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timal seismic capacity distribution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Optimal distribution of steel plate slit dampers for seismic retrofit of structures

  • Kim, Jinkoo;Kim, Minjung;Eldin, Mohamed Nour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25권4호
    • /
    • pp.473-484
    • /
    • 2017
  • In this study a seismic retrofit scheme for a building structure was presented using steel plate slit dampers. The energy dissipation capacity of the slit damper used in the retrofit was verified by cyclic loading test. Genetic algorithm was applied to find out the optimum locations of the slit dampers satisfying the target displacement. The seismic retrofit of the model structure using the slit dampers was compared with the retrofit with enlarging shear walls. A simple damper distribution method was proposed using the capacity spectrum method along with the damper distribution pattern proportional to the inter-story drifts. The validity of the simple story-wise damper distribution procedure was verifi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genetic algorithm. It was observed that the capacity-spectrum method combined with the simple damper distribution pattern leaded to satisfactory story-wise distribution of dampers compatible with the optimum solution obtained from genetic algorithm.

Comparison between uniform deformation method and Genetic Algorithm for optimizing mechanical properties of dampers

  • Mohammadi, Reza Karami;Mirjalaly, Maryam;Mirtaheri, Masoud;Nazeryan, Meissam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14권1호
    • /
    • pp.1-10
    • /
    • 2018
  • Seismic retrofitting of existing buildings and design of earth-quake resistant buildings are important issues associated with earthquake-prone zones. Use of metallic-yielding dampers as an energy dissipation system is an acceptable method for controlling damages in structures and improving their seismic performance. In this study, the optimal distribution of dampers for reducing the seismic response of steel frames with multi-degrees freedom is presented utilizing the uniform distribution of deformations. This has been done in a way that, the final configuration of dampers in the frames lead to minimum weight while satisfying the performance criteria. It is shown that such a structure has an optimum seismic performance, in which the maximum structure capacity is used. Then the genetic algorithm which is an evolutionary optimization method is used for optimal arrangement of the steel dampers in the structure. In continuation for specifying the optimal accurate response, the local search algorithm based on the gradient concept has been selected. In this research the introduced optimization methods are used for optimal retrofitting in the moment-resisting frame with inelastic behavior and initial weakness in design. Ultimately the optimal configuration of dampers over the height of building specified an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uniform deformation method with those of the genetic algorithm, the validity of the uniform deformation method in terms of accuracy, Time Speed Optimization and the simplicity of the theory have been proven.

인접구조물의 진동제어를 위한 선형감쇠시스템의 최적설계 (Optimal Design of Linear Viscous Damping System for Vibration Control of Adjacent Building Structures)

  • 박관순;옥승용;고현무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85-100
    • /
    • 2006
  • 이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층 높이를 갖는 인접한 두 빌딩의 내진성능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선형 점성 감쇠기의 최적 설계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층간 대각 브레이싱 형태의 에너지 소산장치 연결방법과 인접 구조물간 에너지 소산장치 연결방법을 고려하였으며, 두 가지 연결방법을 적용한 시스템에 대한 감쇠용량별 주파수응답함수 비교를 통하여 구조물간 연결방법의 효율성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구조물간 연결방법에서 주파수응답함수를 최소화하는 최적 감쇠용량이 존재하는 것을 보이고, 최적 설계된 시스템에 대하여 감쇠용량별 구조물의 고유주파수 및 등가감쇠비의 민감도를 분석하였다. 민감도 분석 결과로부터 고층부에 설치되는 에너지 소산장치가 구조물의 등가 감쇠비를 효율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민감도에 비례하는 새로운 감쇠기 설계방법을 제시하고, 대각 브레이싱 연결방법과 구조물간 연결로서 균등분포 및 제시하는 민감도 기반 분포에 따른 연결방법을 적용한 시스템들의 내진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지진응답의 비교결과, 제시하는 방법이 인접 구조물의 효과적인 내진설계방법이 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연구용 원자로에 대한 지진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 연구 (A Study on Seismic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for a Research Reactor)

  • 오진호;곽신영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1권1호
    • /
    • pp.31-38
    • /
    • 2018
  • 설계기준을 초과하는 지진 재해는 원자력 시설물에 상당한 위험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성을 확률론적으로 정량화하는 방법이 확률론적 지진 안전성 평가(seismic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이다. 이에 따라 지진 PSA는 국내외 다수의 원자력 발전소에 적용되어 지진 재해에 대한 원전의 안전성을 확률론적으로 평가하고 이에 대비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원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연구용 원자로와 같은 경우에는 지진 PSA가 적용된 예가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진 PSA기법을 실제 완공된 연구로에 적용하여 안전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연구로를 구성하는 시스템의 지진 내력에 대한 최적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지진 재해 하에서 연구로에 발생할 수 있는 노심 손상 가능성을 정량화하였고, 현재 설계안과 비교하여 적은 비용으로 최대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최적 지진 내력 분포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지진에 대비하여 연구로 안전성을 효과적으로 제고할 수 있는 정량적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Mechanics model of novel compound metal damper based on Bi-objective shape optimization

  • He, Haoxiang;Ding, Jiawei;Huang, Lei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23권4호
    • /
    • pp.363-371
    • /
    • 2022
  • Traditional metal dampers have disadvantages such as a higher yield point and inadequate adjustability.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low yield point steel has superior energy dissipation hysteretic capacity and can be applied to seismic structures. To overcome these deficiencies, a novel compound metal damper comprising both low yield point steel plates and common steel plates is presented. The optimization objectives, including "maximum rigidity" and "full stress state", are proposed to obtain the optimal edge shape of a compound metal damper. The numerical results show that the optimized composite metal damper has the advantages such as full hysteresis curve, uniform stress distribution, more sufficient energy consumption, and it can adjust the yield strength of the damper according to the engineering requirements. In view of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mpound metal damper, the equivalent model of eccentric cross bracing is established, and the approximate analytical solution of the yield strength and the yield displacement is proposed. A nonlinear simulation analysis is carried out for the overall aseismic capacity of three-layer-frame structures with a compound metal damper. It is verified that a compound metal damper has better energy dissipation capacity and superior seismic performance, especially for a damper with double-objective optimized shape.

선형 점성 감쇠기가 장착된 인접구조물의 진동제어를 위한 유전자 알고리즘 기반 최적설계 (GA-Based Optimal Design for Vibration Control of Adjacent Structures with Linear Viscous Damping System)

  • 옥승용;김동석;고현무;박관순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1-19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인접한 두 빌딩의 진동제어를 위한 방법으로 선형 점성 감쇠기의 위치별 용량의 최적설계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들에서는 감쇠기의 균등분포 또는 층별 감쇠비의 민감도에 비례하는 분포의 가정 하에서의 준최적(suboptimal) 설계문제를 다룬 반면, 이 연구에서는 감쇠기의 위치별 용량을 독립적인 설계인자로 고려함으로써 전역 최적해를 결정하는 최적화기법을 다루었다. 이를 위하여 넓은 영역에서 다수의 설계변수를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유전자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을 도입하였으며, 제어 성능 및 감쇠용량에 대한 목적함수의 정의를 달리함으로써 얻어지는 여러 최적설계 결과를 상호 비교하여 보다 최적의 해를 구할 수 있는 목적함수를 정립하였다. 기존 연구결과와의 제어성능 및 감쇠용량의 비교를 통하여 제시하는 방법의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아울러 서로 상이한 주파수 성분을 띄는 실제 역사지진에 대한 시간이력해석을 통하여 제시하는 방법이 인접 구조물의 효과적인 제진설계방법이 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