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enning-up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중국 도서관학정보학 영역의 국제화 문제 (Internalization Problem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 단명훈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7권
    • /
    • pp.365-390
    • /
    • 1994
  • The article sets forth a problem on international exchange and cooperation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from engles of academic and publication's exchange, It points out international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Korea should be developed from international exchange of publications and interlibrary loan to openning up standard, authority and current database on publications step by step. China and Korea should supply the database to all of the world, In order to come up to shared resources, the author has compared the Descriptive Cataloguing Rules for Western Language Materials, and the Bibliographical Description for Monographes with the Korean Cataloguing Rules for Description, and analyzed their different. In the end, the article presents the result that the documentation standardzation is the only way of accomplishing shared resources in the world from indentity of description for publications and materials, and unity of cataloguing rules.

  • PDF

목재수확계획을 위한 집재거리 계산방법중 포인트그리드방법과 버퍼링방법의 비교분석 (Comparison of a Point-Grid-Method and a Buffering-Method to Calculate Skidding Distance for Timber Harvest Planning)

  • 박수규;강건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6호
    • /
    • pp.611-616
    • /
    • 2008
  • 본 연구는 목재수확작업에서 GIS를 이용하여 실제 평균집재거리를 산출하기 위한 과정으로 최단 평균집재거리 계산방법 중에서 포인트그리드방법과 버퍼링방법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의 시험림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면적은 264.9 ha, 임도밀도는 32.67 m, 임도간격은 306.1 m였으며, 양방향집재일 경우 임도망보정계수(Kn)는 1.53이고, 이론적인 평균집재거리는 72.52 m로 조사되었다. 포인트그리드방법을 이용한 최단평균집재거리는 149.57 m, 버퍼링방법을 이용한 최단평균집재거리는 139.68 m이며, 집재거리보정계수(Kr)는 2.15, 전체보정계수(Kg)는 3.29이고, 실제평균집재거리는 251.51 m로 산출되었다. 경사도 55% 이하의 완 중경사지에 동양트랙터를 투입할 경우 집재경비는 경사도 25% 이하에서는 11,808원, 25~55%에서는 12,336원으로 계산되었으며, 급경사지역인 경사도 55% 이상에서 Koller 303을 투입할 경우 집재경비는 10,020원으로 계산되었다.

붉바리 자어의 난황흡수 및 첫 먹이 섭취시기와 관련한 생존 특성 (Yolk resorption, onset of feeding and survival potential of larvae of red 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 이창규;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73-483
    • /
    • 1997
  • 붉바리 자어의 생존률 향상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써 자어의 주 사망 시기인 부화 직후부터 약 일주일간 자어의 난황흡수 및 먹이와 관련한 생존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난황흡수 초기인 부화후 24시간 동안 자어의 난황 및 유구 흡수율은 난황보다는 유구의 경우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난황 및 유구의 흡수 시간은 수온이 높을수록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수온 23-$25^{\circ}C$에서 99% 이상의 난황 및 유구가 흡수된 시점은 부화후 각각 84, 96시간이었고,$27^{\circ}C$에서는 각각 72, 84시간, 29-$31^{\circ}C$에서는 공히 부화후 60시간으로 나타났다. 수온 23-$31^{\circ}C$의 범위에서 수온(X)에 따른 자어의 개구시(Y)은 Y=-2.53X+118.4, ($r^2$=0.89)의 직선식으로 나타났다. 난황이 대부분 흡수되고 외부 영양섭취를 시작하는 시기 전후인 부화후 72-96시간째 자어의 상악장은 0.113-0.114 mm였으며, 개구후부터 부화후 1주일까지의 전장(X)과 상악장(Y)과의 관계는 Y=0.139X-0.165, ($r^2$=0.88)의 식으로 나타났다. 자어의 소화관에서 최초로 rotifer 가 발견된 때는 부화후 72시간으로써 99% 이상의 난황을 흡수한 시점이었다. 난황 및 유구를 완전히 흡수한 부화후 96시간에는 전체 자어중 약 33%가 먹이를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 먹이 공급시기 지연에 따른 자어의 생존률은 부화후 84시간 이전까지는 첫 먹이공급 시기를 빨리할수록 생존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화후 96시간에 첫 먹이를 공급한 경우는 부화후 120시간 째까지 모든 자어가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