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en-ended questions in mathematics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6초

Open-Ended Questions and Creativity Education in Mathematics

  • Li, Yuwen;Li, Dongmei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3권1호
    • /
    • pp.23-30
    • /
    • 2009
  • How to promote creativity for all students in mathematics education is always a hot topic for mathematics educators. Based on the theory study and practice in the project "Open-ended Questions in Mathematics" granted by Ministry of Basic Education Curriculum Study Center in China, the paper reported the effect of "Open-ended Questions in Mathematics" on the way to change the development of thinking ability, to inspire students to develop thinking flexibility, to expand their imagination, to stimulate their interest in learning, and to foster students' creativity.

  • PDF

개방형 문제를 이용한 학습에 대한 아동의 태도 연구 (A Study of Children's Attitudes Towards Learning Mathematics with Open-ended problems)

  • 배종수;오은영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9-64
    • /
    • 2005
  • 21세기는 수학적 사고 신장뿐만 아니라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가치 인식이 형성되도록 수학교육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교육현장에서는 정의적 영역의 중요성이 간과 되어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방법과 전략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 정답을 산출할 수 있는 개방형 문제를 이용한 학습에 대해 아동이 어떠한 태도를 보이는지 연구하였다. 개방형 학습에 대한 아동들의 태도를 관찰과 면담,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 아동들은 수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이 생기고 성취감을 느껴 수업에 집중하였다. 또한 토의학습을 통해 서로 상대방의 능력을 존중하는 태도를 형성하며 교과서 문제를 변형시킨 개방형 문제에 자신 있게 반응하고 수학을 바라보는 태도에서 발전적인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수학에 대한 긍정적이 태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교과서 문제를 개방형 문제로 변형시켜 현장에 적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PDF

초등 수학 영재를 위한 Renzulli의 삼부심화모델 도입 개방형 수학 문제 만들기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osing Open-Ended Problems Program with Renzulli's Enrichment Triad Model for Mathematics-Gifted Elementary Students)

  • 이자혜;김민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5권2호
    • /
    • pp.209-232
    • /
    • 2016
  •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of steps in a program introducing Renzulli's enrichment triad model and various levels of posing open-ended problems of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mathematics-gifted elementary students. As results, participants showed their abilities of problem posing related to real life in a program introducing Renzulli's enrichment triad model. From eighteen mathematical responses, gifted students were generally outstanding in terms of producing problems that demonstrated high quality completion, communication, and solvability. Amongst these responses from fifteen open-ended problems, all of which showed that the level of students' ability to devise questions was varied in terms of the problems' openness (varied possible outcomes), complexity, and relevance. Meanwhile, some of them didn't show their ability of composing problem with concepts, principle and rules in complex level. In addition, there are high or very high correlations among factors of mathematical problems themselves as well as open-ended problems themselves, and between mathematical problems and open-ended problems. In particular, factors of mathematical problems such as completion, communication, and solvability showed very high correlation with relevance of the problems' openness perspectives.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수준별 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An Influence of Using Open-ended Problems in Ability-Level Activities on Academic Achievement of Mathematics)

  • 김보경;권성룡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907-935
    • /
    • 2010
  • 본 연구는 개방형 문제를 이용한 수준별 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와 개방형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보인 창의적인 반응을 분석하여 수학과 교수 학습 방법의 개선에 도움을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첫째,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수준별 학습과 일반적인 형태의 수준별 학습 사이에 성취도의 차이가 있는가?, 둘째,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수준별 학습은 실험집단의 성취도별 상 중 하 집단 중 어느 집단에게 더 효과가 있는가?, 셋째,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수준별 학습 과정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반응은 어떠한가? 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대전광역시 소재 S초등학교 3학년 두 학급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문제 1을 위하여 두 집단의 사전 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여 동질성을 확인한 후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형태의 수준별 학습을, 실험집단은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수준별 학습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2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반의 사전 검사 결과로 상(28%), 중(41%), 하(31%) 집단을 선정하였다. 실험처치 후 실시한 사후 검사에서 대응표본의 평균을 비교하여 어느 집단에 가장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문제 3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방형 문제를 이용한 수준별 학습을 한 집단에서 보인 반응을 분석하고, 전체토의 및 면담결과,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학습이 실제로 학생들의 반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수준별 학습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수준별 학습은 학업 성취 수준 '하'집단에게 가장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방형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창의적이고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 PDF

초등 수학교과서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발문 (A Study on the Questioning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 박만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3권1호
    • /
    • pp.25-35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서의 발문을 분석하고 초등 수학에서 창의성의 의미와 창의성 신장을 위한 효과적인 발문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창의성의 정의를 고찰하고 2007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한국의 3학년 1학기 수학교과서에서의 발문 분석을 통하여 창의성 신장을 위한 효과적인 발문의 성격을 고찰해 보았다. 초등학생들의 수학 수업에서 창의성 신장을 위해서는 제시하는 과제의 성격뿐만 아니라 실제 수업에서 교사의 학생의 수준에 맞는 적절한 발문이 필수적임을 제안하였다.

수학 교실에서 교사 질문, 말하기 차례 규칙, 학생 발화 사이의 관계 분석 (Exploring the Relationships Among Teacher Questions, Turn-Taking Patterns, and Student Talks in Mathematics Classrooms)

  • 황성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439-460
    • /
    • 2019
  • 본 연구는 교사 질문, 말하기 차례 규칙, 학생 발화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수학 교실 내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같은 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세 명의 초등학교 교사들(1학년 교사 2명과 2학년 교사 1명)의 수학 수업을 대화분석 기법을 사용해서 분석하였다. 각 교사들의 수업은 일 년에 걸쳐 총 3회 관찰되었다. 분석 결과, 교사가 열린 질문(예를 들어 "왜" 그리고 "어떻게" 질문들과 "동의합니까" 그리고 "동의하지 않습니까" 질문들)을 사용하고 비전통적인 말하기 차례 규칙(교사발문-학생답변-교사 피드백; Mehan, 1979)을 사용하였을 때는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을 정당화하고 다른 사람의 생각을 반박하기 위해 교실 담화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교사가 닫힌 질문(예를 들어 "무엇" 질문들)을 사용하고 전통적인 말하기 차례 규칙을 사용하였을 때 학생들은 정답을 말하는 것에만 관심을 갖고 짧은 발화만을 사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효과적인 수학-대화 학습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열린 질문을 사용하고 비전통적인 말하기 차례 규칙을 사용해야 한다. 둘째, 교사들이 발화기법에 관한 실질적인 지식을 얻을 수 있도록 교육 행정가와 수학 교육자들이 지원해야 한다.

개방형 과제를 활용하는 초등 수학 수업에서 학생의 참여 분석 (An analysis of students' engagement in elementary mathematics lessons using open-ended tasks)

  • 남인혜;신보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2권1호
    • /
    • pp.57-78
    • /
    • 2023
  • 학생의 수업 참여는 수업의 방향과 성과를 결정지을 뿐만 아니라 학업 성취 및 후속 학습의 지속성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학생의 수업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방안으로 개방형 과제를 활용하는 수업이 지닌 시사점을 모색하기 위해 초등학교 5학년 중하위권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방형 과제 활용 수업을 진행하여 학생들이 드러내는 수업 참여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로부터 교사의 발문에 자발적으로 답하거나 어려움을 참고 과제를 끝까지 수행하는 행동적 참여, 박수를 치거나 자리에서 일어나는 등의 즐거움을 표현하거나 자신의 감정을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정서적 참여의 특징을 찾아볼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을 말할 때 실생활 예를 들어 설명하거나 과제 해결에 사전 지식을 이용하였으며 과제를 다양한 방식으로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인지적 참여 양상을 보였고, 친구의 의견을 물어 공동의 아이디어를 구성함으로써 과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거나 모둠 활동에서 친구와 적극적으로 도움을 주고 받는 등의 사회적 참여 모습을 보였다. 이상은 개방형 과제를 활용하는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촉진하는 교수학적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나아가 본 연구는 효과적인 개방형 과제 활용 수업을 실행하는 데 교사의 지지와 긍정적인 피드백, 모둠 활동 및 소집단 토론으로 구성된 수업 방법, 놀이 및 게임 활동에 기반한 과제 제시 방식 등이 갖는 잠재적 중요성을 보여준다.

The Third Wave: Chinese Students' Values in Effective Mathematics Teaching in Two Secondary Schools

  • Zhang, Qiao-Pi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8권3호
    • /
    • pp.209-221
    • /
    • 2014
  • In the last few decades there has been much interest in how mathematics can be effectively taught and learnt. The Third Wave is a unique ongoing international collaborative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project, which aims to explore the relevant values of effective school mathematics teaching from both the teacher and student perspectives. As part of this proje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ed findings from students on the Chinese mainland. Multipl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classroom observations, focus group interviews, and written, open-ended questions. Twenty-four students from junior and senior secondary schools were invited to write down their views on an effective lesson, a good mathematics teacher, and how to do well in mathematics learning.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 eight values determined in the study, the values of involvement, explanation, and examples were embraced by students across all grades. Students preferred teacher-led mathematics teaching. Junior secondary students placed more value on teachers' personalities, whereas senior students placed more value on teachers' teaching manners.

수학과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개발 연구 - 초등학교 1, 2학년을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based Achievement and Assessment Standards for 1st and 2nd Grades in the Primary School Level)

  • 황혜정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2권1호
    • /
    • pp.73-95
    • /
    • 2000
  • In this study, on the basis of the seventh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the achievement standards were developed to specify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teaching-learning at the first and second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he assessment standards were also developed to differentiate students’ levels of achievement with ‘high’, ‘mid’ and ‘low’ categories. Furthermore, this stuffy suggested the exemplary test items including short-answer and open-ended questions while putting emphasis on students' real performance to increase their ability in solving problems rather than in calculating. In addition to the test items, it introduced the grading system developed to grade the items with concrete guidelines and to report students' achievement on doing mathematics.

  • PDF

초등학교 5학년 수학과 수행평가 과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Mathematics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for the Fifth Graders in the Primary School)

  • 유현주;정영옥;류순선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2권1호
    • /
    • pp.203-241
    • /
    • 2000
  •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model of task development for mathematics performance assessment and to develop performance tasks for the fifth graders in the primary school on the basis of this model. In order to achieve these aims, the following inquiry questions were set up: (1) to develop open-ended tasks and projects for the fifth graders, (2) to develop checklists for measuring the abilities of mathematical reasoning, problem solving, connection, communication of the fifth graders more deeply when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are implemented and (3)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performance tasks and checklists and to modify them when is needed through applying these tasks to pupils. The consequences of applying some tasks and analysing some work samples of pupils are as follows. Firstly, pupils need more diverse thinking ability. Secondly, pupils want in the ability of analysing the meaning of mathematical concepts in relation to real world. Thirdly, pupils can calculate precisely but they want in the ability of explaining their ideas and strategies. Fourthly, pupils can find patterns in sequences of numbers or figures but they have difficulty in generalizing these patterns, predicting and demonstrating. Fifthly, pupils are familiar with procedural knowledge more than conceptual knowledge. From these analyses, it is concluded that performance tasks and checklist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improved assessment tools for measuring mathematical abilities of pupils, and that we should improve mathematics instruction for pupils to understand mathematical concepts deeply, solve problems, reason mathematically, connect mathematics to real world and other disciplines, and communicate about mathematic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