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eic aicd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7초

Dried Sugarcane Press Residue as a Potential Feed Ingredient Source of Nutrients for Poultry

  • Suresh, B.N.;Reddy, B.S.V.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11호
    • /
    • pp.1595-1600
    • /
    • 2011
  • Sugarcane press residue (SPR), a byproduct from the sugar industry was evaluated for it's nutrient and energetic quality in broilers and layers. The composition of SPR included (% DM): CP-11.76 (methionine-2.21, cystine-1.05, lysine-4.85, threonine-5.48% of CP), EE-7.87 (palmitic acid-30.3, stearic acid-4.1, oleic aicd-17.2, linoleic acid-38.0, linolenic acid-5.4% of EE), CF-10.08, TA-21.08 (Ca-3.87, P-1.10, Mg-0.95%, Fe-3500, Mn-284, Zn-113, Cu-61.5, Co-5.0 ppm and AIA-4.93%) and NFE-48.35% indicating that SPR is a valuable source of both organic and inorganic nutrients for poultry. The metabolic trials revealed the average ME of SPR as 749, 842 and 1,270 kcal/kg, respectively in broilers and 844, 936 and 1,031 kcal/kg in layers, at 10, 20 and 30% inclusion levels, respectively. Further, the fortification of SPR incorporated diets with biotechnological products viz., lipid utilizing agents (lipase and lecithin) or NSP degrading enzymes and their combination did not improve the ME content of such diets.

Aspergillus fumigatus균체의 화학적 성분과 영양학적 평가 (The Chemical Components and Nutritional Evaluation of Aspergillus fumigatus Cells)

  • 최종덕;조성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1-47
    • /
    • 1995
  • This experiments was designed to evaluated the chemical components and nutrition of Aspergillus fumigatus cells. This dried fungal mycellia was consist of crude protein 48.5%, crude lipid 2.9%, carbohydrate 44.7% and total ash 3.4%, respectively. The major fatty acid of total lipid were 27.9% of linoleic acid, 24.6% of oleic acid, 15.4% of palmitic acid and 10.6% of linolenic aicd. Amino acid analysis indicated that the protein was rich in aspartic acid, glutamic acid, leucine, lysine but poor in cystein, methionine, histidine. The fungal cake of Aspergillus fumigatus, when dried and specially processed, has been found to serve as a source of protein in place of soybean meal in the diet of experimental mice. Animal were fed a control diet first, and an incease in weight proved the formulation to be satisfactory. At the end of a 30-day period, the experimental mice showed increases in weight comparable to those of the control animals. The net protein efficiency ratio for the control diet was 3.42$\pm$0.15 and the fungal protein and succinylated fungal protein with DL-methionine they were 3.12$\pm$0.39 and 2.98$\pm$0.06 respectively. This supports the view that dried and succinylated fungal protein can be substituted as a protein source.

  • PDF

국내산 비파 열매의 화학적 성분 분석 (Analysis of Chemical Components of Korean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Fruit)

  • 이부용;박은미;김은정;최희돈;김인환;황진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28-432
    • /
    • 1996
  • 국내에서 재배 수확되는 비파나무(Eriobotrya japonica Lindl.) 열매의 가공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기본적인 화학적 성분들을 분석하였다. 건물 기준으로 비파열매 과육과 씨의 조지질은 0.53%와 0.83%, 조단백질은 0.05%와 5.27%, 조섬유는 3.46%와 3.49%, 조회분은 3.24%와 2.78%, 당질은 92.72%와 87.63%이었다. 비파 열매 과즙의 당도는 약 $12^{\circ}Bx$, pH는 4.43,산도는 구연산으로 0.18%이었다. 과육과 씨의 $3^{\circ}Bx$추출물 유리당 조성은 프럭토스 0.77%와 0.31%, 글루코스 0.73%와 0.79%, 슈크로스 0.52%와 0.19%로 나타났으며, 씨에는 특징적으로 리보오스가 0.56% 함유되어있었다. 비파 과육의 아미노산은 글루탐산이 336.72mg%, 아스파르트산이 251.06 mg%로 가장 많이 , 리신과 아르기닌은 각각 5.26 mg%와 30.90mg%로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었다. 씨에도 글루탐산이 448.23 mg%, 아스파르트산이 335.63 mg%로 가장 많이, 히스터딘과 이소로이신은 각각 37.89mg%와 44.20mg%로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었다. 과육과 씨에는 칼륨이 전체 회분의 32627.95 mg%와 28936.28 mg%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비타민 A와 C는 과육과 씨에서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Chloroform-methanol (2 : 1)로 추출한 비파 씨의 지방산 조성은 palmitic acid 23.72%, stearic acid 3.81%, oleic acid 8.55%, linoleic acid 54.29% 및 linolenic acid 9.63%이었다. Silicic acid 컬럼으로 분획한 결과 중성지질 43.78%, 당지질 12.32% 및 인지질 43.90%의 조성비를 나타내었다. 각 분획들의 지방산 조성은 중성지질의 경우 palmitic acid 28.89%, stearic acid 6.80%, oleic acid 11.07%, linoleic acid 40.67% 및 linolenic acid 12.58%, 당지질의 경우 palmitic acid 13.21%, stearic acid 4.56%, oleic acid 6.53%, linoleic acid 64.92% 및 linolenic acid 10.77%, 인지질의 경우 palmitic acid 30.95%, stearic acid 3.40%, oleic acid 9.09%, linoleic acid 48.45% 및 linolenic acid 8.10%이었다.

  • PDF

일반쌀겨와 발효쌀겨의 영양성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Non-Fermented Rice Bran and Fermented Rice Bran)

  • 최현임;이복규;김수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7
    • /
    • 2010
  • 쌀의 도정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인 일반쌀겨와 이 쌀겨를 발효시켜 얻은 발효쌀겨의 영양성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일반쌀겨의 수분 함량은 10.50%이었으며, 발효쌀겨의 수분 함량은 29.27%이었다. 단백질 함량은 일반쌀겨 15.01%, 발효쌀겨 25.99%로 나타내었다. 지방 함량은 일반쌀겨 17.43%, 발효쌀겨 3.62%를 나타내었다. 조회분은 일반쌀겨 및 발효쌀겨의 함량이 각각 8.80%, 15.45%를 나타내어, 쌀겨 발효 시 수분, 단백질, 회분은 증가하고, 지방과 탄수화물은 감소하였다. 일반쌀겨 및 발효쌀겨의 지방산 조성은 유사하게 나타나, 포화지방산 함량은 일반쌀겨가 17.7%, 발효쌀겨가 20.5%였으며, 일반쌀겨와 발효쌀겨의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각각 82.3%, 79.5%의 조성비를 나타내었다. 두 가지 시료의 포화 및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두 가지 시료 모두 palmitic acid, oleic acid 및 linoleic acid의 함량비가 90% 이상을 차지하였다. 일반쌀겨의 지방산은 palmitic acid 15.1%, oleic acid 40.6%와 linoleic acid 39.5%의 조성을 나타내었으며, 발효쌀겨의 palmitic aicd, oleic acid 및 linoleic acid의 조성은 각각 13.2%, 43.2%, 31.3%로 나타났다. 유리당은 일반쌀겨가 fructose 0.5419%, glucose 0.6910%, maltose 6.6692%로 나타내었고, 발효쌀겨의 경우 fructose는 검출되지 않았고, glucose 0.0099%, maltose 0.0039%, sucrose 0.3233%로 나타나 일반쌀겨가 발효되면서 당이 분해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반쌀겨의 비타민 C 함량은 53 mg/100 g이었고, 발효쌀겨의 비타민 C 함량은 7 mg/100 g으로 나타났으며, 두 가지 시료 모두 비타민 A는 검출되지 않았다. 18종의 무기질을 분석한 결과, 두 가지 시료 모두 Ca, K, Mg 및 Mn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일반쌀겨에는 K이 1,795.71 mg/100 g, Mg이 825.21 mg/100 g의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발효쌀겨는 일반쌀겨보다 더 높아 K이 3,163.67 mg/100 g, Mg이 1,178.94 mg/100 g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무기질 함량은 일반쌀겨가 2,748.00 mg/100 g, 발효쌀겨가 4,660.49 mg/100 g으로 발효쌀겨의 무기질 함량이 더 높게 나타났다.

고려인삼엽차의 제조방법에 따른 화학성분 조성 (Effect of Processing Method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Panax ginseng Leaf Tea)

  • 장현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3-71
    • /
    • 2005
  • 인삼의 생산과정에서 부산물로 얻어지는 인삼엽을 건강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인삼엽차를 건조법(DRT), 숙성법(AGT), 열처리법(HPT)등 3가지 방법으로 제조하고 화학적 조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인삼엽차의 제조방법에 따른 일반성분 함량은 거의 유사하였으나 조지방, 환원당 함량은 HPT에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리당 함량은 DRT가 6.07%로 가장 많았으며 sucrose, fructose, glucose순이었다. 유리아미노산의 조성은 serine 이 309.6∼336.6 mg%로 가장 높았으며 valine, leucine, isoleucine, aspartic acid 순으로 그 함량이 높았고 DRT에 비하여 ACT, HPT에서 감소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무기질 함량은 Ca 가 2,115 mg%로 가장 많았고 K, Mg, P, Na, Mn, Fe, Zn, Cu 순으로 제조방법 사이에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찻물의 무기질 함량을 좌우하는 침출율은 HPT가 가장 우수하였다. 특히 Zn, Mn, Mg등은 면역체계를 유지하며 체내 유해 활성산소의 제거에 관여하는 무기질로서 이들 함량이 높다는 점은 인삼엽차의 우수성의 하나로 평가된다. 인삼엽차의 총 비타민 C 함량은 HPT가 424.4 mg%로 가장 많았으며 침출율도 가장 높았다. 지방산 조성은 제조방법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palmitic acid가 가장 높았고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oleic acid, stearic acid 순이었다. 한편 인삼엽차의 색도는 DRT에 비해 AGT, HPT 에서 L값이 감소하고 a값은 증가하여 갈색 물질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인삼엽차의 제조방법은 열처리법(HPT)에서 가장 우수한 품질을 나타낸 것으로 생각한다.

비타민E와 셀렌이 흰쥐의 혈청(血淸) 및 간장(肝臟)중의 지질성분(脂質成分)에 미치는 영향(影禦) (Effect of Vitamin E and Selenium on the Lipid Composition in Serum and Liver of Rats)

  • 김선영;조수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3-38
    • /
    • 1985
  • 지질(脂質)의 항산화제(抗酸化制)인 vitamin E와 selenium이 백서(白鼠)의 혈청(血淸) 및 간(肝)의 지질성분(脂質成分)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고 이를 서로 비교(比較)하기 위하여 본(本) 실험(實驗)에서는 vitamin E와 selenium이 결핍(缺乏)한 기본식이(基本食餌)에 dl-${\alpha}$-tocopheryl acetate 200 mg 과 sodium selenite 0.5 ppm 을 rkr(各) 군(群)에 따라 급여(給與)하고 6주간(週間) 사육(飼育)한 후(後) 백서(白鼠)의 체중증가량(體重增加量), 사료효율(飼料效率), 각종(各種) 장기(臟器) 중량(重量), 혈청(血淸) 및 간(肝)의 지질성분(脂質成分)을 측정(測定), 고안(考案)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았다. 1. 체중증가량(體重增加量)과 사료효율(飼料效率)은 vitamin E나 selenium을 공급(供給)한 군(群)이 결핍(缺乏)한 군(群)보다 높았고 함께 공급(供給)한 군(群)이 가장 높았다. 2. 각종(各種) 장기(臟器)의 중량(重量)에서 신장(腎臟), 심장(心臟), 폐장(肺臟)은 실험군간(實驗群間)에 별다른 차이(差異)가 없었고 간장(肝臟)의 중량(重量)은 vitamin E나 selenium을 공급(供給)함에 따라 감소(減少)하였고 간장(肝臟)의 중량(重量)은 vitamin E의 공급(供給)에 의해 유의(有意)하게 감소(減少)하였다. 3. 혈청(血淸)중의 total lipid량(量)은 유의성(有意性)이 없으며 vitamin E의 공급(供給)에 의해 cholesterol량(量)은 감소(減少)하였고 triglyceride와 free fatty acid의 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하였으나 selenium의 공급(供給)은 아무런 변화(變化)가 없었다. 4. 간장(肝臟)중의 crude lipid, cholesterol, triglyceride 및 free fatty acide의 함량(含量)은 vitamin E나 selenium의 공급(供給)에 으ㅢ해 유의(有意)하게 감소(減少)하였다. 5. 간장(肝臟)중의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은 포화지방산(飽和脂肪酸)과 oleic acid의 경우 유의성(有意性)이 없었고 oleic acid은 대체로 높은 비율(比率)이었으며 linoleic acid은 selenium공급(供給)에 의해, arachidonic acid은 vitamin E나 selenium의 공급(供給)에 의해 유의(有意)하게 감소(減少)하였다.

  • PDF

회분식 반응기를 이용한 DHA 함유 재구성지질의 효소적 합성 및 이화학적 특성 분석 (Analysis and Enzymatic Production of Structured Lipids Containing DHA Using a Stirred-Batch Type Reactor)

  • 김남숙;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1052-1058
    • /
    • 2005
  • 미세조류(microalgae)인 Schizochytrium sp.로부터 유래된 조류유(250 g)와 식물성 유지인 대두유(250 g)의 혼합 유지를 기질로 하고, sn-1,3 위치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Lipozyme RM IM(Rhizomucor miehei, EC 3.1.1.3)을 이용한 interesterification에 의해 회분식 반응기$(65^{\circ}C,\;300 rpm,\;15hr)$에서 재구성 지질을 합성하였다. 합성 된 재구성 지질의 주요 지방산 조성은 DHA$(15.7\;mol\%)$와 linoleic acid$(31.1\;mol\%)$, palmitic acid$(20.2\;mol\%)$, oleic acid$(13.5\;mol\%)$$EPA(6.6\;mol\%)$로 분석되었으며, linoleic aicd와 DHA가 sn-2 위치에서 높은 함량을 차지하였다. Normal-phase HPLC 분석결과 재구성지질은 $87.1\;area\%$의 TAG와 $12.1\;area\%$의 DAG 형태와 같은 중성지질로 구성되어 있었다. Reversed-phase HPLC 분석 결과 재구성 지질의 $PN=20\~22(10.3\;area\%),\;PN=24\~32(53.1\;area\%)$$PN=36\~48(36.6\;area\%)$ peaks내에 각각 PN=20, PN=22, PN=28, PN=30, PN=34, PN=38, PN=42를 가지고 재구성 지 질 함량의 약 $50.5\;area\%$를 차지하며 반응기질과 구별된 새로운 peaks가 합성에 의해 생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재구성지질의 요오드가는 고도의 불포화도를 가지는 조류유(274.0)보다 약 $25\%$ 낮아진 206.7을 나타내었으며, 분자량을 설명하는 비누화 값이 183.8, 산가는 반응기질과 같은 0.3 이하의 측정값을 나타내었다. 재구성지질의 Hunter color $L^{\ast}(\pm\;lightness/darkness)$ 값은 13.8로 측정되었으며, $b^{\ast}(\pm,\;yellowness/blueness)$ 값은 13.8로 측정되었으며, $b^{\ast}(\pm,\;yellowness/blueness)$ 값은 반응기질보다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55.1을 나타내었다(p<0.05).

포장방법이 강정의 저장 중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ckaging on Quality of Stored Gangjung)

  • 김행란;신동선;김경미;유선미;김진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48-5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강정의 포장방법 및 포장재질이 강정의 저장 중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포장방법별로 개별포장, 대형포장 및 봉지포장의 3가지 방법과 8개의 포장재질을 사용하였다. 강정 포장은 (1) IP: OPP/PE+종이, (2) LP1: OPP/PE+종이, (3) LP2: OPP/PE+관, (4) LP3: OPP/PE+플라스틱, (5) BP1: OPP/PE, (6) BP2: OPP/DL/CPP, (7) BP3: PET/PE/CPP, (8) BP4: OPP/PVDC/PE/CPP로 구분하였다. 강정의 저장초기 지방산 조성은 linoleic acid(54.2%), oleic acid(24.1%), palmitic acid (11.2%) linoleic acid(6.0%) and stearic aicd(3.8%)이었으며, 저장중 수분함량, 수분활성도, 경도, 산가, 과산화물가를 측정하였다. 저장 중 수분함량의 변화가 늦게 나타난 시료는 LP2, BP4 > IP > LP3, BP1, BP2 > LP1 > BP3 순이었다. 수분활성도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경도는 IP, BP3 및 BP4는 저장 60일에 증가의 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산가는 IP, LP1, LP2, LP3, BP1 및 BP2 경우 저장 40일에 기준치인 2.0 mg KOH/g 이하이었으며, 과산화물가는 IP, LP1, LP2 및 BP1의 경우 기준치인 40.0 meq/kg 미만이 20일째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포장재질별로는 LP2와 BP1이 저장성이 우수하였으며 포장방법별로는 대형포장 >봉지포장 >개별포장 순으로 나타났다.

소나무속 잎의 성분 분석 (Chemical Analysis of Pinus Leaves)

  • 황병호;조재현;함승시;강하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9
    • /
    • 2000
  • 침엽수 속의 대표적인 수종인 소나무류 4수종의 유효성분을 분석한 결과, 비타민 A는 소나무가 다른 수종에 비해 비교적 많은 1534 IU로 나타났으며, 비타민 C는 해송에서 158 mg%로 나타났다. 지방산 분석에서는 4수종에서 19종이 분석되었으며, 필수 지방산인 linoleic aicd는 4수종에서 다량 분석되었고, 특히 리기다에서 23.86%로 높게 나타났다. 아미노산은 모두 17종이 분석되었으며 glutanic acid, leueine, arginine, aspartic acid 등의 아미노산이 다량 분석되었고, 이들 중에는 필수 아미노산도 다량 함유되어 있었다. Rutin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헤송 잎이 10.34%로 가장 높았으며, 잣나무 5.61%, 소나무 3.76% 그리고 리기다 1.35%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분석 결고 침엽수 4수종중 소나무에서 회분, 조단백질, 조지방, 비타민 A 등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지방산과 필수 아미노산은 각각 해송과 잣나무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수종마다 각기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소나무잎의 일반 및 특수성분들이 보다 높게 분석되었으므로 건강식품개발을 위해서는 풍부한 원료자원면이나 식품영양학측면에서 소나무 잎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되며, 이들의 자료는 우선 솔잎가공식품 분야와 임산화학의 기초자료로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 PDF

국내시판 수산물통조림의 지방산조성 (Fatty Acid Composition of Canned Fish and Shellfish Products on Korean Market)

  • 오광수;김정균;성대환;이형주;이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11-215
    • /
    • 1989
  • 수산식품의 가공 및 저장 중 지질성분의 변화에 대한 일련의 연구로서 현재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14종류의 어패류통조림제품의 지방산조성을 분석하였다. 각 수산물통조림의 조지방함량은 참치기름담금통조림이 15.2%, 굴훈제기름담금통조림이 11.2%로서 함량이 많았고 그외 보일드, 토마토소오스담금, 조미어류통조림은 $4.8{\sim}7.8%$, 패류통조림은 $1.3{\sim}3.3%$ 범위였다. 지방산조성은 제품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폴리엔산의 조성비가 $34.5{\sim}61.4%$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패류통조림이 어류통조림에 비해 그 조성비가 다소 높았다. 다음으로 포화산, 모노엔산 순이었고, palmitic, palmitoleic, olelc, eicosapentaenoic, docosahexaenoic acid 등이 주요구성지방산이었다. 참치기름담금 및 굴훈제기름 담금통조림의 경우 면실유에서 이행된 linoleic acid가 전체지방산의 48.2%, 34.5%를 차지하고 있었다. 수산물통조림은 제조 중 고온가열처리를 받아 지질성분이 산화 및 열분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폴리엔산의 조성비가 높았고 eicosapentaenoic aicd, docosahexaenoic acid 같은 고도불포화지방산이 상당량 잔존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