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e-dimensional patch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18초

대혈관전위증에 대한 동맥전환술 (Arterial Switch Operation for Transposition of G rest Arteries)

  • 이호철;류한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3호
    • /
    • pp.278-284
    • /
    • 1996
  • 1989년 5월부터 1994년 5월까지 9명의 대혈관전위증 환자에 대해 동맥전환술을 시행하였다. 연령 분 포는 생후 3일에서 90일까지로 평균 30일 (21일)이 었고 환자는 전례 에서 술전 심초음파 검사로 진단되 었 다. 8례는 심실중격결손을 동반한 대혈관전위증이었으며 1례는 심실중격결손을 동반하지 않은 단순대 혈관잔위증 환아였다. 동반기형으로는 동맥관개존이 8례, 심방중격결손이 7El,대동맥축약이 1례였다. 관동백의 분지 형태는 Yacoub type A가 7례 (77 %), Yacoub type D의 형태가 2례 (23 %)였다. 폐동맥 재 건은 Lecompte 술식을 8례 에서 적용하였고 자가심낭편을 이용하였다. 사망율은 55 %였다. 수술후 1 ~2 일내 사망한 3례는 좌심실 기능부전과 발작성 폐동맥 고혈압이 원인이었고, 수술후 2~3주에 사망한 2례는 술후 감염에 의한 폐혈증이 주원인이었다. 평균 추적 기간은 17개월이 었고 추적관찰에는 심초음파 를 이용하였으며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대동맥 판 폐쇄부전이나 폐동맥 판 상부 협착은 발견되지 않았다. 수술에 따르는 여러 위험 요소들(저체중, 장시간의 체외순환, 체외 순환중 과도한 혈희석, 저체온, 술후 용적 부하, 과도한 \ulcorner\ulcorner\ulcorner사용) 중 술후 과도한 강심제를 사용했을 경우에서만 통계학적 유의성을 가지는 위험인자로 나타났다.

  • PDF

성인 동맥관 개존증 수술 후 좌심실 기능 저하의 위험 인자 분석 (Postoperative Left Ventricular Dynsfunction in Adult PDA)

  • 윤태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10호
    • /
    • pp.785-791
    • /
    • 2000
  • Left ventricular dysfuction is common in immediate postoperative periods after surgical correction of heart diseases with chronic left ventricular volume overload. We speculated postoperative changes of left ventricular volume and unction in patients with patent ductus osus(PDA) who had underwent surgical repair at ages older than 16 years. Factors influencing postoperative left ventricular volume and function were also analyzed. Material and Method: From August 1989 to August 1999 thirty-siz adult patients with PDA 28 females and 8 male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ir age ranged from 16 years to 57 years(mean :32 years). Types of surgical repair were division with primary closure in 22, division with patch closure in 6, internal obliteration using cardiopulmonary bypass in 4 and ligation in 4. Aortic clamping was combined during surgical repair in 22(61%) and cardiopulmonary bypass was used in 8(22%) Two-dimensional echocardiography studies were performed in 34(94%) preoperatively and in 25(66%) immediate postoperatively to assess postoperative changes of left ventricular internal dimensions. left ventricular volume and ejection fraction. Duration of postoperative follow-up ranged from 1 month to 99 months (mean:22 months) and 10 patients underwent 16 echocardiographic evaluation during this period Result :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left ventricular systolic dimensions(LVIDs) were 42$\pm$8.0mm and 42$\pm$8.3mm left ventricular diastolic dimensions(LVIDd) were 64$\pm$10.0mm and 56$\pm$7.4mm left ventricular end systolic volumes(LVESV) were 62$\pm$19cc (z=1.87$\pm$0.06) and 59$\pm$24cc(z=1.78$\pm$0.08) left ventricular end diastolic volumes(LVEDL) were 169$\pm$40cc(z-1.17$\pm$0.1) and 112$\pm$29cc(z=0.85$\pm$0.1) and ejection fractions(EF) were 66$\pm$6.7% and 48$\pm$12.6% respective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values in LVDIDd(p=0.001) LVEDV(p=0.001) and EF(p=0.0001)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is LVIDs and LVESV. Postoperative depression of ejcection fract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z-score of preoperative LVESV and LVEDV by univariateanalysis while LVEDV only was significant risk factor for postoperative LV dysfunction by multiple regressioin analysis ($\Delta$LVEF=-13.3-4.62$\times$LVEDV(z), p=0.001) During the follow-up periods ejection fractions become normalized in all except one patients. Conclusion ; Left ventricular function is usually deteriorated after the surgical correction of PDA in adult age and preoperative LVEDV is a major determinant of postoperative LV function.

  • PDF

수술 전 청색증 정도에 따른 성인 활로씨 4징증의 임상 양상 (Surgical Outcome of Tetralogy of Fallot in Adolt -Implication of Preoperative Cyanosis-)

  • 김상화;박순익;박정준;송현;이재원;서동만;송명근;송종민;강덕현;송재관;장완숙;김영휘;윤태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4호
    • /
    • pp.271-276
    • /
    • 2005
  • 활로씨 4징증의 전교정술이 성인 연령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술 전 상태에 따른 수술 방법 및 술 후 경과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9년 8월부터 2001년 6월까지 총 33명의 성인 환자가 활로씨 4징증에 대한 전교정술을 받았다. 환자의 성비는 18:15로 여자가 많았고 연령은 $15\~54$세(중간값 34세)였다. 수술 전 심도자 시 대동맥 산소포화도에 따라 청색증형(1군: 산소포화도 $94\%$ 이하, 16예)및 비청색증형(2군: 산소 포화도 $95\%$ 이상, 17예)으로 나누었고, 각각의 술 전 혈색소치의 중간 값은 17.5g/dL 및 15g/dL로 1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수술 후 외래 관찰 기간은 1개월에서 94개월(670 patient-month, 중간 값 14개월)이었고, 이 기간 중 총 63예의 심초음파가 시행되었다 걸과: 양군에서 조기 및 만기 사망은 없었다. 수술 시 경판륜 포편 및 우심실-페동맥 간 도관이 필요했던 경우는 각각 7예$(21\%)$, 3예($9\%$)였으며, 이들 환자들은 모두 1군에 해당하였다. 수술 시 체외순환시간, 대동맥 차단시간, 중환자실 체류기간, 재원일수 등은 모두 1군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수술 후 강심제의 투여량도 1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1군의 한 환자에서 심방성 부정맥이 관찰되었으나 삼첨판막 및 폐동맥 판막 치환술 후 소실되었으며, 심실성 부정맥은 양 군 모두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외래 관찰 기간 중 운동 시 호흡곤란, 초음파 상 잔존 우심실 유출로 협착 및 페동맥판 폐쇄부전, 삼첨판막 폐쇄부전 등은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얼었다. 결론: 성인 활로씨 4징증은 술 전 청색증이 심한 경우 수술 시보다 적극적인 우심실 유출로 재건 방법을 요하고, 술 후 관리도 비청색증형에 비해 주의를 요한다. 하지만 외래 추적 시 증상 및 심초음파 소견에 의한 중기 성적은 수술 전 청색증의 정도와 무관하게 양 군 모두 우수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