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il-spill model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7초

유출유 확산 예측 모델의 상시 운용 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Operational System for Oil Spill Prediction Model)

  • 김혜진;이문진;오세웅;강준묵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75-382
    • /
    • 2011
  • 기초자료의 획득 체계 및 가공 체계의 부재와 복잡한 사용자 입력 체계로 인해서 유출유 확산 예측 모델의 활용에 제약이 따른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류오염사고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과학적 방제 전략 수립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실정을 고려하여 유출유 확산 예측 모델 구동을 위한 최선의 상시 활용 체계를 수립하였다. 모든 기초자료를 직접 구축하고 관리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외부 기관의 실시간 동적 자료를 연계하고 최소한의 데이터베이스만을 직접 구축하여 실시간 유출유 확산 예측의 상시 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용자와 모델간 인터페이스부분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최소화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와 모델 연산 결과를 시공간 측면에서 다차원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결과 표출 인터페이스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 구축된 유출유 확산 예측 모델의 상시 운용 체계는 외부 자료에 의존하기 때문에 모델 결과의 불확실성이 존재하지만, 유류오염사고 발생시 신속하게 모델을 구동하여 유출유 확산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실제 방제 현장에서 의미있게 활용될 수 있다.

위해도 기반 해상기름회수능력 배치모델 적용 및 유효성 평가 (Application and Assessment on the Effectiveness of the Hazard-Based Deployment Model for Oil Recovery Capacity on Water)

  • 하민재;문정환;윤종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86-49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계층분석과정(AHP)을 이용한 위해도 기반 지역별 기름회수능력 설정 방법을 모델화하여 제시하였으며, 제시된 모델을 적용하여 지역별 기름회수능력을 설정하였다. 모델을 적용하여 설정된 지역별 기름회수능력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최대오염사고의 발생이 가능한 지역 중 해상방제장비 동원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불리한 대산 태안 평택지역에 최대오염사고를 가정하여 각 지역에 배치된 해상방제장비를 동원하여 해상 기름회수작업을 수행하는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사고해역에서 3일 동안 해상에서 회수 가능한 기름의 양은 $15,841k{\ell}$로 계산되었는데, 이는 해상 기름회수 목표량인 $15,000k{\ell}$를 충족시키는 결과로 본 연구에서 제시된 모델이 실행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류사고 피해지역 수산물에 대한 소비자 인식 연구 (A Study on Consumer perception about seafood of Hebei Spirit Oil Spill Incident Area)

  • 김종화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6호
    • /
    • pp.1693-1703
    • /
    • 2015
  • This study is aimed to retain objectivity and generality against consumer perception about seafood of Hebei Spirit oil spill incident area, and analyze gap of consumer perception in according to confidence level of seafood using ordinal logit model. As results, This article have three implications. First, Consumer don't have high confidence level in comparison with previous research. Second, It is important to retain confidence of quality for purchasing seafood of oil spill incident area. Third, Consumer perception is improved positively against seafood of oil spill area. But This study has limits that don't take regional opinion and situation into account.

인공위성 원격탐사 데이터와 수치모델을 이용한 해상 유출유 예측 향상 연구: Hebei Spirit호 기름 유출 적용 (Study on Improvement of Oil Spill Prediction Using Satellite Data and Oil-spill Model: Hebei Spirit Oil Spill)

  • 양찬수;김도연;오정환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35-444
    • /
    • 2009
  • 해상 기름유출사고 시, 효율적인 방제 전략을 위해서는 유출유의 위치 및 이동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유출유의 모니터링은 항공기와 인공위성을 이용하고 있으며, 유출된 기름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기 위해 수치모델이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원격탐사에 의한 모니터링 정보를 이용한 수치모델의 초기조건 적용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공위성 자료를 통해 추출된 유출유 정보를 이용한 예측 모델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EFDC 3차원 수치모델을 이용하여 2007년 12월 7일 태안 해안에서 발생한 Hebei Spirit호 기름유출사고의 유출유 이동을 예측하였다. 모델 초기조건과 모델결과 비교를 위하여, 12월 8일 KOMPSAT-2 MSC와 12월 11일 EVNISAT ASAR위성자료로부터 추출된 유출유 정보를 사용하였다. 모델초기 조건으로 인공위성 자료를 이용한 경우가 사고지점에서 유출을 가정하여 방류한 초기조건보다 유출된 기름의 분포측면에서 더 개선된 결과를 보였다.

Oil Spill Spreading of Continuous Spills

  • Lee, Jung-Lyul;Chu, Jin-Kyu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98년도 정기학술강연회 발표논문 초록집 Annual Meeting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pp.40-44
    • /
    • 1998
  • Since oil spills discharged by offshore oil production platforms, ship accidents etc., cause many environmental problems, forecasts of drift and spreading of the spilled oil are requested as a basis for oil spill combat management. The numerical approach has been thought as the most effective methods of such forecast. In general, the oil spill model takes into account the trajectory and fate of oil, including drifting, spreading, evaporation, dispersion, emulsification, shoreline standing, and so on. (omitted)

  • PDF

한국연안해역에서의 효과적인 유류오염방제 모델에 관한 연구 (On the Effective Oil Spill Response Model along the Coastal Waters in Korea - Evaluation of the Regional Response Capabilities at the Port of Ulsan -)

  • Yun, Jong-Hwui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4
    • /
    • 1999
  • To find characteristics and areas of greater risk of oil spill at the coastal waters in Korea, some of risk factors were analyzed with historical data of oil spill and marine traffic. As a result, it is characterized that frequency of oil spill is increasing year by year and greatest percentage of spill source is fishing boat. It is proposed that the ports of Ulsan, Yeosu, Incheon and Pusan will be designated as primary area of risk as they have a higher risk of oil spills and its response authority is required to maintain appropriate regional response capability for prompt and effective response to a future spill incident. In addition, the regional response equipments at Ulsan are examined under a assumption of a medium size spill and it is found that the use of chemical dispersant can be an alternative when mechanical containment and recovery is not feasible in this area, and the existing response equipments may be appropriate to address that size of spill. However, the response authority is required to maintain more numbers of stronger boom for unsheltered waters and more quantity of concentrate dispersant to disperse all spilled oils on the water, furthermore the response authority should be prepared for a possible future catastrophic spill with sufficient equipments.

  • PDF

대규모 유류유출사고 대비 환경보건 대응계획 수립을 위한 기반연구 (Scientific Basis of Environmental Health Contingency Planning for a Coastal Oil Spill)

  • 김영민;정해관;김종호;김종헌;고금숙;하미나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2권2호
    • /
    • pp.73-81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presents a scientific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an environmental health contingency plan for dealing with accidental coastal oil spills and suggests some strategies for use in an environmental health emergency. Methods : We reviewed the existing literature, and analyzed the various fundamental factors involved in response strategies for oil spill. Our analysis included data derived from Hebei Spirit oil spill and used air dispersion modeling. Results : Spill amounts of more than 1,000 kl can affect the health of residents along the coast, especially those who belong to vulnerable groups. Almost 30% of South Korean population lives in the vicinity of the coast. The area that is at the highest risk for a spill and that has the greatest number of people at risk is the stretch of coastline from Busan to Tongyeong. The most prevalent types of oil spilt in Korean waters have been crude oil and bunker-C oil, both of which have relatively high specific gravity and contain volatile organic compounds,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and metals. In the case of a spill of more than 1,000 kl, it may be necessary to evacuate vulnerable and sensitive groups. Conclusions :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 environmental health planning that considers the spill amount, the types of oil,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pot of the accident and the coast, and should assemble a response team that includes environmental health specialists to prepare for the future oil spill.

Sentienl-1 SAR 영상을 활용한 유류 분포특성과 CNN 구조에 따른 유류오염 탐지모델 성능 평가 (Evaluation of Oil Spill Detection Models by Oil Spil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CNN Architectures Using Sentinel-1 SAR data)

  • 박소연;안명환;이성뢰;김준우;전현균;김덕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5_3호
    • /
    • pp.1475-1490
    • /
    • 2021
  • SAR 이미지의 통계적 특징을 이용하여 유류오염영역을 특정하는 방법은 분류규칙이 복잡하고 이상값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한계가 있어, 최근 인공신경망을 기반으로 유류오염영역을 특정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유류오염 사례에 대해 모델의 탐지 성능 및 특성을 평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인 구조의 CNN인 Simple CNN과 픽셀 단위의 영상 분할이 가능한 U-net을 이용하여, CNN의 구조와, 유류오염의 분포특성에 따른 모델의 탐지성능차이가 존재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축소경로만 존재하는Simple CNN과 축소경로와 확장경로가 모두 존재하는U-net의 F1 score는 86.24%와 91.44%로 나타나, 두 모델 모두 비교적 높은 탐지 정확도를 보여주었지만, U-net의 탐지성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양한 유류오염 사례에 따른 모델의 성능 비교를 위해, 유류오염의 공간적 분포특성(유류오염 주변의 육지의 분포)과 선명도(유출된 기름과 해수의 경계면이 뚜렷한 정도)를 기준으로, 유류오염 발생사례를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탐지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Simple CNN은 각각의 유형에 대해 F1 score가 85.71%, 87.43%, 86.50%, 85.86% 로 유형별 최대 편차가 1.71%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U-net은 동일한 지표에 대해 89.77%, 92.27%, 92.59%, 92.66%의 F1 score를 보여 최대 편차가 2.90% 로 두 CNN모델 모두 유류오염 분포특성에 따른 수치상 탐지성능의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모든 유류오염 유형에서 Simple CNN은 오염영역을 과대탐지 하는 경향을, U-net은 과소탐지 하는 경향을 보여, 모델의 구조와 유류오염의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탐지 특성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특성은 유류오염과 해수의 경계면이 뚜렷하지 않은 경우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한국 동남해역에서의 유출유 확산예측모델 (Oil Spill Behavior forecasting Model in South-eastern Coastal Area Of Korea)

  • 류청로;김종규;설동관;강동욱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52-59
    • /
    • 1998
  • 연안해역의 유류오염물질의 거동을 신속히 이해하기 위해 구축된 긴급방제 현장용 유출유 확산모델을 실해역인 한국 동남해역(부산-울산주변 해역)을 대상으로 기존의 유류오염사고 자료와 계산에 의한 유류확산예측 결과의 비교를 통하여 그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특히 유적의 제적을 추적함으로서 조류, 취송류 그리고 해류에 의한 유출유 확산특성을 파악하였다. 유출유 확산예측결과는 실제 유출유의 확산경로와 비슷한 결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의 대상해역과 같이 조류의 영향이 미약한 해역에서는 바람에 의한 취송류성분이나 해류성분이 유출유 확산에 매우 중요한 메카니즘임을 알 수 있다.

  • PDF

누유확산 모델의 남해안 적용 (Application of Oil Spill Model to the South Sea of Korea)

  • 홍기용;이문진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6-65
    • /
    • 1998
  • 해상 누유의 이동경로 및 풍화와 관련된 여러 물리현상들의 모델링 기법들이 검토되었으며, 이에 기초한 해상누유 확산 예측모델 "푸른바다"가 소개된다. 실시간 누유확산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서는 조류에 관한 데이터베이스가 필수적이며, 본 연구에서는 누유 사고가 빈번한 남해안 일대의 조류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었다 남해 조석류의 실시간 예측을 위해 4개의 주요분조(M₂, S₂, K₁, O₁ 조석류)를 채택하였으며, 각 분조들의 각속도와 위상 값들은 천문상수들로부터 얻어진다. 주요분조들의 조화상수는 천해 조류 방정식을 풀어 구한다. 푸른바다는 사용자 편의성의 극대화와 해양환경 데이터베이스의 확장이 용이한 유연한 구조를 그 특징으로 한다. 매몰도 인근해역에서 좌초되어 누유를 발생시켰던 오성호 사고를 시뮬레이션함으로서 푸른바다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관측된 누유확산 경로와 비교하였으며, 이를 통해 푸른바다가 누유의 거동 예측에 있어 타당한 추정치를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