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c N

검색결과 4,337건 처리시간 0.041초

Removal and Inactivation of Viruses during Manufacture of a High Purity Antihemophilic Factor VII Concentration from Human Plasma

  • Kim, In-Seop;Choi, Yong-Woon;Lee, Sung-Rae;Woo, Hang-Sang;Lee, Soung-M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3호
    • /
    • pp.497-503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icacy and mechanism of the cryo-precipitation, solvent/detergent (S/D) treatment, monoclonal anti-FVIIIc antibody (mAb) column chromatography, Q-Sepharose column chromatography, and lyophilization involved in the manufacture of antithemophilic factor VII(GreenMono) from human plasma, in the removal and/or inactivation of blood-borne viruses. A variety of experimental model viruses for human pathogenic viruses, including the bovine viral diarrhoea virus (BVDV), bovine herpes virus (BHV), murine encephalomyocarditis virus (EMCV), and porcine parvovirus (PPV), were all selected for this study. BHV and EMCV were effectively partitioned from a factor VII during the cryo-precipitation with a log reduction factor of 2.83 and 3.24, respectively. S/D treatment using the organic solvent, tri(n-butyl) phosphate (TNBP), and the detergent, Triton X-100, was a robust and effective step in inactivating enveloped viruses. The titers of BHV and BVDV were reduced from the initial titer of 8.85 and $7.89{log_10} {TCID_50}$, respectively, reaching undetectable levels within 1 min of the S/D treatment. The mAb chromatography was the most effective step for removing nonenveloped viruses, EMCV and PPV, with the log reduction factors of 4.86 and 3.72, respectively. Q-Sepharose chromatography showed a significant efficacy for partitioning BHV, BVDV, EMCV, and PPV with the log reduction the log reduction factors of 2.32, 2.49, 2.60, and 1.33 respectively. Lyophilization was an effective step in inactivating g nonenveloped viruses rather than enveloped viruses, where the log reduction factors of BHV, BVDV, DMCV, and PPV were 1.41, 1.79, 4.76, and 2.05, respectively. The cumulative log reduction factors of BHV, BVDV, EMCV, and PPV were ${\geqq}$11.12, ${\geqq}$7.88, 15.46, and 7.10,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duction process for GreenMono has a sufficient virus-reducing capacity to achieve a high margin of the virus safety.

  • PDF

저가 탄소섬유를 이용한 악취제거 기술 개발 (The Preparation of Low Cost Activated Carbon Fibers for Removal of Volatile Organic Chemicals and Odor)

  • 임연수;유기상;김희석;정윤중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8권10호
    • /
    • pp.928-935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PAN계 안정화섬유를 원료로 하여 수증기를 이용한 물리적 활성화에 의해 여러 등급의 활성탄소섬유를 제조하고, 비표면적, 요오드 흡착량, 미세구조, 세공구조 등을 측정하여 제조조건에 따른 그 특성변화를 고찰하였다. 수증기를 이용한 물리적 활성화에서 기존의 탄화과정과 활성화과정의 2단계를 이용한 공정과, 탄화공정과 활성화 공정을 동시에 수행하는 1단계 활성화과정을 비교함으로써 저가로 활성탄소섬유를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연구하였다. 2단계 법에서는 안정화 섬유를 $900^{\circ}C$에서 탄화한 후 이를 다시 $900^{\circ}C$에서 활성화하는 방법으로 $1019m^2/g$의 비표면적을 갖는 활성탄소섬유를 얻었으나 1단계 방법에서는 $900^{\circ}C$에서 $1636m^2/g$의 비표면적을 갖는 활성탄소섬유를 제조하였다. 이들 활성탄소섬유 사이에는 비표면적, 요오드 흡착력, 기공분포 등이 서로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Brunauer-Deming-Deming-Teller(BDDT)에 의한 분류에서는 제I형을 나타내는 공통점도 가지고 있었다.

  • PDF

국내산 청과물 (자두)의 품질 영양표시에 관한 연구 (Quality and Nutrition Labeling Study of Domestic Fruit (Plum))

  • 정준교;유연;김숙경;이혜련;최종욱;이상한;안홍;정신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669-674
    • /
    • 2006
  • 청과물의 품질 영양표시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경북의성군 옥자두를 대상으로 품질 및 영양적 성분을 분석하고 품질 영양표시 모델을 확립하였다. 일반성분은 수분 92%, 조단백 0.74%, 조지방 0.64%, 조섬유 1.65%, 조회분 0.32%, 무질소물 4.29%로 확인되었으며, 열량은 32kcal/100g 으로 계산되었다. 당도는 $10.33{\pm}0.85Brix^{\circ}$로, 산도는 $1.08{\pm}0.12%$로 나타났으며, 자두의 비타민 C 함량은 $7.037{\pm}0.317mg%$로 나타났다. 무기질은 황, 칼륨, 칼슘, 나트륨, 마그네슘 등의 순으로 함량이 높았고, 주요 유리당으로는 과당, 포도당, 자당로 나타났다. 유기산으로는 호박산, 사과산, 구연산이 확인되었다.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과육과 과피 간에 현저하게 차이를 보였으며 전과로는 $75.55{\pm}0.73mg%$의 함량을 보였다. 품질 표시에는 당과 산 함량, 영양 정보 표시에는 열량, 미네랄, 비타민 C, 총 페놀 성분이 표기된 자두의 품질 영양 표시 모델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천마 분말의 화학적 성분 (Chemical Components of Gastrodia elata Blume Powder)

  • 김현주;정신교;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78-284
    • /
    • 2000
  • 한국산 인공재배 천만의 동결건조 분말은 수분 2.12%, 조단백질 4.41%, 조지방 1.20%, 조회분 2.25%, 조섬유 4.60%, 무질소물 85.15%로 분석되었다. 환원당 함량은 2.66%였으며 유리당은 glucose 13.14mg/g, sucrose 10.81mg/g, fructose 8.69mg/g 함유되어 있었다. 지방산은 11종이 검출되었으며 포화지방산이 18.69%, 불포화 지방산이 81.31%였으며 포화 지방산으로는 palmitic acid가 11.55%, 불포화 지방산으로는 linoleic acid가 63.13%로 가장 높았다. 그 외 불포화 지방산으로는 cis-5,8,11,14,17-eicosapentaenoic acid가 6.42%, linolenic acid가 4.33%를 차지하였다. 유기산으로는 oxal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fumaric acid 등이 분리되었고 succinic acid의 함량이 1,238mg%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citric acid, malic acid, oxalic acid, fumaric acid의 순이었다. 분리된 18종의 총 아미노산중 aspartic acid가 522.8mg%로 가장 높은 함량을 차지했으며 taurin, hydroproline, alanine, threonine등이 존재했으며 taurin, hydroproline, alanine, threonine등이 존재하였다. 39종의 유리 아미노산 중 arginine이 15.01mg%로 가장 함량이 높았으며 asparagine, proline, sarcosine 순이었다. 총 페놀의 함량은 821.4mg%이었고 조사포닌의 함량은 3,738mg%를 나타내었다. 수용성 비타민으로는 ascorbic acid가 6.40mg%, 비타민 B1이 1.23mg%, 비타민 B2가 1.74mg% 함유되어 있었으며 지용성 비타민으로는 비타민 A가 1.22mg%, 비타민 E는 0.32mg%로 미량 함유되어 있었다.

  • PDF

유기성 산업폐기물의 고온·호기성 퇴비화 및 비효평가 (On Preparation and Effects of Composts from Industrial Wastes via High Temperature and Aerobic conditions)

  • 권진욱;이규승;박승희
    • 농업과학연구
    • /
    • 제22권2호
    • /
    • pp.143-150
    • /
    • 1995
  • 새로운 퇴비화 방법과 메탄 발효잔사에 대한 처리를 모색하기 위해 메탄 발효잔사, 제지슬러지, CMC 슬러지를 $50^{\circ}C$ 고온과 air pump로 공기를 주입하여 고온 호기적 조건하에 퇴비화하였고, 제조된 퇴비로 열무를 대상으로 NPK 시용구, 발효 잔사 퇴비+ NPK(AWC+NPK), 제지 생슬러지 퇴비 + NPK(RSC+NPK), CMC 슬러지 퇴비 + NPK(CSC+NPK)로 처리구를 나누고 비효를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50^{\circ}C$ 고온 및 공기 주입을 통한 고온 호기 발효는 AWC와 CSC는 3일, RSC는 6일에 속성 퇴비화하여 양질의 퇴비를 생산할 수 있었다. 2) 열무의 생육을 통한 비효 평가는 슬러지 퇴비의 시용이 무처리구와 비교해서 열무의 고른 생육을 유도하여 생체중은 3배 이상, 건물중은 5배 이상의 증가를 보였다. 3) 슬러지 시용에 따른 열무의 시기별 3요소 흡수율은 질소와 칼리는 AWC+NPK가 가장 좋았고, 인산은 CSC+NPK가 초기에, RSC+NPK가 후기 흡수율이 가장 높았다. 4) 3요소 흡수 증가폭이 큰 4주차에 질소는 대조구에 비해, 각 시용구 모두 2~2.7배 인산은 1.8~3배 수준이었다. 5) 최종 수확기까지의 3요소 흡수율은 대조구에 비해 슬러지 퇴비 시용구가 질소은 6.7~9.3배였고, 인산은 17~21배였으며, NPK 시용구는 대조구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그리고, 칼리는 2~3배 수준으로 높았다. 6) 열무 수확 후 토양은 슬러지 퇴비 시용구의 유기물 함량이 1.5~2.3배 증가되었으며, CEC는 4.5~5.3배의 증가를 보였다. 7) 위의 결과로 고온 호기퇴비화는 높은 함수율의 유기물을 단기간내에 퇴비화할 수 있었고, 이들의 시용은 작물의 수량 증대 및 토양의 물리화학성을 개선시켰으며, 화학비료 과다시용에 따른 영양염류 유출을 방지하여 수질오염을 막고, 장기적으로 화학비료의 시용을 줄일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

목질진흙버섯균 Phellinus linteus의 균사체 생육에 미치는 주요 인자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Mycelial Growth of Phellinus linteus)

  • 지정현;하태문;김영호;노영덕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3호통권78호
    • /
    • pp.214-222
    • /
    • 1996
  • 목질진흙버섯(상황버섯)은 약용버섯으로써 강력한 항종양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나, 자실체형성 및 발육에 관한 인공재배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므로, 본 연구는 목질진흙버섯균의 균사체 생육에 미치는 주요 인자에 대한 배양적 특성을 구명하여 인공재배 검토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수행한 결과이다. 1. 균주의 균사배양에 적합한 온도는 $25{\sim}30^{\circ}C$, pH는 $6.0{\sim}7.0$의 범위였고, 균사생장 및 증식에 적합한 배지는 MCM, YM 및 Synthetic I 배지였다. 2. 균사생장이 양호한 탄소원으로는 단당류인 D-Glucose, D-Mannose, Dextrose였고, 질소원으로는 유기태질소원인 Cassamino acid와 아미노산류인 Glutamic acid, 복합질소원으로는 Peptone이 양호하였다. 3. 균사생장에 적합한 배지의 C/N비는 탄소원(D-Glucose)농도 2%에서 20:1이었고, 탄소원 농도가 높아질수록 균사생장은 부진하여 탄소원 농도 4% 이내가 적당하였다. 4. 유기산으로는 Gallic acid와 Silicic acid를 첨가하였을 때, 비타민으로 Biotin을 첨가하였을 때 균사생장이 촉진되었고, 무기염류는 비교적 다양하여 $KH_2PO_4,\;FeSO_4{\cdot}7H_2O,\;MgSO_4{\cdot}7H_2O,\;ZnSO_4{\cdot}7H_2O$의 최적농도가 0.05%, 0.001%, 0.02%, 0.0003%일 때 균사생장이 양호하였다.

  • PDF

플라즈마 표면 처리를 이용한 ZnO 습식성장 패터닝 기술 연구

  • 이정환;박재성;박성은;이동익;황도연;김성진;신한재;서창택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4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330-332
    • /
    • 2013
  • 소 분위기에서 플라즈마 표면 처리의 경우 기판 표면에 존재하는 수소와 탄소 유기물들이 산소와 반응하여 $H_2O$$CO_2$ 등으로 제거되며 표면에 오존 결합을 유도하여 표면 에너지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ZnO 나노구조물을 성장시키는 방법으로는 MOCVD (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ed), PLD (Pulsed Laser Deposition), VLS (Vapor-Liquid-Solid), Sputtering, 습식화학합성법(Wet Chemical Method) 방법 등이 있다. 그중에서도 습식화학합성법은 쉽게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저비용 공정과 낮은 온도에서 성장 가능하며 플렉서블 소자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플라즈마 표면처리에 따라 표면에너지를 변화하여 습식화학합성법으로 성장시킨 ZnO nanorods의 밀도를 제어하고 photolithography 공정 없이 패터닝 가능성을 유 무를 판단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판은 Si wafer (100)를 사용하였으며 세척 후 표면에너지 증가를 위한 플라즈마 표면처리를 실시하였다. 분위기 가스는 Ar/$O_2$를 사용하였으며 입력전압 400 W에서 0, 5, 10, 15, 60초 동안 각각 실시하였다. ZnO nanorods의 seed layer를 도포하기 위하여 Zinc acetate dehydrate [Zn $(CH_3COO)_2{\cdot}2H_2O$, 0.03 M]를 ethanol 50 ml에 용해시킨 후 스핀코팅기를 이용하여 850 RPM, 15초로 5회 실시하였으며 $80^{\circ}C$에서 5분간 건조하였다. ZnO rods의 성장은 Zinc nitrate hexahydrate [$Zn(NO_3)_2{\cdot}6H_2O$, 0.025M], HMT [$C6H_{12}N_4$, 0.025M]를 deionized water 250 ml에 용해시켜 hotplate에 올리고 $300^{\circ}C$에서 녹인 후 $200^{\circ}C$에서 3시간 성장시켰다. ZnO nanorods의 성장 공정은(Fig. 1)과 같다. 먼저 플라즈마 처리한 시편의 표면에너지 측정을 위해 접촉각 측정 장치[KRUSS, DSA100]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0, 5, 10, 15, 60 초로 플라즈마 표면 처리했던 시편이 각각 Fig. l, 2와 같이 $79^{\circ}$, $43^{\circ}$, $11^{\circ}$, $6^{\circ}$, $7.8^{\circ}$로 측정되었으며 이것을 각각 습식화학합성법으로 ZnO nanorods를 성장 시켰을 때 Fig. 3과 같이 밀도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판의 표면에너지를 제어하여 Fig. 4와 같이 나타나며 photolithography 공정없이 ZnO nanorods를 패터닝을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플라즈마 표면 처리를 통하여 표면에너지의 변화를 제어함으로써 ZnO nanorods 성장의 밀도 차이를 나타냈었다. 이러한 저비용, 저온 공정으로 $O_2$, CO, $H_2$, $H_2O$와 같은 다양한 화학종에 반응하는 ZnO를 이용한 플렉시블 화학센서에 응용 및 사용될 수 있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및 3D 디스플레이 소자에 활용 가능하다.

  • PDF

인삼 하우스 직파재배시 파종밀도, 혈당 파종립수, 솎음처리가 생육과 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 Density, Number of Seeds Sown Per Hole and Thinning Treatment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Disease Occurrence in Greenhouse-Cultivated Ginseng)

  • 모황성;박홍우;장인배;유진;박기춘;현동윤;김기홍;서태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98-206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wing density, number of seeds sown per hole, and thinning treatment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disease occurrence in Panax ginseng under direct sowing cultivation in a blue plastic greenhouse. Seedling were grown from 2 or 3 seeds sown, and the healthiest was only retained, while the rest were thinned out at the foliation stage. $NO_3$-N, $P_2O_5$, and organic matter content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growth conditions in the plastic greenhouse and in conventional shade in the soil. Disease also tended to be higher in the conventional shade than in the plastic greenhouse. Plant height and stem length showed an increasing trend with increasing sowing density and number of seeds sown per hole. However, these measures noticeably decreased when thinning treatment was conducted. Growth of the subterranean part of ginseng was not markedly influenced by sowing density, the number of seeds sown per hole, or thinning treatment. Root weight,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in yield,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number of seeds sown and thinning treatment. Interestingly, root weight tended to be higher in the thinning treatment plot than the untreated control plot. Damping-off and root rot increased noticeably as the number of seeds sown increased. Disease also tended to be substantially higher in the thinning treatment plot than the untreated control. However, physiological disorder of the plants did not vary with sowing density, the number of seeds sown, or thinning treatment.

농산폐기물(農産廢棄物)에서 발효사료(醱酵飼料)의 생산(生産)에 관(關)한 연구(硏究)[제3보(第三報)] -Aspergillus niger와 Trichoderma viride에 의(依)한 Cellulase의 생산성(生産性)에 관(關)하여-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Fermented Feeds from Agricultural Waste Products (Part Ⅲ) -On the Production of Cellulase by Aspergillus niger and Trichoderma viride-)

  • 이계호;고정삼;박성오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9권3호
    • /
    • pp.130-138
    • /
    • 1976
  • 농산페기물을 이용(利用)한 발효사료(醱酵飼料) 생산(生産)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로서 25점(點)의 시료(試料)에서 cellulase 생산성(生産性)이 우수한 두개의 균주를 선정(選定)하여 동정(同定)하였다. 선정(選定)된 두 균주에 대하여 cellulase의 생산 최적조건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Cellulase 생산성(生産性)이 우수한 균주(菌株)로 Aspergillus niger-SM6와 Trichoderma viride-SM10 두 균주를 선정(選定)하였다. 2. 두 균주 모두 배양시(培養時) pH $5.0{\sim}6.0$에서 배양(培養)5일째에 최고(最高)의 효소생산성(酵素生産性)을 나타내었다. 3. Aspergillus niger-SM6은 배양시(培養時) 첨가한 CMC가 18%, $(NH_4)_2SO_4$가 33%, CSL이 21%, 감귤피가 21%의 효소생산(酵素生産) 증가를 나타내었다. 또한 전처리한 왕겨를 첨가하여 배양하였을 때 $21{\sim}28%$ 효소생성이 증가하였으며 효소생산에 있어서 50%까지 밀기울과 대체가능하였다. 4. Trichoderma viride-SM10은 배양시 첨가한 CMC가 14%, $NH_4NO_3$가 40%, Vit-free casamino acid가 27%, 감귤피가 18%의 효소생산 증가를 나타내었다.

  • PDF

Streptomyces속 균주가 생성한 물질의 생물활성에 관한 연구 제 I보 생성물질의 분이및 그 생화학적성질 (Studies on the Biological Active Substance produced by a Strain of Streptomyces sp. Part I. Isolation and B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the Substance)

  • 송방호;서정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63-68
    • /
    • 1975
  • Streptomyces속에서 분이한 물질의 생물학적 활성을 검색하던 중 어유에 대한 독성물질을 강하게 생성하는 균 1수를 선별하여 그 생화학적 성질을 검토하였다. 1. 분이된 물질의 독성은, 예로서 Pseudorasbora parva T. et. S. (체중 0.~0.5g, 신장 3.0~4.0cm)에 대한 살어역은 5ug/ml에서 30분, 25ug/ml에서 50분이었으며 Carassius carassius L. (체중 2.0g, 유장 5.0cm)온 50ug/m1용액에서 70분간 생존할 수 있었다. 2. 본 물질은 산성 및 유기용매에서는 비교적 안정하여 pH 4.0에서 15시간까지 처이하였을 경우, 또 CHCI$_3$, acetone 용액에서 약 5일간까지 처이하였을 때에도 거의 독성이 감소되지 않았다. alkali성 및 열에 대하여서는 불안정한 물질로써 pH 8.0에서 5분간 처이하였을 때 물질이 상당히 실활되었으며 6$0^{\circ}C$以上의 온도에서는 비교적 격히 실활되었다. 3. 25ug/m1 수용액에서 Pseudorabora parva에 대하여 약 20분간 이상 처이로서는 회생이 불가능함을 알았다. 이상과 같은 성질을 가진 본 독성물질은 선별된 균주의 배양여액을 pH 3.0으로 하강하여 NaCl로서 포화시킨 후 CHCl$_3$에 전용하여 농축하르로써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분리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