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c N

검색결과 4,337건 처리시간 0.033초

Lyophyllum decastes의 심부배양(深府培養)에 의한 균체(菌體) 생산(生産)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Mycelium by Lyophyllum decastes in Submerged Culture)

  • 홍재식;이지열;김명숙;김동한
    • 한국균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31-139
    • /
    • 1986
  • 식용(食用)버섯인 Lyophyllum decastes의 생리적(生理的) 성질(性質) 및 영양성분(營養成分)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합성배지(合成培地)에서 배양조건(培養條件)을 검토(檢討)하고 균체성분(菌體成分)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균체성분(菌體成分)의 최적온도(最適溫度)와 pH는 각각 $25^{\circ}C$, pH 7.5이었고 배양기간(培養期間)은 15일(日)이 가장 좋았다. 2. 균체(菌體) 생산(生産)에 가장 우수(優秀)한 탄소원(炭素源)은 glucose와 CMC이었고 glucose의 최적농도(最適濃度)는 3%, CMC의 최적농도(最適濃度)는 6%이었다. 3. 질소원(窒素源)중 유기태(有機態)로서 proteose peptone이 균체생산(菌體生産)에 가장 좋았고 그 최적농도(最適濃度)는 0.5%이었으며, 무기태(無機態)로서 $(NH_4)_2HPO_4$가 제일 양호(良好)하였고, 최적농도(最適濃度)는 0.1%이었다. 4. 균체(菌體) 생산(生産)에 가장 좋은 C/N솔(率)은 glucose대 proteose peptone이 10 : 1로서 탄소원(炭素源)보다는 질소원(窒素源)이 더 유효(有效)하였다. 5. 균체(菌體) 생산(生産)에 $K_2HPO_4,\;MgSO_4,\;CaCl_2$의 최적농도(最適濃度)는 각각 0.2, 0.06, 0.01%이었다. 6. 각종(各種) bioextract중에서 균체(菌體) 생산(生産)이 가장 양호(良好)한 것은 yeast extract이었고 그 최적농도(最適濃度)는 1.5%이었다. 7. 균체성분(菌體成分)은 총당(總糖) 34.8%, 조단백질(粗蛋白質) 28.35%, 조지방(粗脂肪) 2.5%, 회분(灰分) 7.57%, 조섬유(粗纖維) 11.99%로서 영양가치(營養價値)가 높다.

  • PDF

곡류단절지에 입지한 마을의 경관특성;삼지마을을 사례로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Village Located in the Meander cut-off Area;The Case of Samji Village)

  • 임의제;최기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09-109
    • /
    • 2000
  • This study seeks what kind of factors influence to locate dwellings and to establish scenic spots in nature by a case study focused on a meandering stream. The study specially concentrates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both residences and beautiful sceneries and a meander cut-off-area that reveals a special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located at Samji village in Youngyang-eup, Youngyang-gun, Koungsangbuk-do. The meander cut-off area, developed at the middle or upper reaches of a river, often makes up specific landscapes such as precipitous cliffs, sheer cliffs and caves. And the area where is specially created by sudden change of flow due to erosion perceived by the cut surface to be the most beautiful scenic spot. These beautiful landscapes were used to be called as Dae, Dam or Gul and managed by Confucian scholars who enjoy refined taste and devote themselves to the study in nature. Moreover, the Ku-Hado-literary means the area of ex-flow-made the scholars' lving with a well prepared basis for agriculture where supplied a cornucopia of organic matters and water. The merit of agriculture made it possible that the scholars became economically independent, and the fact might be the essential point why the meander cut-off area took noticed. Actually, Cho-family has been in Smaji Village for generations, producing a large number of scholars and keeping the actual power of the region. The physical shape of the meander cut-off area, cozily surrounded by mountains, is considered as a good place for the dwelling due to the influence of traditional sight of view for location and P'ungsuchiri which is known as Feng Shui in China and geomancy in the western world. It is a fruit in it own way that we could find the ancestors' discernment and wisdom from this study, who have lived their lives adapting themselves to the given natural environment and also utilizing the nature wisely. But this is a current-argued study on the meander cut-off area. Follow-up studies have to be continued about the landscapes of the meander streams and the meander cut-off areas scattered all over the country except Samji Village and draw the characteristics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산느타리(Pleurotus pulmonarius) 병·봉지재배에 적합한 배지조성 연구 (Study on suitable substrate formulation for bottle and bag cultivation of Pleurotus pulmonarius)

  • 이재홍;이남길;박영학;문윤기;정태성;권순배;김재록;김진원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75-279
    • /
    • 2014
  • 산느타리를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배지를 개발하기 위하여 미루나무톱밥, 면실피, 면실박, 비트펄프, 콘코브 등 5종을 혼합하여 혼합비율별 6처리로 시험을 수행하여 배지조성별 화학성분, 균사생장속도 및 수량특성을 조사하였다. 배지조성별 화학성분 분석결과 pH는 대부분 pH 5.0 내외로서 큰 차이가 없었으나, V배지의 경우 다른 조성에 비하여 pH와 유기물 함량에 있어 각각 5.52, 29.07%로 높게 나타났다. 유기물대질소비는 IV배지가 30.53으로 가장 높았고, I, V, VI배지가 25정도를 나타냈으며, II, III배지는 20.68, 22.12로 낮은 값을 나타냈다. 시험관 칼럼배지를 이용해서 균사생장속도를 조사한 결과 균접종 28일 조사에서 향산 품종에서는 V배지가 105.0 mm로 가장 빠른 생장을 나타냈고, 호산 품종에서는 II번 배지가 114.3 mm로 가장 빨랐다. 병재배시 배지조성별 생육특성 조사결과 초발이소요일수는 3일, 생육일수는 4일로 모든 처리에서 동일하였고, 수량에 있어서는 호산품종의 경우 V배지가 병당 유효경수가 19.1개, 병당 수량이 198.4 g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향산 품종에서는 IV배지와 V배지가 각각 유효경수 15.3개, 14.4개, 수량은 161.1 g, 163.1 g으로 비슷하였다. 봉지재배에서 호산품종의 경우 초발이소요일수는 IV배지가 7일로서 가장 빨랐고 다음이 V, VI배지로서 8일, 그 다음이 I배지 9일 순이었다. 향산 품종에서 초발이소요일수는 I배지가 6일로서 가장 빨랐고 다음으로 IV, VI, V배지 순이었다. 그리고 생육일수는 4내지 5일로서 품종별, 배지조성별 차이가 없었다. 수량특성 조사결과 호산 품종의 경우 I배지가 봉지당 435.7 g으로 가장 높았고, 향산 품종에 있어서는 V배지가 463.5 g으로 높은 수량을 나타냈다.

바이오가스 정제 및 고질화 기술 현황 및 전망 (The Present and the Future of Biogas Purification and Upgrading Technologies)

  • 허남효;박재규;김기동;오영삼;조병학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72-172
    • /
    • 2011
  • Anaerobic digestion(AD) has successfully been used for many applications that have conclusively demonstrated its ability to recycle biogenic wastes. AD has been successfully applied in industrial waste water treatment, stabilsation of sewage sludge, landfill management and recycling of biowaste and agricultural wastes as manure, energy crops. During AD, i.e. organic materials are decomposed by anaerobic forming bacteria and fina1ly converted to excellent fertilizer and biogas which is primarily composed of methane(CH4) and carbon dioxide(CO2) with smaller amounts of hydrogen sulfide(H2S) and ammonia(NH3), trace gases such as hydrogen(H2), nitrogen(N2), carbon monoxide(CO), oxygen(O2) and contain dust particles and siloxanes. The production and utilisation of biogas has several environmental advantages such as i)a renewable energy source, ii)reduction the release of methane to the atomsphere, iii)use as a substitute for fossil fuels. In utilisation of biogas, most of biogas produced from small scale plant e.g. farm-scale AD plant are used to provide as energy source for cooking and lighting, in most of the industrialised countries for energy recovery, environmental and safety reasons are used in combined heat and power(CHP) engines or as a supplement to natural. In particular, biogas to use as vehicle fuel or for grid injection there different biogas treatment steps are necessary, it is important to have a high energy content in biogas with biogas purification and upgrading. The energy content of biogas is in direct proportion to the methane content and by removing trace gases and carbon dioxide in the purification and upgrading process the energy content of biogas in increased. The process of purification and upgrading biogas generates new possibilities for its use since it can then replace natural gas, which is used extensively in many countries, However, those technologies add to the costs of biogas production. It is important to have an optimized purification and upgrading process in terms of low energy consumption and high efficiency giving high methane content in the upgraded gas. A number of technologies for purification and upgrading of biogas have been developed to use as a vehicle fuel or grid injection during the passed twenty years, and several technologies exist today and they are continually being improved. The biomethane which is produced from the purification and the upgrading process of biogas has gained increased attention due to rising oil and natural gas prices and increasing targets for renewable fuel quotes in many countries. New plants are continually being built and the number of biomethane plants was around 100 in 2009.

  • PDF

7H-Dibenzo [c,g] carbazole과 Dibenz[a,j] acridine에 의한 DNA adduct의 32P-postlabeling 분석 (32P-postlabeling Analysis of 7H-Dibenzo [c,g] carbazole and Dibenz [a,j] acridine DNA Adduct in Mice)

  • 노재훈;문영한;데이비드 봐르쇼브스키;글렌 탈라스카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4-21
    • /
    • 1993
  • 7H-dibenzo[c,g]carbazole(DBC)과 dibenz[a, j]acridine(DBA) 및 이의 대사물 trans-DBA-1,2-dihydrodiol(DBA-1,2-DHD), trans-DBA-3,4-dihydrodiol(DBA-3,4-DHD), trans-DBA-5,6-dihydrodiol(DBA-5,6-DHD)]에 의한 DNA adduct형성을 알기 위해 Hsd:ISR 생쥐 피부에 이를 투여하고 용매 추출법으로 DNA를 분리하고 $^{32}P$-postlabeling법으로 DNA adduct를 분석하였다. DBC를 피부에 투여하여 DNA adduct가 국소작용 부위인 피부와 내장기관인 간, 폐 및 신장에 형성되어 DBC는 국소 및 전신 발암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DNA adduct활성도가 간에서는 높고 피부, 폐, 신장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아 DBC에 의한 발암의 주 표적 장기는 간임을 추측할 수 있었다. DBA, DBA-3,4-DHD 및 DBA-5,6-DHD 투여에 의해 두개의 adduct가 피부에서 관찰되었다. 대사 물질인 DBA-5,6-DHD에 의해 2개의 adduct가 형성되었으나 그 양상이 DBA 및 DBA-3,4-DHD와는 달랐으며 DBA-1,2-DHD에 의해서는 DNA adduct 형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DBA는 국소발암작용이 있으며 활성 대사물인 DBA-3,4-DHD가 최종 발암원(ultimate carcinogen)이고 DBA-1,2-DHD는 무독화 대사물질로 추측된다.

  • PDF

산지개발(山地開發)로 조성(造成)한 상전(桑田)의 지방증진(地方增進)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soil improvement of mulberry field in newly reclaimed hilly land areas)

  • 이춘수;류인수;박영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71-76
    • /
    • 1976
  • 1. 개량제(改良劑) 시용(施用)에 의(依)한 상엽수량(桑葉收量)의 증수율(增收率)은 표준구(標準區)에 비(比)하여 20~80%이었으며 개량제(改良劑) 처리간(處理間)의 효과(効果)는 고토질석회(苦土質石灰)>퇴비(堆肥)>용성인비(溶成燐肥)>녹비재배(綠肥栽培) 및 환원(還元)>맥간구(麥稈區)의 순위(順位)이었다. 2. 상엽수량(桑葉收量)과 가장 상관도(相關圖)가 높은 생태적요소(生態的要素)는 근중(根重)과 근권체적(根圈體積)이며 그다음으로 지조장(枝條長)과 지조수(枝條數)이었다. 또한 토양(土壌) 및 상엽중(桑葉中)의 Ca과 Mg함량(含量)과 상엽수량(桑葉收量)과는 높은 상관(相關)을 보였다. 3. 지조선단(枝條先端)의 고사현상(枯死現象)은 엽중(葉中) $K_2O$와 MgO함량(含量)의 불균형(不均衡)의 영향(影響)으로부터 오며 상엽중(桑葉中) $K_2O/MgO$의 비(比)가 6.0 또는 그이상(以上)되어야 고손율(枯損率)을 최소(最少)로 할 수 있었다. 4. 토지상전조성(土地桑田造成)을 위(爲)하여는 유기물외(有機物外)에 고토(苦土)를 포함(包含)한 석회질비료(石灰質肥料) 시용(施用)이 필수적(必須的)이나 이들만의 시용(施用)은 고손율(枯損率)을 증가(增加)시키므로 상대적(相對的)으로 가리(加里)의 증시(增施)가 병행(併行)되어야 함을 알았다.

  • PDF

축산폐수(畜産廢水) 살수여상충전(撒水濾床充塡) 볏짚 시용이 토양화학성과 오처드그래스(Dactylis glomerata L.)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影響) (Application of the Trickling Rice Straw Filter Medium for Livestock Wastewater Enhanced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the Growth of Orchard Grass (Dactylis glomerata L.))

  • 김정제;양재의;신영오;신명교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34-340
    • /
    • 1997
  • 중소규모(中小規模) 축산농가(畜産農家)에서 배출(排出)되는 돼지(돈(豚)) 분뇨폐수(糞尿廢水)를 효과적(效果的)으로 처리(處理)함과 동시(同時)에 재활용(再活用)할 수 있는 방법(方法)의 하나로 볏짚을 살수여상법(撒水濾床法)의 충전재(充塡材)로 이용(利用)하였다. 폐수처리(廢水處理) 후(後) 볏짚을 건조(乾燥) 분쇄(粉碎)하여 토양(土壤)에 첨가(添加)한 후 orchard grass를 재배(栽培)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볏짚 충전재(充塡材)를 시용(施用)했을 경우(境遇) 일반적(一般的)인 농가퇴비(農家堆肥)에 못지 않은 수량(收量) 향상(向上) 효과(效果)가 있었다. 기본시비(基本施肥)(NPK)에 처리(處理)한 짚 40 ton/ha의 비율(比率)로 혼합(混合) 시용 했을 때 가장 효과(效果)가 컸다. 2. Orchard grass 1차 예취(刈取) 후의 수량은 기본시비(基本施肥) 전량 시용구가 반량(半量) 시용구보다 많았다. 3. Orchard grass 1차, 2차 예취(刈取) 후(後) 볏짚충진제 처리구 토양(土壤)의 화학적 특성은, 공시토양에 비해 pH 의 증가와 함께 Av. $P_2O_5$, Ex. K, Ca, Na, Mg 와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이 증가(增加)했는데 특(特)히 Exc. Mg 의 현저한 증가(增加)가 있었다. 4. 볏짚 충진제를 시용한 결과 Orchard grass에 의해 흡수된 질소, 인산, 양이온등의 영양소는 증가되었고, 증가량은 처리량에 비례했다.

  • PDF

고추 친환경 재배를 위한 Chitosan 처리 효과 (Effects of Chitosan on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Cultivation for Eco-friendly Agriculture)

  • 문영훈;이진호;안병구;최인영;정성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635-641
    • /
    • 2012
  • Chitosan이 친환경 고추재배를 위한 친환경자재로써 토양환경개선과 고추수량 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엽면시비, 토양관주, 두 가지를 혼합처리 하였다. 침지시간에 따른 발아율은 무처리에서 99.4%였고, chitosan 농도가 낮을수록 침지시간이 짧을수록 발아율은 높았지만 대조구보다는 낮았다. 수확기에 조사한 토양화학성분은 chitosan 처리방법에 관계없이 정식전 보다 모두 감소하였다. Chitosan 처리횟수가 증가할수록 토양중 세균과 방선균 밀도는 증가하였고, chlorophyll 함량은 대조구보다 많았다. 고추 잎의 P 함량은 차이가 없었지만, N는 14일 간격으로 엽면시비를 하거나 21일 간격으로 토양관주를 했을 때 무처리 수준과 같았고, Ca, Mg, K는 7일 간격으로 혼합처리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토양관주를 했을 때 생육상태는 가장 우수하였지만, 수량은 대조구에서 $383kg\;10a^{-1}$ 수준으로 가장 많았고, 토양관주 처리에서 대조구의 93.0~95.0% 수준을 보였다.

윤작지 녹비작물종류에 따른 토양탄소 함량 변화 (Differences of Soil Carbon by Green Manure Crops in Rotated Cropping System)

  • 김경목;이병진;조영손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1027-1031
    • /
    • 2012
  • 본 연구는 국내에서 대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녹비작물인 호밀, 트리티케일, 헤어리베치 단파와 트리티케일+헤어리베치 혼파를 대상으로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한 최적의 녹비작물을 선발 하기위하여 수행되었다. 윤작지 녹비작물의 지상부 바이오메스는 트리티케일+헤어리베치 664 kg $10a^{-1}$, 호밀 585 kg $10a^{-1}$, 트리티케일 545 kg $10a^{-1}$이었으며 대조구 대비 트리티케일+헤어리베치 181%, 호밀 160%, 트리티케일 149%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녹비작물 재배시기 동안 표토의 유기물 함량이 심토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토양 유기물 함량은 호밀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트리티케일+헤어리베치 순으로 나타났다. 지상부 바이오메스 생산량이 많은 호밀, 트리티케일+헤어리베치 재배구에서 가장 높은 유기물 함량을 보인 것은 탄소함량과 C/N율 때문인 것으로 분석 (Wang et al., 2010)되며 C/N율은 토양 탄소와 밀접하게 관련 있으며 바이오메스 품질 (Mirsky et al., 2008)과 바이오메스 분해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Kemp et al., 2003) 이므로 본 연구에서 호밀과 트리티케일+헤어리베치는 녹비작물로 바이오메스 생산량도 높고 토양 탄소 함량 증진에도 효과가 높아 이산화탄소 저감에 효과적일 것이다.

인체혈장 중 에탐부톨의 HPLC 분석법의 검증 및 단일용량 투여에 의한 약물동태 연구 (Determination of Ethambutol n Human Plasma by a Validated HPLC Method and Its Application to Single-dose Pharmacokinetics)

  • 곽혜선;박경호;최준식;송진아;성민경;장정옥;이화정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5권2호
    • /
    • pp.123-127
    • /
    • 2005
  • An HPLC method was employed for the determination of ethambutol in human plasma. After addition of internal standard (IS, octylamine, $2\;{\mu}g/mL$) and alkalinization of the plasma with 5 M sodium hydroxide, the drug and IS were extracted into the mixture of chloroform and diethyl ether (40:60, v/v). Following a 15-min vortex-mixing and a 10min centrifugation, the organic phase was spiked with $100{\mu}L$ of phenylethylisocyanate $(2000{\mu}g/mL)$ for chemical derivatization, mixed for 5 min and evaporated to dryness under a stream of nitrogen. The residue was reconstituted with $100{\mu}L$ of mobile phase and $20{\mu}L$ was injected into C18 column with a mobile phase consisting of methanol:water (70:30, v/v). The samples were detected utilizing an ultraviolet detector at 200 nm. The method was specific and validated with a limit of $0.15\;{\mu}g/mL$. Intra- and inter-day precision and accuracy were acceptable for all quality control samples including the lower limit of quantification. The applicability of this method was demonstrated by analysis of human plasma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a single 1200-mg dose to 20 healthy subjects. From the plasma ethambutol concentration vs. time curves, the mean AUC was $9.61{\pm}1.64\;{\mu}g{\cdot}hr/mL$ and Cmax of $2.68\;{\mu}g/mL$ reached 2.73 hr after administration. The mean biological half-life of ethambutol was $3.46{\pm}1.21$ hr. Based on the results, this simple and validated assay could readily be used in any pharmacokinetic studies using hum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