얼수와 초장(草丈)이 컸고 건물생산량(建物生産量)도 높았다. 아연급원에 관계없이 아연와 유기물(有機物) 처리구에서 자란 수도의 분얼수, 초장(草丈), 건물생산량(建物生産量)은 모두 다 적었다. 이것은 유기물(有機物)을 첨가(添加)하므로서 시비(施肥) 아연의 고정(固定)이 더 일어나서 수도체의 아연수율이 적기 때문이라고 본다. 아연고정 정도(程度)는 제천(提川) 석회암질(石灰岩質) 토양에서 컸다.

  • PDF

마우스 혈장과 조직에서의 doxorubicin 측정 HPLC-MS/MS 방법 (Validation of a HPLC MS/MS Method for Determination of Doxorubicin in Mouse Serum and its Small Tissues)

  • 박정선;김혜경;이혜원;이미현;김현기;채수완;채한정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3-27
    • /
    • 2006
  • Doxorubicin (DXR) is a type of anti-cancer drug called an 'anthracycline glycoside', It works by impairing DNA synthesis, a crucial feature of cell division, and thus is able to target rapidly dividing cells. Doxorubicin is a very serious anti-cancer medication with definite potential to do great harm as well as great good. A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scopy (LC-MS/MS) method was developed to identify and quantify DXR in small-volume biological samples. After the addition of internal standard (IS, $5{\mu}L\;of\;1{\mu}M/ml$ daunorubicin methanol solution) into the serum sample, the drug and IS were extracted by methanol. Following vortex for a 1min and centrifugation at 15,000g for 10 min the organic phase was transferred and evaporated under a vacuum. The residue was reconstituted with $350{\mu}L$ of mobile phase and $10{\mu}L$ was injected into C18 column with mobile phase composed of 0.05M ammonium acetate (0.1 M acetic acid adjusted to pH 3.5) and acetonitrile (40:60, v/v). The flow rate was kept constant at $350{\mu}L/min$. The ions were quantified in the multiple reaction mode (MRM), using positive ions, on a triple quadrupole mass spectrometer. The lower limits of quantification for Doxorubicin in plasma and small tissues were approximately 0.5 ng/mL and 0.5 ng/mL respectively. Intra- and inter-assay accuracy (% of nominal concentration) and precision (% CV) for all analytes were within 15%,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