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timal distance

검색결과 1,290건 처리시간 0.029초

열전달 계수 최대화를 위한 마이크로 증발기의 최적 설계 (Optimal design of a micro evaporator to maximize heat transfer coefficient)

  • 성태종;오대식;서태원;김종원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B
    • /
    • pp.2097-2101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an optimal design of a micro evaporator which maximizes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Number of gaps, spanwise distance and streamwise distance are selected as the geometric design parameters. Mass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is selected as the non-geometric design parameter. Temperature at the surface of the heater is measured to valuate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Nine experiments are conducted using $L_9(3^4)$ orthogonal array. Maximum heat transfer coefficient is 640 W/$m^2K$ at the parameters of 2 gaps, 0.2 mm spanwise distance, 1.0 mm streamwise distance and 0.72 g/s mass flow rate. Among the 3 geometric parameters, the spanwise distance is the most sensitive parameter influencing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We conduct a second stage of experiment to increase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by reselecting the mass flow rate. We concluded that 0.87 g/s is the optimized flow rate for an active micro cooler resulting in a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651 W/$m^2K$.

  • PDF

Designing Refuse Collection Networks under Capacity and Maximum Allowable Distance Constraints

  • Kim, Ji-Su;Lee, Dong-Ho
    • Management Science and Financial Engineering
    • /
    • 제19권2호
    • /
    • pp.19-29
    • /
    • 2013
  • Refuse collection network design, one of major decision problems in reverse logistics, is the problem of locating collection points and allocating refuses at demand points to the opened collection points. As an extension of the previous models, we consider capacity and maximum allowable distance constraints at each collection point. In particular, the maximum allowable distance constraint is additionally considered to avoid the impractical solutions in which collection points are located too closely. Also, the additional distance constraint represents the physical distance limit between collection and demand points. The objective is to minimize the sum of fixed costs to open collection points and variable costs to transport refuses from demand to collection points. After formulating the problem as an integer programming model, we suggest an optimal branch and bound algorithm that generates all feasible solutions by a simultaneous location and allocation method and curtails the dominated ones using the lower bounds developed using the relaxation technique. Also, due to the limited applications of the optimal algorithm, we suggest two heuristics. To test the performances of the algorithms, computational experiments were done on a number of test instances, and the results are reported.

객체의 순환적 위치속성을 고려한 최대근접질의의 처리방법 (The Processing Method of Nearest Neighbor Queries Considering a Circular Location Property of Object)

  • 선휘준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85-88
    • /
    • 2009
  •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최대근접질의는 매우 빈번히 발생하며, 다른 유형의 공간질의에 비하여 처리비용이 많이 요구된다. 최대근접질의의 처리비용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색인에서 검색되는 노드의 수와 연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검색거리 측도가 필요하다. 또한 최대근접질의에 따른 검색 노드들을 정확히 선택하기 위해서는 객체들의 순환적 위치 속성을 고려해야 한다. 본 논문은 순환도메인을 갖는 검색공간에서 객체의 순환적 위치속성을 고려한 최대근접질의 처리방법을 제안하고 그 특성을 보인다. 제안한 방법은 최대근접질의의 처리비용을 최적화하기 위한 검색거리 측도인 순환최소거리와 순환최적거리를 사용한다.

  • PDF

지역적 거리전파를 이용한 자동 폐 정합 (Automatic Lung Registration using Local Distance Propagation)

  • 이정진;홍헬렌;신영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2권1호
    • /
    • pp.41-49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동일 환자에 대하여 시간차론 두고 촬영한 복부 CT 영상에서 환자의 움직임에 따른 두 영상 간 차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지역적 거리전파를 이용한 자동 폐 정합 방법을 제안한다. 본 제안방법은 다음과 같은 세 단계로 구성된다 첫 번째, 일련의 두 볼륨데이타에서 폐 경계를 추출한 후, 폐를 포함하는 최적경계볼륨을 생성하여 초기정합을 수행한다 두 번째, 초기에 촬영한 볼륨데이타에서 지역적 거리전파를 이용하여 폐 경계로부터 3차원 거리맵을 생성한다. 세 번째, 선택적 거리 측정을 통해 두 경계간에 거리차이가 최소인 위치로 영상을 정합한다. 실험으로 3명의 환자 데이타에 대하여 영상정합을 하였고, 기존의 챔퍼매칭 정합 방법과 수행속도와 견고성 측면에서 비교 평가하였다. 본 제안방법은 지역적 거리전파를 사용하여 생성된 3차원 거리맵을 이용한 선택적 거리측정을 통하여 최적의 위치로 빠르고 견고하게 정합된다.

송전선로 보호용 디지털 지능형 거리계전기 (Digital Adaptive Distance Relay for Transmission Line Protection)

  • 정창호;김진오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력기술부문A
    • /
    • 제50권9호
    • /
    • pp.411-416
    • /
    • 2001
  • Distance relay is the most widely used in transmission line protection because it is applicable not only as main protection but also as back-up protection. However, the protection range of the distance relay is always fixed in the unchangeable operating range while the power system varies, and therefore the distance relay is the device that is the highly influenced by the power system changes. In this regard, this paper describes an approach to minimize the mal-operation of the distance relay due to the power system changes through changing protection range of the distance relay into optimal condition in response to the load variation and power system condition. Also mal-function of the distance repay in case of high resistance ground faults could be minimized through modeling the protection range into quadratic function.

  • PDF

ATSC DTV 수신기를 위해 변형된 트렐리스 복호기를 사용하는 블라인드 판정 궤환 등화기 (Blind Decision Feedback Equalizer with a Modified Trellis Decoder for ATSC DTV Receivers)

  • 박성익;김형남;김승원;이수인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481-491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ATSC DTV 수신기를 위한 준 최적화된 판정 궤환 등화기 (decision feedback equalizer; DFE)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DFE는 TBD (Trellis Back Depth)가 1인 변형된 트렐리스 복호기 (modified trellis decoder; MTD)를 판정 장치로 사용함으로써 낮은 복잡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에러 전파가 없는 최적화된 DFE에 근접하는 성능을 보인다. MTD는 branch metric의 계산을 위해 ED (Euclidean Distance)의 자승 대신 AD (Absolute Distance)를 사용하기 때문에 낮은 복잡도를 가진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판정 장치인 양자화기(slicer)에 비해 매우 낮은 판정 에러 확률을 가지며, ED를 사용하는 트렐리스 복호기 (trellis decoder: TD)와 비슷한 성능을 가진다. 판정 장치에서의 낮은 에러 확률은 수렴 속도와 잔류 에러 측면에서 우수한 수렴 성능을 야기시키며, 전산 실험을 통해 MTD를 가지는 블라인드 DFE의 성능을 검증한다.

교통량 불균형을 고려한 회전교차로와 신호교차로간 최적거리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Optimal Distance between Signalized Intersections and Roundabouts Considering Unbalanced Traffic Conditions)

  • 안홍기;김동선;배기목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1권6호
    • /
    • pp.707-714
    • /
    • 2021
  • 회전교차로 주변 지체 유발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는 교통량 불균형 상태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연구에서는 교통량 불균형을 규명하는 연구에 있어 상충교통량보다 진입교통량 비율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회전교차로 건설 시 지체와 관련한 인접 교차로와의 적정거리에 관한 연구도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교통량 불균형이 발생하고 신호 교차로와 인접한 이천시 가좌로 회전교차로를 대상으로 교통량 불균형 및 적정거리 산정 연구를 SIDRA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좌로 회전교차로는 상충교통량 측면에서 불균형 상태로 인해 회전교차로의 지체가 발생하였고 신호교차로와 거리가 850 m일 때부터 모든 접근로에서 대기행렬이 소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박 통항로와 해상풍력단지 간 최적의 이격거리 산정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Calculation Model for an Optimal Safe Distance between Ship Routes and Offshore Wind Sites)

  • 온성욱;남궁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973-991
    • /
    • 2022
  • 전 세계적으로 해상을 마주하고 있는 여러 국가들은 기존의 전력 생산방식의 단점을 극복하고 해상풍력 개발을 통한 친환경에너지자원을 활용하고 있다. 해상은 넓은 해역에 대규모 풍력단지를 개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해양구조물의 설치로 인해 선박의 안전운항이 위협받고 있다. 이에 따라, 선박 통항로와 해상풍력단지 간 상호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여 선박이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도록 PIANC에서는 표준 Guideline을 제시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표준 Guideline은 모든상황에서 동일한 이격거리를 산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회성능, 조우상태, 환경외력, 해상밀집도, 해상풍력발전기, 항로형태 등을 요소로 반영한 선박 통항로와 해상풍력단지 간 최적의 이격거리 산정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델 검증을 위한 시뮬레이션 결과, 운항 준비상태에 따른 입지 특성별 선회성능 크기는 산정 모델에서 제시한 크기와 유사하였다.

MIMO Ad Hoc Networks: Medium Access Control, Saturation Throughput, and Optimal Hop Distance

  • Hu, Ming;Zhang, Junshan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6권4호
    • /
    • pp.317-330
    • /
    • 2004
  • In this paper, we explore the utility of recently discovered multiple-antenna techniques (namely MIMO techniques) for medium access control (MAC) design and routing in mobile ad hoc networks. Specifically, we focus on ad hoc networks where the spatial diversity technique is used to combat fading and achieve robustness in the presence of user mobility. We first examine the impact of spatial diversity on the MAC design, and devise a MIMO MAC protocol accordingly. We then develop analytical methods to characterize the corresponding saturation throughput for MIMO multi-hop networks. Building on the throughout analysis, we study the impact of MIMO MAC on routing. We characterize the optimal hop distance that minimizes the end-to-end delay in a large network. For completeness, we also study MAC design using directional antennas for the case where the channel has a strong line of sight (LOS) component. Our results show that the spatial diversity technique and the directional antenna technique can enhance the performance of mobile ad hoc networks significantly.

설계 데이터가 손실된 선박에 대한 BWMS 설치 계획 연구 (A Study on BWMS Installation for a Ship without CAD Data)

  • 전송권;최영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1-8
    • /
    • 2016
  • After 2017 years, BWMS units must be installed in the existing ship as well as the new ship by the ballast water management convention. Software tools that can help automatically searching for BWMS installation space to avoid pipes and equipment in the engine room of the existing ship will be very useful in the BWMS layout design. In this study, voxel representation of scanned data is generated first to search space efficiently. Simplified voxel models of each unit are prepared to be located in the engine room space as well. Distance between connected models is calculated through the arrangement direction and position of each model. Sums of distance between connected models are compared for the optimal configuration. It is assumed that the sum of distance between connected models depicts the pipe usage. The proposed method can save the time needed for BWMS installation design and allows optimal configuration of BWMS un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