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d rural women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36초

Dietary and Demographical Risk Factors for O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in the Eastern Anatolian Region of Turkey Where Upper Gastrointestinal Cancers are Endemic

  • Koca, Timur;Arslan, Deniz;Basaran, Hamit;Cerkesli, Arda Kaymak;Tastekin, Didem;Sezen, Duygu;Koca, Ozlem;Binici, Dogan Nasir;Bassorgun, Cumhur Ibrahim;Ozdogan, Mustaf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5호
    • /
    • pp.1913-1917
    • /
    • 2015
  • Background: O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ESCC) is endemic in the Eastern Anatolian region of Turkey.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ESCC that specifically reflect the demography and nutritional habits of individuals living in this reg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following parameters were compared in 208 ESCC patients and 200 control individuals in the Eastern Anatolian region: age, sex, place of living, socioeconomic level, education level, smoking, alcohol intake, nutritional habits, and food preservation methods. Results: The mean age of ESCC patients was 56.2 years, and 87 (41.8%) were 65 years-old or older. The ratio of women to men in the patient group was 1.39/1. ESCC patients consumed significantly less fruit and yellow or green vegetables and more hot black tea, 'boiled yellow butter', and mouldy cheese than did control individuals. Residence in rural areas, smoking, and cooking food by burning animal manure were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SCC. Conclusions: The consumption of boiled yellow butter and mouldy cheese, which are specific to the Eastern Anatolian region, and the use of animal manure for food preparation were identified as risk factors in this region.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potentially identify the carcinogenic substances that promote the development of ESCC in this region.

생활시설 종사자가 경험한 남성노인의 성적욕구 표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xual Desire Outburst of the Male Elderly Residents Experienced by the Workers in Living Facilities)

  • 이인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1호
    • /
    • pp.31-49
    • /
    • 2008
  •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explore verbal and behavioral expression of sexual desires among male elderly residents who have been living in long tenn care facilities. There are three topics covered in this study; first, in what situations and how seriously do care workers encounter expression of sexual desires of the elderly residents? Second, what kind of negative consequences do they believe those sexual behaviors will lead to? Third, how can we implement defensive measures against the sexual behaviors? In this study, twenty three care workers working full time in five retirement and care facilities were asked about their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the above study agendas, and answers of the qualitative interview were drawn as follow; first, the elderly residents apparently show a variety of sexual harassment and provoking behaviors such as sticking to specific women, physically touching and attacking, and induce obscenely activities against female residents, care workers, and volunteer visitors. Second, their sexual behaviors are often influenced by their isolated and abandoned emotionality as well as living situation in rural areas. Third, their sexual behaviors often critically affect care work plan and facility managements by severely discouraging female care givers and community supporters. Therefore in this study, suggestions and defensive measures were made as follows: first, education and counselling programs toward female workers and volunteers need to be developed, and the programs should cover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mechanism of sexuality in later life. Second, self control plans need to be empowered toward the elderly residents; in the plans, the elderly residents shall be encouraged to evaluate primary cause and proper solutions of sexual behaviors of their peering residents. Third, combination of healthy housing and care facilities for frail elderly need to be integrated in a neighboring location, so that when residents and workers encounter extreme episodes of sexuality of healthy residents in a housing facility, the problematic sexual residents are partially transferred into a neighboring care facility and thereafter other residents and cafe givers are relieved from stressful contacts with the extremely sexual residents.

야생 및 재배 지치뿌리의 Shikonin 화합물 확인 (Identification of Shikonin and Its Derivatives from Lithospermum erythrorhizon)

  • 김진숙;한영실;강명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77-181
    • /
    • 2006
  • 야생 및 재배지치의 methanol 추출물로 조제한 n-herane 용매 분획물에 대하여 shikonin 및 그 유도체 화합물을 표품으로 해서 HPLC/MS로 물질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물질의 구조 확인을 위해 $^1H-NMR$, $^{13}C-NMR$을 통해 분석한 결과, compound I은 화학식이 $C_{16}H_{16}O_5$이며 분자량이 288.3인 shikonin이었고, compound II는 화학식이 $C_{16}H_{16}O_4$이며 분자량이 272.3인 deoxyshikonin것으로 밝혀내었다. 야생지치에 함유된 shikonin과 deoxyshikonin은 $2.23\%,\;0.87\%$이었고, 재배지치에는 각각 $2.24\%,\;0.41\%$이었다. 지치의 동정된 색소물질 총량은 야생지치 $3.12\%$, 재배지치 $2.64\%$로 야생지치가 재배지치보다 유의적으로 많았다(p<0.05).

Evaluating the knowledge, attitude, perception, and readiness of caregivers of under 5-year-old children to accept malaria vaccine in Nigeria

  • Blessing Nkechi Emmanuel;Abubakar Nuhu Ishaq;Olisaemeka Zikora Akunne;Umar Faruk Saidu
    • Clinical and Experimental Vaccine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121-131
    • /
    • 2024
  • Purpose: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and mortality is greatly influenced by malaria, particularly in children. Nigeria alone accounts for about 25% of global malaria cases and fatalities. Despite efforts to control and eliminate malaria, conventional treatments have limitations, prompting the need for a vaccine. However, while efforts have focused on researching and developing malaria vaccines, less attention has been given to public acceptance and preparedness for vaccin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employed a cross-sectional approach to assess the knowledge, perceptions, and readiness of caregivers towards the malaria vaccin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physical and online survey among a representative sample of caregivers across the six geopolitical regions of Nigeria. The data was analyzed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percentages. Results: Out of 347 respondents, 180 (51%) men, 165 (46.6%) women, 2 (0.5%) transgender, 156 (45%) rural settlers, and 191 (55%) urban settlers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The study reported an overall acceptance rate of 78.4% and 21.6% resistance rate. The age group between 21-30 years recorded the highest 207 (59.6%). A significant number of participants, 252 (59.6%), held at least a higher or post-secondary certificate, out of which 193 (55.6%) demonstrated strong readiness to accept the malaria vaccine. The study showed that fear of adverse effects was the main reason for malaria vaccine resistance among caregivers. Conclusion: This study's findings offer valuable insights into caregivers' knowledge about the malaria vaccine, highlighting the factors that impact the acceptance of the malaria vaccine.

우리나라 사회계층별 건강관련 삶의 질의 차이와 관련요인 (Difference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Social Classes and Related Factors in Korea)

  • 임경태;권인선;김순영;조영채;남해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189-2198
    • /
    • 201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의 사회계층별 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의 차이를 측정하고, 이러한 계층별 건강관련 삶의 질의 수준의 차이를 설명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2007년-2009년) 자료를 이용하여 20-69세 성인 7,992명을 대상으로 성별로 층화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건강관련 삶의 질 점수인 EQ-5D index의 사회계층별 분포를 보면, 남자에서는 신중간층(II계층)이 0.966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상위 및 중상위계층(I계층)이 0.965점, 노동계층(IV계층) 0.958점, 구중간층(III계층) 0.955점, 하위계층(VI계층) 0.941점, 농촌자영자층(V계층) 0.918점 순이었다. 여자에서는 신중간층이 0.95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상위 및 중상위계층이 0.955점, 노동계층 0.936점, 구중간층 0.932점, 하위계층 0.908점, 농촌자영자층 0.866점 순으로 계층 간 차이를 보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사회계층별 차이에 기여하는 요인은 남성의 경우 만성질환, 업무스트레스, 교육, 소득수준 등이었고, 여성의 경우 이들 변수와 함께 건강행태가 기여요인으로 파악되었다. 결론적으로, 낮은 사회계층일수록 낮은 건강관련 삶의 질을 보이며, 교육과 소득수준을 제외하면 만성질환 유병이 사회계층별 건강관련 삶의 질의 차이에 가장 큰 기여를 한 것으로 사료된다.

Colorectal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in China, 2010

  • Zheng, Zhao-Xu;Zheng, Rong-Shou;Zhang, Si-Wei;Chen, Wan-Q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9호
    • /
    • pp.8455-8460
    • /
    • 2014
  • Background: The National Central Cancer Registry of China (NCCR) affiliated to the Bureau of Disease Control, National Health and Family Planning Commission of China is responsible for cancer surveillance in the entire country. Cancer registration data from each local registry located in each province are collected by NCCR annually to be analyzed and publish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policy makers and cancer researchers. Materials and Methods: Until 1st June, 2013, 219 population-based cancer registries submitted data of 2010 to the National Central Cancer Registry of China covering about 207,229,403 population, and 145 cancer registries were selected after quality evaluation for this study. Colorectal cancer cases were selected from the database according to ICD-10 coded as "C18-C20". We calculated the crude incidence and mortality rates by sex, age groups and location (urban/rural). The China population in 2000 and Segi's population were used as standardized populations for the calculation of age-standardized rates. The 6th National Population Census data of China was used to combined with the cancer registries' data to estimate the colorectal cancer burden in China in 2010. Results: Colorectal cancer was the sixth most common cancer in China. It was estimated that there were 274,841 new cases diagnosed in 2010 (157,355 in males and 117,486 in females), with the crude incidence rate of 20.1/100,000, highest in males in urban areas. Age-standardized rates by China standard population of 2000 (ASRcn) and World standard population (Segi's population, ASRwld) for incidence were 16.1/100,000 and 15.9/100,000 respectively. There were 132,110 cases estimated to have died from colorectal cancer in China in 2010 (76,646 men and 55,464 women) with the crude mortality rate of 10.1/100,000. The ASRcn and ASRwld for mortality were 7.55/100,000 and 7.44/100,000 respectively, higher in males and urban areas than in females and rural areas. The incidence and mortality rates increased with age, reaching peaksin the 80-84 year old, and oldest age groups, respectively. Conclusions: Colorectal cancer is one of the most common incident cancers and cause of cancer death in China. Primary and secondary prevention, with attention to a health lifestyle, physical activity and screening should be enhanced in the general population.

식이섭취조사와 혈청수준을 이용한 경기도 구리시거주 성인의 비타민 A와 E 영양상태평가 (Assessment of Vitamin A and E Status in Korean Rural Adult Population by Dietary Intake and Serum Levels)

  • 심재은;백희영;이순영;김영옥;문현경;권혁희;김지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4권2호
    • /
    • pp.213-221
    • /
    • 2001
  • Because the intake of vitamin A had been consistently found to be low among Koreans, there has been a concern that mild vitamin A deficiency might be prevalent in the population. However, the inaccuracy of vitamin A database has long been suspected database for the nutrien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vitamin A and E status in 208 adults over 20 years of age living in a rural area of Korea. Newly modified database for vitamin A and E was used to estimate the dietary intake of the subjects in this study. A cross sectional survey of dietary intake with 24-hour recall method was conducted. Serum retinol and $\alpha$-tocopherol levels of the subjects were analyzed in fasting samples using HPLC. For vitamin A, mean levels of dietary intake and percent of RDA were 620.3$\pm$1087RE/day and 88.6$\pm$155.4%, respectively, which were considerably higher than the levels reported in 1995 Korean national Nutrition survey(470.1RE/day and 67.2%, respectively). For vitamin E, the levels were 9.74$\pm$6.30mg/day and 97.4$\pm$63.0%, respectively. Mean concentration of serum retinol was 83.1$\pm$30.1$\mu\textrm{g}$/dl and none of the subjects was below 10$\mu\textrm{g}$/dl, or deficient level. Mean serum retinol in men, 99.8$\pm$30.4$\mu$g/d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women, 70.7$\pm$23.4$\mu\textrm{g}$/dl (p<0.01). Mean concentration of serum $\alpha$-tocopherol was 1.17$\pm$0.52mg/dl and that of one subject was below 0.5mg/dl, or deficient level. Serum $\alpha$-tocopherol levels of the old subjects were higher than the younger subjects in both sexes(p<0.05). These data suggest that contrary to the previous reports about low intake of vitamin a, intake and serum levels of vitamin A among the subjects are not low. Also, in this study, intake and serum levels of vitamin E are not low, either. (Korean J Nutrition 34(2) : 213~221, 2001)

  • PDF

일부 농촌 성인을 대상으로 한 고혈압과 식이섭취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Hypertension and Dietary Intake in a Rural Adult Population)

  • 고운영;김정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0권4호
    • /
    • pp.729-740
    • /
    • 1997
  • 고혈압과 영양소 섭취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춘천시 남면과 사북면의 10개리에 거주하는 3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1995년 7월$\sim$8월, 1996년 6월에 혈압측정 및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한 식이조사를 시행하여 남자 250명, 여자 297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혈압과 영양소 섭취와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평균 수축기 혈압과 영양소 섭취와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영양소는 남성에서 단백질 에너지(%)였다$(\gamma=0.16)$. 여성에서는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여주지 않았다. 2. 평균 이완기 혈압과의 상관관계 분석시 남성에서 단백질 밀도와 단백질 에너지(%)가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p<0.01)보여주었으며, 칼슘 밀도(calcium density)와 에너지 보정 단백질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여성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영양소는 없었다. 3. 탄수화물과 나트륨을 제외한 영양소 섭취량은 전체적으로 고혈압군에서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4. 다중선형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에서 남성의 경우 영양소 밀도를 이용한 모델에서는 평균 이완기 혈압만이 단백질 밀도와 유의한 양의 연관성을 보여주었다. 에너지 보정 영양소를 이용한 모델에서는 평균 이완기 혈압과 에너지 보정 단백질만이 유의한 양의 연관성을, 총 열량은 음의 연관성을 보여주었다. 여성의 경우는 평균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여주는 영양소는 없었다. 5. 고혈압과 영양소와의 관계를 성, 연령, 체질량 지수, 가족력을 보정하고 선형중회귀로짓분석을 이용하여 분석시 영양소 밀도를 이용한 모델에서는 단백질 밀도가 강한 양의 연관성을(Odds ratio=3.18), 지방밀도는 유의한 양의 연관성을(Odds ratio=1.94)을, 나트륨 밀도는 유의한 음의 연관성을 보여주었다(Odds ratio=0.73). 에너지 보정 영양소를 이용한 모델에서는 에너지 보정 단백질이 유의한 양의 연관성을 보여주었다(Odds ratio=1.01). 본 연구는 단면조사를 통하여 혈압과 영양소와의 상관관계 분석과 고혈압군과 정상혈압군의 영양소 섭취의 차이를 분석하여 영양소섭취와 고혈압과의 연관성을 보고자 하였는데 적대적인 영양소 섭취량보다는, 같은 에너지 섭취수준에서 단백질과 지방 섭취가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가 양의 연관성을 보였고, 나트륨 섭취가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가 음의 연관성을 보였다.

  • PDF

소득계층에 따른 노인들의 건강 불평등 측정: EQ-5D 척도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Income-related Health Inequality of the Aged Applied to EQ-5D)

  • 김진구
    • 한국노년학
    • /
    • 제32권3호
    • /
    • pp.759-776
    • /
    • 2012
  • 본 연구는 EQ-5D를 이용하여 소득계층에 따른 노인들의 건강불평등을 측정하였다. 특히 건강불평등의 다양한 측면을 파악하기 위하여 집중지수를 EQ-5D의 하위차원 및 노인들의 하위집단에 따라 분해(decomposition)하였다. 분석 자료는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자료가 사용되었으며 이중 60세 이상인 자를 노인으로 정의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들의 EQ-5D 집중지수는 .0254를 기록하였다. 이는 고소득층에 유리한 불평등이 있음을 의미한다. 나아가 EQ-5D를 구성하는 모든 하위차원 즉, 운동능력, 자기관리, 일상활동, 통증/불편, 불안/우울, 기능악화 등에서도 불건강이 저소득층에 집중되어 나타났다. 둘째, EQ-5D 집중지수를 가장 많이 설명하는 하위차원은 운동능력으로 EQ-5D 집중지수의 35.8%를 설명하였다. 그 다음으로 통증 및 불편(17.7%), 기능악화(17.7%), 일상관리(14.6%) 등의 순으로 설명력이 높다. 이러한 결과는 전 연령층을 분석한 선행연구의 결과와 대조를 이루는데, 선행연구들에서 기여도가 매우 낮았던 운동능력(3.9%)이 크게 상승한 반면 불안/우울의 기여도는 약화되었다. 셋째, 성별, 지역, 배우자 유무에 따라 EQ-5D 집중지수를 분해한 결과 세 집단이 집중지수를 설명하는 정도는 비슷하게 나타났다. 세 집단은 각각 건강형평성의 1/10정도를 설명하였다. 넷째, EQ-5D 집중지수를 하위집단에 따라 분해한 결과, 남성보다는 여성이, 도시지역보다는 농어촌지역이, 그리고 배우자가 있는 노인보다는 없는 노인의 내부불평등이 더 크게 나타났다. 내부 불평등이 큰 세 집단의 경우 모두 EQ-5D 평균값도 낮았는데, 이는 저소득 여성노인일수록, 농어촌지역 저소득 노인일수록, 배우자가 없는 저소득 노인일수록 건강관련 삶의 질이 떨어짐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하위집단의 내부불평등이 집중지수를 설명하는 정도는 여성노인집단, 도시지역 노인집단, 배우자가 있는 노인집단이 크게 나타났다.

산채류의 이용실태에 대한 조사 (A Survey on the Usage of Wild Grasses)

  • 조은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9-68
    • /
    • 2000
  • 경기, 강원, 전라남도, 충청북도, 경상남도, 제주도 지역민들의 산채 대한 인지도, 식용빈도, 이용방법 등에 대한 질문지 조사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산채에 대한 인상은 ${\ulcorner}$자연식품이다${\lrcorner}$라는 응답을 한 경우가 42.6%로 가장 높아서 자연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산채의 떫은 맛을 우려내는 방법은 ${\ulcorner}$특별히 하지 않는다${\lrcorner}$가 62.9%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산채의 입수 방법은 재래시장에서 가장 많이 구입하고 있었으며, 도시보다 농촌이, 60세이상의 연령층에서는 들에서 직접 채취하는 비율이 높았다. 4) 산채의 식용빈도는 총 응답자의 28.7%가 가끔 먹는다라고 답하였으며, 도시보다 농촌의 경우 자주 먹는다는 응답율이 높았고 노인 동거가족과 40세 이상 연령층(31%)에서 자주 먹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잘 알고 있는 산채의 이름은 평균적으로 더덕, 도라지, 고사리, 쑥, 달래를 95%이상 잘 알고 있다라고 응답하였으며 두릅 고들빼기는 각각 88.6% 85.1%이상 알고 있었다. 자주 먹는 산채는 고사리, 도라지, 달래, 더덕, 쑥, 고들빼기의 순이었으며 전라 경상지역에서는 도라지 다음으로 자주 먹는 산채를 쑥으로 응답하였다. 6) 밥에 넣어 먹는 산채는 총 25종류였으며 그 중 쑥의 이용율이 41.9%로 가장 높았다. 쑥은 떡으로 77.8%, 튀김이나 전으로 50.1%, 술담그는데 4.6%가 이용되고 있었다. 국 찌개, 생채의 조리에는 달래가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었으며, 나물이나 볶음에 이용되는 산채의 종류는 58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고사리가 볶음에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었다. 김치에는 돌나물과 고들빼기가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었으며, 술과 장아찌용으로는 더덕이 각각 40%, 46%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었으며, 도라지는 가장 다양한 조리법으로 이용되고 있었다. 7) 산채의 저장법으로 데쳐서 말려서 저장하는 산채는 43종이었으며 그 중 고사리가 32.3%로 가장 높은 비율이었으며 참취, 고비, 참나물, 쑥, 곰취도 데쳐서 건조하여 저장하고 있었다. 그외 고들빼기, 도라지, 씀바귀, 고사리 등은 소금물에 담가 저장하고 있었으며, 냉동저장도 다수가 응답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