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al history records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2초

구술을 통한 재난 사고의 기록화 세월호 참사 관련 구술을 중심으로 (Disaster Documentation through Oral History : Focus on Sinking of the MV Sewol)

  • 송주형
    • 기록학연구
    • /
    • 제44호
    • /
    • pp.155-197
    • /
    • 2015
  • 세월호 참사가 벌어진지 1주기가 됐다. 사건발생 후 지금까지 기록학계를 비롯한 많은 이들이 사건을 기록하기 위해 노력했다. 안산활동가들이 주축이 된 시민기록위원회도 그중 하나다. 시민기록위원회 산하 구술증언팀에서는 세월호와 관련된 다양한 사람들의 구술을 채록해왔다. 세월호 유가족은 물론 자원봉사자, 종교계 인사, 시민운동가, 안산 시민 등으로부터 구술을 수집했다. 전 세계적으로 재난은 모두가 함께 기억하고 추모하는 중요한 사건으로, 이를 기록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수단 중 하나는 구술 아카이브 구축이다. 갑작스레 발생하는 재난의 특성상 기록이 많이 남겨지지 않고, 추모기록을 비롯해 사건에 대한 다양한 시각의 사람들이 들려주는 구술이야 말로 사건의 실체에 다가서는데 많은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9.11 테러를 추모하기 위해 건립된 미국의 '국립9.11추모박물관'에서는 관련된 사람들의 구술을 채록하기 위해 여러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있다. 2013년 발생한 보스톤 마라톤 폭탄 테러를 기억하기 위해 '아워 마라톤'이라는 크라우드 소싱 디지털 아카이브가 구축됐다. 지역의 대학과 기관들이 협업해 만든 이 아카이브에서는 구술채록을 적극적으로 하고 있다. 팬암 항공 103편 테러사건은 시라큐스 대학에서 아카이브를 설립했다. 이곳 역시도 졸업생, 교직원, 희생자의 가족과 친구 등에게 구술을 수집하고 있다. 세월호 참사 관련 구술 역시도 이런 해외 사례와 마찬가지로 지속적으로 수집해야하며, 희생자 추모 등으로 활용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다시는 이런 재난이 이 땅에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구술 기록의 데이터 요소 분석에 의한 구술기록관리시스템 제안사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ggestion of the Oral Record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Analysis of Data Element of the Oral Records)

  • 박혜준;김익한
    • 기록학연구
    • /
    • 제59호
    • /
    • pp.79-127
    • /
    • 2019
  • 구술사 연구가 증가하며 구술 기록은 공공기관뿐만 아니라 민간영역에서도 활발하게 수집 관리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수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술 기록을 대상으로 하는 시스템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은 충분하지 못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시작된 본 연구에서는 구술 기록의 특성, 시스템의 구술기록관리 구성요소를 분석하고 현재 구술 기록을 관리 서비스하는 기관을 선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구술 기록을 수집하고는 있지만 시스템 설계 구축을 계획 중인 대통령기록관에서 요구하는 정보들을 분석했다. 이렇게 도출된 분석 내용 및 문제점을 참고하여 구술기록관리시스템의 구술 데이터 구성요소와 엔티티 관계도를 설계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체계적인 구술기록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제안사항을 제시하고자 한다.

Clinical and panoramic radiographic features of osteomyelitis of the jaw: A comparison between antiresorptive medication-related and medication-unrelated conditions

  • Shin, Jeong Won;Kim, Jo-Eun;Huh, Kyung-Hoe;Yi, Won-Jin;Heo, Min-Suk;Lee, Sam-Sun;Choi, Soon-Chul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9권4호
    • /
    • pp.287-294
    • /
    • 2019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clinical and imaging features of contemporary osteomyelitis(OM) and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these features on panoramic radiography according to patients' history of use of medication affecting bone metabolism. Materials and Methods: The records of 364 patients(241 female and 123 male, average age 66.8±14.9 years) with OM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Panoramic imaging features were analyzed and compared between patients with medication-related OM(m-OM) and those with conventional, medication-unrelated OM(c-OM). Results: The age of onset of OM tended to be high, with the largest number of patients experiencing onset in their 70s. The 2 most frequent presumed causes were antiresorptive medication use (44.2%) and odontogenic origin (34.6%). On panoramic radiographs, a mix of osteolysis and sclerosis was the most common lesion pattern observed (68.6%). Sequestrum, extraction socket, and periosteal new bone formation were found in 143(42.1%), 79 (23.2%), and 24 (7.1%) cases, respectively. The m-OM group exhibited sequestrum and extraction socket more frequently and displayed significantly higher mandibular cortical index values than the c-OM group. Conclusion: We observed some differences in imaging features as shown on panoramic radiography according to the history of antiresorptive medication use. This study may help elucidate the predictive imaging features of medication-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

Factors affecting treatment outcomes in patients with oral lichen planus lesions: a retrospective study of 113 cases

  • Park, Shin-Young;Lee, Hyo-Jung;Kim, So-Hyun;Kim, Sung-Beom;Choi, Yong-Hoon;Kim, Young-Kyun;Yun, Pil-Yo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8권4호
    • /
    • pp.213-223
    • /
    • 2018
  • Purpose: Oral lichen planus (OLP) is a chronic oral mucosal disease that has been recognized as an immune con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factors affecting the clinical outcomes of topical corticosteroid application on OLP lesions using dexamethasone gargle and ointment. Methods: The charts of patients who were clinically diagnosed with OLP and treated with dexamethasone from July 2003 to August 2017 at the Section of Dentistr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were thoroughly evaluated to identify subjects who were suitable for this retrospective study. For each patient, age at the index date, gender, medical history, and dental records related to OLP lesions and dexamethasone treatment were reviewed. Results: In total, 113 of the 225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present study. Among them, 79 patients were female (69.9%) and 34 were male (30.1%), with a mean age of 57.6 years. The average duration of dexamethasone treatment was 4.7 months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24 years. Improvements were observed within 1 year after dexamethasone treatment in most cases, and 17.7% of patients had a new OLP lesion after treatment. New OLP lesions were more frequently gingival than mucosal, although mucosal OLP lesions were more common than gingival OLP lesions in all age groups. In age- and gender-adjuste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 history of malignant disease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the formation of new lesions. Gingival OLP lesions and intermittent use of dexamethasone showed near-significant associations. In Kaplan-Meier failure analysis, history of malignancy, menopausal status, age, and the site of the OLP lesion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clinical outcomes. Conclusions: The treatment outcomes of OLP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age, history of malignancy, menopausal status, and the site of the OLP lesion, but not by factors related to dexamethasone treatment.

노동청 기록의 재조직에 관한 연구 - 국가기록원 소장 기록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Re-organization of the Administration of Labor's Records in the custody of the National Archives)

  • 곽건홍
    • 기록학연구
    • /
    • 제23호
    • /
    • pp.141-178
    • /
    • 2010
  • 노동정책 수립과 생산현장에서 노동법령을 관철하는 행정기관으로서 노동청은 주로 기술 실무적인 기능을 수행하였다. 노동청 잔존 기록 또한 노동정책 결정과정을 알 수 있는 기록은 남아 있지 않으며, 불균형적으로 존재하는 행정기록의 형태를 잘 보여주고 있다. 노동청 잔존 기록은 이관 당시의 무질서한 편철 상태가 유지되어 있어 기록철명으로는 기록의 내용을 제대로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다. 비록 기록철을 찾았다고 해도 일일이 기록건과 내용을 파악해야 하는 수고를 이용자가 부담해야 한다. 노동청 잔존 기록을 재조직하기 위해 노동청의 기능을 4단계로 분해하여 잔존 기록을 연계하였다. 또한 '기록물 개요 목록'을 작성하여 이용자가 더 많은 기록 정보를 이용하여 기록에 접근할 수 있도록 구상하였다. 아울러 선후행 관계를 알 수 없는 잔존 기록에 대한 '논리적 재편철'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잔존 기록 재조직 방식은 향후 기록의 기술과 검색도구 제공 방향을 설정하는 것은 물론 노동기록의 수집 평가 정책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노동사 맵(map)을 작성하는 것은 노동기록 수집 전략의 출발점이다. 이를 통해 이용자는 잔존 기록에 대한 접근을 구조적으로 할 수 있다. 노동사 맵 작성을 위해서는 먼저 잔존 노동기록의 광범위한 조사 분석이 필요하다. 경제사회분야 행정기관은 물론이고, 수사기관, 국회 등의 잔존 기록을 조사 분석해야 한다. 이와 함께 노동사 주요 사건과 활동을 주제별, 시기별로 표상화하고 정리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이를 바탕으로 잔존 기록과 연계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노동기록 수집과 구술사 프로젝트의 수행 등에 상당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노동 아카이브(Labor Archives) 설립 환경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establishment environment of the Labor Archives)

  • 곽건홍
    • 기록학연구
    • /
    • 제20호
    • /
    • pp.77-114
    • /
    • 2009
  • 1980년대 이후 한국의 '전투적' 노동운동은 노동계급의 존재를 세상에 알렸다. 그러나 한국 현대 노동운동의 역사를 재현하는 것은 간단치 않은 일이다. 그동안 노동계급 주체의 기록이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노동조합의 기록관리 현실은 제대로 된 기록관리 규정이 없는 사실로도 입증된다. 노동조합의 기록관리 관련 규정은 '조선총독부 처무규정'과 마찬가지로 '처무규정'의 이름으로도 존재한다. 노동조합에서 기록은 증빙기록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 기록의 분류 편철 폐기 등은 1970년대 '정부공문서' 규정과 같은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노동조합의 기록관리 규정은 '원시적'이다. 노동조합의 기록 보존기간 책정 기준은 전문성이 결여되어 있다. 영구 기록 선별 기준도 기본적인 문서 또는 이에 준하는 문서라는 규정에 의지하고 있으며, 거의 증빙기록 중심이다. 다분히 자의적이고 추상적이다. 전국노동조합협의회의 잔존기록은 매우 분절적으로 존재한다. 단체교섭 업무를 계획수립, 조사활동, 단체교섭 요구서 작성 의견수렴 활동, 요구안 제출 선전, 교섭, 타결 후 활동 등으로 구분하여 잔존기록을 살펴보았지만, 단위사업장 기록은 일부만 남아 있다. 교육 관련 기록, 대의원대회 기록 또한 마찬가지이다. 업무 과정과 결과 전체를 재현할 수 있는 기록 시리즈는 거의 없다. 이러한 점은 미국 남부 노동 아카이브 컬렉션들과 비교하면 많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남부 노동 아카이브 기록들은 지역 노동조합 중앙의 집행 조직과 관계된 지역의 기록은 물론이고, 팸플릿 잡지 사진 개인 기록 구술 기록, 협정서 정관 내규 등의 조직 기록, 총회 의사록 등을 포함하고 있다. 결국 백서 발간 준비 시점에 이르러서야 기록을 수집하는 현상은 현재의 노동조합에서도 여전히 나타날 수 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기록을 생산하는 시점부터 기록을 관리해야 한다는 인식이 시급히 노동조합에 확산되어야 할 것이다. 최근 노동운동 기록의 수집과 관리 등을 사업으로 설정한 '노동자역사 한내'가 조직되어 기록의 전산화와 편찬사업 등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한내'는 한국 사회에서 노동 아카이브로 전환될 수 있는 일정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전환의 문제만은 아니다. 노동 아카이브를 설립하는 과정에서 연대와 실천을 통해 노동조합의 기록관리 기반을 만들고 정상화 시켜야 한다. '노동조합 표준 기록관리 규정'의 보급, 보유일정표 재설계, 노동조합의 기록관리 모형 개발 등 기록관리의 기초적인 활동을 사업의 중심으로 삼아야 한다. 또한 기록의 공유를 통한 연대와 소통을 위해 노동 아카이브 허브 기관의 역할도 담당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것이 가능할 때 노동 아카이브 설립은 현실화 될 수 있을 것이다.

Archives and Records 학술지 수록 논문을 통한 영국 기록관리학 연구 동향 분석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records management in the UK through articles published in Archives and Records)

  • 김현정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63-87
    • /
    • 2023
  • 본 연구는 영국의 대표적인 기록관리학 학술지인 Archives and Records에 수록된 연구 논문을 분석하여 국외 기록관리학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국내의 기록관리학 연구 동향과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3년부터 최근까지 10년 동안 「기록학연구」에 수록된 318편의 논문과 「Archives and Records」에 수록된 142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정량분석을 통해 저자 분포와 공동연구의 비율, 소속기관의 유형별 분포, 주제분야별 분포를 파악하고, 「기록학연구」에서 1,251개, 「Archives and Records」에서 508개의 저자키워드를 추출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한 결과 「기록학연구」에는 (1) 아카이브, 기록, 기록관리, 기록정보 서비스 등 기록관리 일반에 관한 연구, (2) 공공기록물 관련 연구, (3) 민간기록물 관련 연구, 그리고 (4) 기록의 평가·선별, 폐기 등 기록관리의 기술에 관한 연구 등이 군집을 이루고 있고, 「Archives and Records」에는 (1) 커뮤니티 아카이브나 지역 아카이브와 관련한 다양한 실제 사례를 다루는 연구가 많고, (2) 기록의 기술이나 선별, 접근, 보존, 서비스 등 기록관리의 기술과 관련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3) 구술기록이나 시청각기록 등의 디지털화에 관한 연구도 주요 주제 중 하나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국회기록정보 통합관리시스템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Assembly Archives and Record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 김장환;이은별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3-136
    • /
    • 2015
  • 국회기록보존소는 국가기록원에서 개발한 표준기록관리시스템에 보존기록관리 기능을 일부 추가한 형태의 '국회기록관리시스템'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시스템의 근간이 되는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은 기록관 기능 수행을 위해 개발 보급되었기 때문에 영구기록물관리기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국회기록보존소의 업무 기능을 모두 반영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더구나 현행 국회기록관리시스템은 법규에 따라 이관받는 공문서 관리 중심이기 때문에 의정활동과 관련하여 수집한 국회의원 기록물, 역대 국회의장 등으로부터 채록한 구술기록, 영상회의록 등 다양한 유형의 기록물을 등록하여 관리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행 국회기록관리시스템의 문제점 분석과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 창원시, 문화재청에서 운용 중인 시스템 사례연구를 통해 향후 개발 예정인 국회기록정보 통합관리시스템의 기능 구성, 메타데이터, 목표시스템 등을 제안하였다.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intravenous midazolam and fentanyl sedation in patients undergoing minor oral surgery

  • Saiso, Krittika;Adnonla, Pornnarin;Munsil, Jitpisut;Apipan, Benjamas;Rummasak, Duangdee;Wongsirichat, Natthamet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17권3호
    • /
    • pp.199-204
    • /
    • 2017
  • Background: Anxiety control remains an important concern in dental practice. We evaluated the incidence, nature, and sequelae of complications during and after minor oral surgeries performed under intravenous midazolam and fentanyl sedation using the titration technique. Metho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had undergone minor oral surgeries under moderate intravenous midazolam and fentanyl sedation at our institution between January 1, 2015 and December 31, 2015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Age, sex, body mass index, medical history,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ASA) classification, indications for sedation, amount of sedative used, surgical duration, and recovery time were evaluated for all patients. Results: In total, 107 patients aged 9-84 years were included. ASA class I and class II were observed for 56.1% and 43.9% patients, respectively.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sedation occurred in 11 (10.2%) patients. There were no serious adverse events. Oxygen saturation reached 95% during the procedure in six patients; this was successfully managed by stimulating the patients to take a deep breath. Two patients exhibited deep sedation and one exhibited paradoxical excitement. After the procedure, one patient experienced nausea without vomiting and one exhibited a prolonged recovery time. The surgical procedures were completed in all patients. Obesity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dation-related complications.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intravenous midazolam and fentanyl sedation using the titration technique for minor oral surgeries are mostly minor and can be successfully managed with no prolonged sequelae.

Effect of tranexamic acid on blood loss reduction in patients undergoing orthognathic surgery under hypotensive anesthesia: a single-center,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 Keisuke Harada;Noritaka Imamachi;Yuhei Matsuda;Masato Hirabayashi;Yoji Saito;Takahiro Kann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50권2호
    • /
    • pp.86-93
    • /
    • 2024
  • Objectives: Orthognathic surgery is a surgical procedure performed by intraoral approach with established and safe techniques; however, excessive blood loss has been reported in rare cases. In response, investigative efforts to identify methods to reduce the amount of blood loss have been made. Among such methods, the administration of tranexamic acid was reported to reduce the amount of intraoperative blood loss. However, few studies to date have reported the effect of tranexamic acid in orthognathic surgery under hypotensive anesthesia.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administration of tranexamic acid on intraoperative blood loss in patients undergoing bimaxillary (maxillary and mandibular) orthognathic surgery under hypotensive anesthesia. Patients and Methods: A total of 156 patients (mean age, 27.0±10.8 years) who underwent bimaxillary orthognathic surgery under hypotensive anesthesia performed by the same surgeon between June 2013 and February 2022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following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medical records of each patient: background factors (age, sex, and body mass index), use of tranexamic acid, surgical procedures, previous medical history, duration of surgery,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y physical status findings before surgery, intraoperative blood loss as a primary outcome, in-out balance, and blood test results.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alculat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a t-test and the chi-squared test were used for between-group comparisons. Group comparisons were performed after 1:1 propensity score matching to adjust for confounding factor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P<0.05. Results: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based on the use of tranexamic acid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peration time. 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is revealed that intraoperative blood los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tranexamic acid group. Conclusion: The administration of tranexamic acid was effective in reducing intraoperative blood loss in patients undergoing bimaxillary orthognathic surgery under hypotensive anesthe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