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al mucosal diseases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5초

재발성 아프타성 구내염에 대한 국소 스테로이드 요법의 효과 (EFFECT OF TOPICAL STEROID THERAPY ON RECURRENT APHTHOUS STOMATITIS)

  • 최종욱;정광윤;박정수;김영호;유홍균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227-231
    • /
    • 1996
  • Recurrent aphthous stomatitis is one of the most common diseases of ulcerative oral mucosal lesions and its cause remains elus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therapeutic effect of topical steroids for the treatment of recurrent aphthous stomatitis. We performed the study with 50 cases who had visited to our office for the treatment of recurrent aphthous stomatitis during the recent five years. We devided 50 cases into five groups. Group 1 is that triamcinolone of 0.1-0.2mg was injected into the submucosal lesions of ulcerations. Group 2 is that the gargling of 5ml with triamcinolone tablet of 2mg was used three times per day for seven days. Group 3 is that the gargling of 5ml with betamethasone tablet 0.5mg was used three times per day for seven days. Group 4 is that tetracycline gargling was used six times per day for seven days. Group 5 is that normal saline gargling was used six times per day for seven days. The retrospective analysis of results were as follows : Betamethasone gargling was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minor aphthous stomatitis and the submucosal injection of triamcinolone was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major aphthous stomatitis, but none of the different therapeutic methods was effective for herpetiform stomatitis. In the evaluation of mean recurrence periods, the triamcinolone gargling and betamethasone gargling showed longer asymptomatic periods than other methods. We concluded that some kinds of topical steroids can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recurrent aphthous stomatitis but the proper selection of agent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isease is important for the treatment.

  • PDF

Cotoneaster mongolicus Pojark. 추출물의 HCl/ethanol로 유발된 위염 mice에 대한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 of Cotoneaster mongolicus Pojark. Extract in HCl/ethanol-induced Gastritis Mice)

  • 최정원;이진아;신미래;박해진;노성수
    • 생약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153-161
    • /
    • 2022
  • Cotoneaster mongolicus Pojark. (CM), in the family Rosaceae is an endemic plant to the Mongolian region (its name: Moнroл чapraй). In Mongolia, Cotoneaster species as a crude drug is mainly used for inflammatory diseases, diarrhea, and stomach indigestion.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gastro-protective activity underlying mechanism of CM. For in vivo experiments, mice were divided into 5 groups; normal mice (Normal), gastritis mice (Control), gastritis mice treated with sucralfate 10 mg/kg (SC), gastritis mice treated with CM 100 mg/kg (CML), gastritis mice treated with CM 200 mg/kg (CMH). Gastritis was provoked by HCl/ethanol (60% ethanol in 150 mM HCl).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each drug, HCl/ethanol was orally administered 90 mins later to induce gastritis. CM alleviated the damage to the gastric mucosa cause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xpression of protein in gastric tissue through western blot, CM significantly reduced the expression of NF-κB activated due to gastritis. Also, it significantly modulated the Nrf2-Keap1 pathwa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M not only inhibits the nuclear metastasis of NF-𝛋B but also modulates the Nrf2-Keap1 pathway to relieve inflammation of the gastric mucosa.

Retrospective analysis of keratinized tissue augmentation using a xenogeneic collagen matrix for resolving peri-implant mucositis and peri-implantitis

  • Jung Soo Park;Yeek Herr;Jong-Hyuk Chung;Seung-Il Shin;Hyun-Chang Lim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3권2호
    • /
    • pp.145-156
    • /
    • 2023
  • Purpose: The significance of keratinized tissue for peri-implant health has been emphasized. However, there is an absence of clinical evidence for the use of a xenogeneic collagen matrix (XCM) to manage peri-implant mucositis and peri-implantiti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utcomes after keratinized tissue augmentation using an XCM for the management of peri-implant diseases. Methods: Twelve implants (5 with peri-implant mucositis and 7 with peri-implantitis) in 10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Non-surgical treatments were first performed, but inflammation persisted in all implant sites. The implant sites all showed a lack of keratinized mucosa (KM) and vestibular depth (VD). Apically positioned flaps with XCM application were performed. Bone augmentation was simultaneously performed on peri-implantitis sites with an intrabony defect (>3 mm). The following clinical parameters were measured: the probing pocket depth (PPD), modified sulcular bleeding index (mSBI), suppuration (SUP), keratinized mucosal height (KMH), and VD. Results: There were no adverse healing events during the follow-up visits (18±4.6 months). The final KMHs and VDs were 4.34±0.86 mm and 8.0±4.05 mm, respectively, for the sites with peri-implant mucositis and 3.29±0.86 mm and 6.5±1.91 mm, respectively, for the sites with peri-implantitis. Additionally, the PPD and mSBI significantly decreased, and none of the implants presented with SUP. Conclusions: Keratinized tissue augmentation using an XCM for sites with peri-implant mucositis and peri-implantitis was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KMH and VD and decreasing peri-implant inflammation.

고려홍삼의 구강악취 억제기능; H2S 생성에 따른 염증매개 유전자 및 cystathionine γ-lyase의 약화기능 (Beneficial Effect of Korea Red Ginseng on Halitosis; Attenuation of H2S Induced Inflammatory Mediators and cystathionine γ-lyase Expression)

  • 최기석;이소정;이정상;홍경숙;김정곤;김윤재;함기백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3권4호
    • /
    • pp.367-377
    • /
    • 2009
  • 구강악취 원인 물질인 $H_2S$를 발생시키는 NaHS로 RAW 264.7 세포를 자극시킨 결과, VSCs 생성에 관련된 CSE 유전자 발현증가와 함께 IL-6, COX-2, iNOS와 같은 염증매개 cytokine이 증가하며, 아울러 본 대식세포나 백혈구 활성에 관련된 세포내 골격단백질인 ERM의 발현증가가 유도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이전의 연구결과인 VSCs의 생성이 위점막 염증 및 손상과 연관되어 있다는 이전의 연구를 증빙해주는 사실인데, 더욱 흥미로운 사실은 고려 홍삼의 전처치를 통하여 CSE의 억제는 물론 염증 연관 cytokine 및 ERM의 발현억제를 유도할 수 있으며, 이는 세포내 신호전달계인 p38 및 ERK의 억제, 주로는 ERK 비활성화를 통하여 작동됨을 규명하였다. 고려홍삼이 구강악취 환자에게서 증상 완화내지는 소멸을 위하여 매우 유용하다는 이전의 연구결과에 본 연구결과가 추가됨으로 고려홍삼에 의한 VSC 생성억제 기전이 관련된 유전자의 약화는 물론 cytokine 억제 및 백혈구 활성에 관련된 인자억제를 통한 항염증 작용에 근거한다는 기전을 추가할 수 있었다.

난소적출로 유발된 랫트 갱년기 장애에 대한 가감귀비온담탕의 생리활성 효과 평가 (Anti-climacterium Effects of Gagamguibiondam-tang in Ovariectomized Rats)

  • 한상겸;김동철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8-44
    • /
    • 2017
  • 목 적: 이 연구에서는 한의학에서 다양한 부인과 질환에 사용되어온 전통 복합 처방인 귀비탕과 가미온담탕을 합방, 가감한 가감귀비온담탕 열수 추출물의 갱년기 장애 개선 효과를 심혈관 장애, 비만, 고지혈증, 골다공증, 장기 지방축적 및 신경정신 장애를 포함한 다양한 사람의 갱년기 장애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난소적출(Ovariectomized, OVX) 랫트 모델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방 법: 난소적출수술 28일 후부터 가감귀비온담탕 추출물(수율 : 22.03%)을 각각 100, 50 및 25 mg/ml의 농도로 멸균 증류수에 용해시키고, 체중 kg 당 5 ml의 용량(500, 250 및 125 mg/kg)으로 매일 1회씩 84일(12주 : 3개월)간 경구 투여한 다음, 항비만효과, 항자궁위축효과 및 골다공증 억제 효과의 3가지 생리활성 효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항비만 효과 및 항자궁위축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체중 및 증체량, 혈청중 에스트라디올 함량, 복부 축적 지방 및 자궁의 중량의 변화와 복부 축적 지방의 두께 및 평균 지방세포 직경, 자궁 전체, 상피 및 점막의 두께와 점막내 자궁샘이 차지하는 비율의 변화를 각각 평가하였다. 또한 골다공증 개선효과, 즉 골 보호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대퇴골, 경골 및 요추골의 습, 건조 및 탄화 중량, 골밀도, 골강도, 혈중 osteocalcin 및 bone specific alkaline phosphatase(bALP) 함량, 골량 및 구조와 골흡수에 대한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각각 측정하였다. 실험군(5개군; 군당 8마리의 랫트 사용) 거짓수술 대조군(거짓수술 후, 증류수 투여 대조군) 난소적출 대조군(난소적출 수술 후, 증류수 투여 대조군) GGOT500(난소적출 수술 후, 가감귀비온담탕 추출물 500 mg/kg 투여 고용량 실험군) GGOT250(난소적출 수술 후, 가감귀비온담탕 추출물 250 mg/kg 투여 중간용량 실험군) GGOT125(난소적출 수술 후, 가감귀비온담탕 추출물 125 mg/kg 투여 저용량 실험군) 결 과: 난소적출 대조군에서는 거짓수술 대조군에 비해 현저한 체중 및 증체량, 사료 및 물 섭취량, 축적 복부 지방 중량, 혈청 중 osteocalcin 함량의 증가가 자궁, 대퇴골, 경골 및 L5 중량과 혈중 bALP 및 에스트라디올 함량의 감소와 함께 인정되었으며, 현저한 복벽 축적 지방 두께의 증가 및 자궁의 위축, 대퇴골, 경골 및 L4의 골량 및 구조의 감소 소견이 골 흡수 지표(Ocn 및 OS/BS)의 현저한 증가와 함께 조직병리학적 및 조직형태계측학적으로 인정되었다. 즉, 전형적인 에스트로겐 결핍성 갱년기 장애가 난소적출에 의해 유발되었다. 한편 이러한 난소적출에 의한 에스트로겐 결핍성 폐경기 관련 갱년기 장애 소견이, 가감귀비온담탕 추출물 500, 250 및 125 mg/kg의 84일에 걸친 연속 경구 투여에 의해 투여 용량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결 론: 이상의 결과에서, 가감귀비온담탕 500, 250 및 125 mg/kg의 경구투여는 난소적출 랫트에서 에스트로겐 결핍성 폐경기 관련 갱년기 장애 개선 효과를 투여 용량 의존적으로 나타내었다. 따라서 가감귀비온담탕은 효과적인 갱년기 장애 개선제로서 개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에스트로겐 결핍성 비만 및 골다공증의 개선에 유효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가감귀비온담탕은 총 18종의 약제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 수많은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이후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화학성분의 검색과 더불어 다양한 방면으로 기전적인 연구가 체계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