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line special job competency education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보육교직원 보수교육 현황 고찰 및 발전 방안 (Improving the In-Service Education for Teachers and Directors of Childcare Centers)

  • 이미정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57-69
    • /
    • 2019
  • 본 연구는 보육교직원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보수교육의 현재 실태를 살펴봄으로써 현 보수교육체제의 강점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보수교육의 한 축을 담당하는 온라인 특별직무교육을 포함하여 보육교직원 보수교육의 현재 실태를 살펴보고 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보육교직원 보수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쟁점 분석을 실시하였고 보수교육 관련 법령 및 정책을 중심으로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직원 보수교육의 쟁점은 교육과정의 다양화 및 전문성, 교육방법의 다양화, 자격관리, 교육지원 등으로 범주화되었고, 이는 다시 14개의 핵심과제로 정리되었다. 그동안의 선행연구에서는 거의 다루지 않았지만 최근에 두드러진 현상으로, 보수교육 현장의 온라인 특별직무교육 참여 증가 현상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수교육' 용어의 변경, 직무교육의 다양화 인정, 직무교육의 학점은행제, 집합교육과정과 동일한 온라인 직무교육(기본과정/심화과정) 제공, 승급교육의 교육지원 확대, 보수교육기관 평가 의무제 전환 등의 발전방안을 제언하였다.

특정직 경호공무원의 전직역량에 대한 보유수준 분석 및 전직지원방안 연구 (A Study on Outplacement Countermeasure and Retention Level Examination Analysis about Outplacement Competency of Special Security Government Official)

  • 김범석
    • 시큐리티연구
    • /
    • 제33호
    • /
    • pp.51-80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특정직 경호공무원의 전직 역량에 대한 특정직 경호공무원들의 보유수준 조사를 통한 전직지원방안을 제시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특정직 경호공무원 중 전직관련 대상자로서 40대 이상 5급 사무관 이상 전직 유경험자인 전직 성공자와 전직 실패자, 전직 희망자인 전직 예정자 600명을 대상으로 지식역량군의 전문지식, 전직관련 지식, 자기이해, 조직이해, 기술역량군의 직무기술역량, 직무수행기술, 문제해결기술, 혁신기술, 커뮤니케이션기술, 조직관리기술, 위기관리기술, 경력개발기술, 인적네트워크 활용기술, 태도 및 감정역량군의 긍정적 태도, 적극적 태도, 책임감, 직업정신, 헌신적 태도, 친화력, 자기조절능력, 가치 및 윤리역량군의 윤리의식, 도덕성 등 4개 역량군 22개 하위역량의 보유수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유효한 설문 응답자 153명의 4개 역량 군 22개 하위역량 항목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결과, 현재 보유수준 값이 4.0이상인 전문지식, 긍정적 태도, 책임감, 윤리의식, 도덕성 역량 등에 있어서는 어느 정도 갖추었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그 외 역량에 대해서는 보통이하 점수로 다소 낮게 나타나, 이들 역량들에 대해서는 아직은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역량 강화를 위한 특정직 경호공무원의 성공적인 전직지원방안으로서는 전직에 대한 인식과 개념을 재정립하고 현실을 직시할 수 있도록 눈높이를 낮추어야 하며, 전직에 필요한 역량으로서 다소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는 역량들에 대해서는 평소에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인 개발 및 강화 노력이 요구된다. 제도적 차원에서 이러한 전직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퇴직 전 중 후 전직 교육훈련 강화 및 현 교육훈련체계 반영, 수요자 중심의 온-오프 상 교육훈련시스템 운영, 학습조직화 등 전직교육훈련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 PDF

A Study on the Awareness and Need for Connected-Convergence Education among College Students in Health-Related Fields

  • Su-Hyeon Hong;Seung-Yeon Shin;Na-Hee Lee;Jin-A Lee;Seon-Im Cheon;Seol-Hee Kim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33-240
    • /
    • 2022
  • Background: In modern society, rapid changes in the medical environment have required medical staff to access various information and be competent in active and effective problem-solving through collegial interactions. In line with these changes, universities are aiming to connect education.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of connected-convergence education by survey the awareness and needs of college students in health-related field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22 college students from the health field. A survey regarding "the awareness and need of connected-convergence education" was conducted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were collected from June to July 2022. Results: The awareness of connected-convergence education was low at 19.7%, but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was high at 74.6%. Subject requirements were 18.0% for medical psychology, 13.5% for communication and counseling, 13.5% for medical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convergence, and 10.4% for sports health management. In the group showing high satisfaction with the major curriculum, the demand for connected education was also high. For efficient operation, it was investigated that it was necessary to secure specialized training courses, recognition of liberal arts credits, the right to register for courses equal to those of major students, and secure dedicated classrooms. Conclusion: Although the awareness and experience of connected-convergence education among the participants were low,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was high. As such a plan to revitalize the university curriculum was required. It is timely to discuss the nurturing of convergence-type talents and multidisciplinary thinking skills. It is meaningful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connected-convergence education in health-related fields at university. Universities should strive to enhance job competency in the health field by providing connected-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student dema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