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tology evolution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3초

자질별 관계 패턴의 다변화를 통한 온톨로지 확장 (Incremental Enrichment of Ontologies through Feature-based Pattern Variations)

  • 이신목;장두성;신지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5B권4호
    • /
    • pp.365-374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패턴의 다변화를 통하여 관계를 점진적으로 추출함으로써 온톨로지를 확장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패턴 다변화 과정에서 위키피디아로부터 추출한 관계 패턴 후보를 자질별로 다변화시킨다. 다변화된 패턴 후보로부터 말뭉치 빈도수에 따른 신뢰도를 이용하여 패턴을 선별한다. 선별된 패턴은 위키피디아로부터 관계를 추출하는 데 사용되며, 추출된 관계는 다시 관계 패턴 확장에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점진적 학습 과정에서의 패턴 다변화를 통하여 패턴 선택의 범위를 확장함으로써, 선택되는 패턴이 점진적으로 정제되는 모델을 제시한다. 이를 통하여, 관계의 확장성과 정확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단일 자질 패턴 모델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어휘, 중심어, 상위어 정보는 신뢰도에, 품사, 구문 정보는 확장성에 유리하며, 구문 단위 유형별로 필요한 자질 유형이 다름을 관찰하였다. 이와 같은 특성에 기반하여 현재 연구 진행 중인복합 자질 패턴 모델을 제안한다.

Semantic Computing for Big Data: Approaches, Tools, and Emerging Directions (2011-2014)

  • Jeong, Seung Ryul;Ghani, Imra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8권6호
    • /
    • pp.2022-2042
    • /
    • 2014
  • The term "big data" has recently gained widespread attention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One of the key challenges in making use of big data lies in finding ways to uncover relevant and valuable information. The high volume, velocity, and variety of big data hinder the use of solutions that are available for smaller datasets, which involve the manual interpretation of data. Semantic computing technologies have been proposed as a means of dealing with these issues, and with the advent of linked data in recent years, have become central to mainstream semantic computing. This paper attempts to uncover the state-of-the-art semantics-based approaches and tools that can be leveraged to enrich and enhance today's big data. It presents research on the latest literature, including 61 studies from 2011 to 2014. In addition, it highlights the key challenges that semantic approaches need to address in the near future. For instance, this paper presents cutting-edge approaches to ontology engineering, ontology evolution, searching and filtering relevant information, extracting and reasoning, distributed (web-scale) reasoning, and representing big data. It also makes recommendations that may encourage researchers to more deeply explore the applications of semantic technology, which could improve the processing of big data.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existing body of basic knowledge on semantics and computational issues related to big data, and may trigger further research on the field. Our analysis shows that there is a need to put more effort into proposing new approaches, and that tools must be created that support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in realizing the true power of semantic computing and solving the crucial issues of big data.

Evolution of the Mir-155 Family and Possible Targets in Cancers and the Immune System

  • Xie, Guang-Bing;Liu, Wei-Jia;Pan, Zhi-Jun;Cheng, Tian-Yin;Luo, Chao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8호
    • /
    • pp.7547-7552
    • /
    • 2014
  • The mir-155 family is not only involved in a diversity of cancers, but also as a regulator of the immune system. However, the evolutionary history of this family is still unclear. The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mir-155 evolved independently with lineage-specific gain of miRNAs. In addition, arm switching has occurred in the mir-155 family, and alternative splicing could produce two different lengths of ancestral sequences, implying the alternative splicing can also drive evolution for intragenic miRNAs. Here we screened validated target genes and immunity-related proteins, followed by analyzation of the mir-155 family function by high-throughput methods like the gene ontology (GO) and Kyoto Eneyclopedin of Genes and Genemes (KEGG) pathway enrichment analysis. The high-throughput analysis showed that the CCND1 and EGFR genes were outstanding in being significantly enriched, and the target genes cebpb and VCAM1 and the protein SMAD2 were also vital in mir-155-related immune reponse activities.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mir-155 family is highly conserved in evolution, and CCND1 and EGFR genes might be potential targets of mir-155 with regard to progress of cancers, while the cebpb and VCAM1 genes and the protein SMAD2 might be key factors in the mir-155 regulated immune activities.

지식 서비스 지향 도서관 시스템의 논리 모델 (A Logical Model of Library System towards Knowledge Service)

  • 이현실;배창섭;이은주;한성국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5-67
    • /
    • 2009
  • 유비쿼터스 정보 서비스 기술의 보편화로 도서관 생태 환경에도 커다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디지털도서관 등 정보 매체 중심의 변화뿐만 아니라, Library 2.0 또는 소셜 시맨틱 디지털 라이브러리 등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지향 관점으로의 변화를 실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시스템의 진화에 초점을 두고, 지식 서비스 실현을 위한 제반 환경 요소를 분석하였으며, 지식 서비스 지향 도서관 시스템의 논리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논리 모델은 다양한 지식 정보자원, 참여와 협력의 능동적 이용자, 도서관 업무 혁신, 유비쿼터스 정보 기술을 조화하여 도서관의 근본적 임무를 수행하는데 프레임워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OWL 질의 처리를 위한 시그너처 기반 최적화 기법 (An Optimization Technique based on Signatures for OWL Query Processing)

  • 임동혁;정호영;김형주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2권6호
    • /
    • pp.585-592
    • /
    • 2005
  • 시맨틱 웹은 차세대 웹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시맨틱 웹 상에서는 사람이 아닌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처리해야 한다. 이러한 웹 자원의 내용을 기술하기 위해 온톨로지(Ontology)들을 이용한다. 이러한 온톨로지 중에 현재 W3C에서 제안한 OWL이 부각되고 있다. OWL을 처리하는 데이타 베이스에서 데이타는 그래프 형태로 저장되어 그래프 탐색을 통해 질의 처리를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OWL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시그니처를 이용한 최적화 기법을 제안한다. 논문에서 제안한 최적화 기법은 질의 수행 시 각 노드의 탐색 회수를 줄여 질의 수행을 빠르게 할 수 있게 한다.

Genomic and Proteomic Databases: Foundations, Current Status and Future Applications

  • Navathe, Shamkant B.;Patil, Upen;Guan, Wei
    • Journal of Computing Science and Engineering
    • /
    • 제1권1호
    • /
    • pp.1-30
    • /
    • 2007
  • In this paper we have provided an extensive survey of the databases and other resources related to the current research in bioinformatics and the issues that confront the database researcher in helping the biologists. Initially we give an overview of the concepts and principles that are fundamental in understanding the basis of the data that has been captured in these databases. We briefly trace the evolution of biological advances and point out the importance of capturing data about genes, the fundamental building blocks that encode the characteristics of life and proteins that are the essential ingredients for sustaining life. The study of genes and proteins is becoming extremely important and is being known as genomics and proteomics, respectively. Whereas there are numerous databases related to various subfields of biology, we have maintained a focus on genomic and proteomic databases which are the crucial stepping stones for other fields and are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uture applications of biology and medicine. A detailed listing of these databases with information about their sizes, formats and current status is presented. Related databases like molecular pathways and interconnection network databases are mentioned, but their full coverage would be beyond the scope of a single paper. We comment on the peculiar nature of the data in biology that presents special problems in organizing and accessing these databases. We also discuss the capabilities needed for database development and information management in the bioinformatics arena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ontology development. Two research case studies based on our own research are summarized dealing with the development of a new genome database called Mitomap and the creation of a framework for discovery of relationships among genes from the biomedical literature. The paper concludes with an overview of the applications that will be driven from these databases in medicine and healthcare. A glossary of important terms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paper.

Comparison of Functional Gene Annotation of Toxascaris leonina and Toxocara canis using CLC Genomics Workbench

  • Kim, Ki Uk;Park, Sang Kyun;Kang, Shin Ae;Park, Mi Kyung;Cho, Min Kyoung;Jung, Ho-Jin;Kim, Kyung-Yun;Yu, Hak Su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1권5호
    • /
    • pp.525-530
    • /
    • 2013
  • The ascarids, Toxocara canis and Toxascaris leonina, are probably the most common gastrointestinal helminths encountered in dogs. In order to understand biological differences of 2 ascarids, we analyzed gene expression profiles of female adults of T. canis and T. leonina using CLC Genomics Workbench,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free-living nematode Caenorhabditis elegans. A total of 2,880 and 7,949 ESTs were collected from T. leonina and T. canis, respectively. The length of ESTs ranged from 106 to 4,637 bp with an average insert size of 820 bp. Overall, our results showed that most functional gene annotations of 2 ascarids were quite similar to each other in 3 major categories, i.e., cellular component, biological process, and molecular function. Although some different transcript expression categories were found, the distance was short and it was not enough to explain their different lifestyles. However, we found distinguished transcript differences between ascarid parasites and free-living nematodes. Understanding evolutionary genetic changes might be helpful for studies of the lifestyle and evolution of parasites.

생체정보를 이용한 지능형 감성 추천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lligent Emotional Recommendation System Using Biological Information)

  • 김태연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215-222
    • /
    • 2021
  •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 작용 (Human Computer Interface) 기술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HCI에 대한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사용자의 직접적인 입력에 의한 컴퓨터 반응이 아닌 감정 추론 혹은 사용자 의도에 따른 컴퓨터 반응에 대한 연구가 증가되고 있다. 스트레스는 현대 인간 문명사회에서의 피할 수 없는 결과이며 복잡한 현상을 나타내며 통제 유무에 따라 인간의 활동능력은 심각한 변화를 받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 작용의 일환으로 스트레스를 통해 증가된 심박변이도 (HRV)와 가속도 맥파(APG)를 측정한 후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음악을 이용한 지능형 감성 추천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사용자의 생체정보 즉, 스트레스 지수를 획득 및 인식하여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추출하고자 차분진화 알고리즘을 사용하였으며 이렇게 획득된 스트레스 지수를 단계별에 따라 시멘틱 웹 (Semantic Web)을 통해 감성추론을 하였다. 또한 스트레스 지수와 감성의 변화에 매칭 되는 음악 리스트를 검색 및 추천함으로써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맞는 감성 추천시스템을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하였다.

중학생의 힘의 개념변화 사례 연구: 개념생태적 접근 (A Case Study of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ual Change on the Concept of Force: Conceptual Ecological Approach)

  • 박지은;이선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592-608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힘 개념에 대한 중학생의 개념생태 요소를 탐색하고 개념변화의 사례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는 질적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수업관찰과 면담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중학생 11명으로 여학생 7명과 남학생 4명이었다. 면담은 힘단원의 수업 시작 전 사전 검사와 2차레 개별 심층 면담으로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모두 전사되고 해석적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두 부분으로 기술되었다. 첫째, 연구 참여 학생들의 힘 개념을 구성하는 개념생태는 크게 인식론적 확신근거(일방향 및 상호작용적 설명 일관성), 비유(속성, 작용), 형이상학적 신념(인간중심의 존재론, 물활론, 인과적 추론, 혼합형), 과거 경험의 네 범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의 개념변화의 대표적인 유형으로, 개념의 안정 상태와 개념변화로의 과도기 상태를 보여주는 사례를 제시하였고, 개념생태의 특정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중학생의 힘 개념의 위치와 변화 가능성에 대하여 개념생태를 통하여 구조적이고 상호 연관적 이해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 결과를 통합적 관점에서 볼 수 있도록 해 준다. 뿐만 아니라 개념생태의 진화적 관점으로 개념 변화를 추구해야 할 것으로 시사한다.

시각 미디어의 진화에 따른 VR 매체 미학 (VR media aesthetics due to the evolution of visual media)

  • 이동은;손창민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9호
    • /
    • pp.633-649
    • /
    • 2017
  • 본 연구는 시각 미디어가 영화에서 3D 입체영화로, 그리고 VR로 진화함에 따라 인간의 관찰 자유와 관람 양상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 양상을 계보학 관점에서 개념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VR의 매체 미학적 특징을 밝히고 VR이라는 뉴미디어의 정체성과 존재론을 규명하고자 한다. 미디어는 인간의 가장 인공적인 감각인 시각을 중심으로 진화했다. 회화, 영화, 텔레비전, 컴퓨터 등 시각 미디어를 중심으로 하는 모든 재현 장치의 중심에는 스크린이라고 하는 제 3의 시각공간이 존재해왔다. 특히 움직이는 이미지를 재현하는 미디어인 영화와 텔레비전, 비디오 등의 스크린은 관객의 움직임을 통제하면서 완전한 환상과 시각적 만족을 추구했다. 이른바 관람객의 부동성을 전제로 '움직이는 가상의 시선(a mobilized virtual gaze)'을 확보한 것이다. 관객은 부동의 자세로 고정된 좌석에 앉은 채 시각으로만 영화적 환상을 경험한다. 그들은 수동적이고 소극적이며 피동적으로 스크린 너머의 환상의 세계를 의심 없이 받아들인다. 그러나 디지털 패러다임의 등장과 더불어 시각 미디어의 진화는 재현 매체의 전통에 큰 변화를 만들어낸다. 3D 입체영화는 스크린이라는 제 4의 벽(the fourth wall)의 소멸을 예고하였다. 관객은 더 이상 고정된 좌석에 앉아 앞만 응시하지 않는다. 3D 입체영상의 Z축 등장은 이야기의 공간을 재편성한다. 관객의 시선도 '앞'에서 '상 하 좌 우' 심지어 '앞 뒤'라고 하는 여섯 개의 방향으로 확장한다. 뿐만 아니라 이미지 사이에 관객을 위치하게 함으로써 수동적이었던 관객을 적극적이고 상호작용적, 체험적 주체로 변모시킨다. 한걸음 더 나아가 VR시대로 진입한 시각 미디어는 감금했던 관객의 신체에 자유를 부여한다. VR은 관람객의 이동가능성을 확보하며 동시에 가상과 물리적 공간을 공존시킨다. 따라서 VR콘텐츠의 관객은 참여와 이동을 전제로 일체화된 정체성을 획득하게 된다. 이른바 재현이 아닌 스크린의 시뮬레이션 전통을 계승하면서 환상의 공간을 재구성하면서 미학적 체계를 완성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