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il extraction

검색결과 568건 처리시간 0.032초

오일샌드 기술(技術)의 특허정보(特許) 분석(分析) (Patent Analysis of Oil Sands Technologies)

  • 이기봉;전상구;노남선;김광호;신대현;이흥연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8권1호
    • /
    • pp.3-12
    • /
    • 2009
  • 오일샌드는 원유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모래로 종전에는 높은 생산비용으로 인하여 큰 관심을 받지 못했지만, 최근 초고유가 시대를 맞아 새로운 대체 원유로서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일샌드로부터 합성원유 생산과 관련되어 한국을 포함하여 미국, 캐나다, 일본, 유럽, 중국에서 공개된 출원특허를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전체기술을 채굴, 추출, 개질, 연료화, 기타 기술로 나누어 세부기술 분석을 실시하였다. 오일샌드로부터 합성원유 생산 기술에 관한 특허는 1969년에 첫 출원이 이루어진 후, 꾸준히 출원건수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국제유가변동 추이에 출원건수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미국과 캐나다 특허의 점유율이 전체의 약 90%로 오일샌드 기술을 주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체 기술 특허 중 추출 기술과 채굴 기술이 77% 이상을 차지하여 가장 활발한 활동을 보였지만, 2000년대 이후에는 출원건수가 감소하거나 일정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반면, 개질 기술은 출원건수가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근래에 관련 기술 중 개질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함을 나타내고 있다.

Optimization of biodiesel production via methyl acetate reaction from cerbera odollam

  • Dhillon, Sandip Singh;Tan, Kok Tat
    • Advances in Energy Research
    • /
    • 제4권4호
    • /
    • pp.325-337
    • /
    • 2016
  • Cerbera Odollam (sea mango) is a proven promising feedstock for the production of biodiesel due to its high oil content. Fatty acid methyl esters (FAME) were produced as the final reaction product in the transesterification reflux condensation reaction of sea mango oil and methyl acetate (MA). Potassium methoxide was used as catalyst to study its reacting potential as a homogeneous base catalyst. The initial part of this project studied the optimum conditions to extract crude sea mango oil.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 of sea mango sea mango oil was 55%. This optimum amount was obtained by using 18 g of grinded sea mango seeds in 250 ml hexane. The extraction was carried out for 24 hours using solvent extraction metho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was employed to determine the optimum conditions of the reaction. The three manipulated variables in this reaction were the reaction time, oil to solvent molar ratio, and catalyst wt%. The optimum condition for this reaction determined was 5 hours reaction time, 0.28 wt% of catalyst and 1:35 mol/mol of oil: solvent molar ratio. A series of test were conducted on the final FAME product of this study, namely the FTIR test, GC-FID, calorimeter bomb and viscometer test.

Survey Effects of Oil Income on Nonoil Export and Effort for Decline in Dependence to Oil Income

  • Varahrami, Vida
    • 동아시아경상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21-23
    • /
    • 2016
  • There are so much oil and gas reserves in Iran. Therefore extraction from these reserves and sell extracted oil and gas in international markets causes to high oil income for Iran. Especially in some years which oil price increases, our oil income was too high. In this paper, we want to reveal that, high oil income is not cause to rise of nonoil export. For this aim, we use from data of 1971-2013 and with Johansen co-integration test and Error Correction Model (ECM) extract short run and long run relations. Results of estimation reveal that in Iran high oil income is not cause to many non oil exports in long run and short run. Therefore, we should allocate oil income to import industrial machines and reallocate them to agriculture and industrial sectors which causes to raise national production which will cause to high non oil export. Then, in this condition, our needy exchanges are provided from non oil export and our dependence to oil income will be declined.

초임계유체 공정에 의한 유효지방산이 풍부한 현미유의 추출 (Extraction of Brown Rice Oil Including Essential Fatty Acid Using Supercritical Fluid Process)

  • 김형진;신명옥;홍인권;박경애
    • 공업화학
    • /
    • 제8권5호
    • /
    • pp.860-865
    • /
    • 1997
  • 건강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는 현미유는 palmitic acid, linolenic acid, linoleic acid, oleic acid, stearic acid, tocopherol, squalene 등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현미겨로부터 초입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현미유를 추출하고, GC-MSD를 이용하여 조성을 분석하였다. 현미유의 추출량은 추출공정의 조작온도와 압력에 의존하였으며,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환산밀도에 따라 추출된 기름내 지방산의 조성이 변화되었다. 또한 70~80%의 기름이 4시간 정도의 조작시간내에 추출됨이 확인되었다. 특히 용매추출공정과 초임계유체 추출공정을 비교한 결과 초임계유체 추출공정에서 추출된 기름의 조성에서만 squalene이 포함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생지황(生地黃) 증류 추출 약침액과 초임계 유체 추출물의 성분 연구(硏究) (The Study on the Composition of Rehmanniae Radix Extracts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and by Hydrodistillation Extraction)

  • 허종원;육태한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8권2호
    • /
    • pp.89-95
    • /
    • 2011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position of Rehmannia glutinosa's essential oils with Rehmanniae Radix herbal acupuncture Methods : I obtained the essential oils of Rehmannia Radix by hydrodistillation extraction method and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SFE) method, and then I analyzed those by GC/M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um). Results : 1. With GC(gas chromatography) and GC/M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um) analysis. I identified 9 compounds in the Rehmanniae Radix's essential oil obtained through the SFE method. The main compounds were as follows : Hexachloroethane(2.24%), N-Butyl-benzenesulfonamide(2.05%), hexadecanoic acid(1.93%), hexadecanoic acid, ethyl ester(3.49%), 9,12-Octadecadienoic acid(z,z)(2.70%), (9E)-9-Octadecenoic acid(6.14%), ethyl linoleate(4.43%), ethyl oleate(5.80%). 2. I failed to get Rehmanniae Radix's essential oil obtained through the hydrodistillation method. 3. With GC(gas chromatography) and GC/M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um) analysis. I identified 4 compounds in the Rehmanniae Radix's essential oil obtained through the hydrodistillation method. The main compounds were as follows : Ethylbis(trimethylsilyl)amine(1.04%), 2-(Trimethylsiloxy)benzoic methyl ester(2.65%), Hexadecanoic acid trimethylsilyl ester(12.61%), octadecanoic acid, trimethylsilyl ester(6.28%). Conclusions : The substances by hydrodistillation method may not perfectly match with the substances by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SFE) method in essential oils extracted form Rehmanniae Radix. But, the main substances was assumed Hexadecanoic acid and octadecanoic acid.

흡수 분광법을 이용한 세정 과정에서 흡착된 오일의 평가 (A Method to Determine Amount of Adsorbed Oil in Hair Washing Using Absorption Spectroscopy)

  • 송상훈;김현영;손성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05-116
    • /
    • 2019
  • 두발이나 인체 세정 과정에서 일어나는 오일 흡착은 내부 성분량 변화와 컨디셔닝 기능에 큰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오일을 흡착재에서 직접 검출하여 편리하게오일량을 정량할 수 있는 흡수 분광 평가법을 개발하였다. 먼저, 오일 흡착량에 영향을 미치는 코아세르베이트 함량을 판단하기 위해서 음이온과 양쪽성 계면 활성제간 몰비율에 따른 코아세르베이트 함량을 조사하였다. 이 데이터를 활용하여 오일 흡착량 평가에 가장 적합한 오일 점도값을 확보하였고 세정제의 계면활성제간 몰비 조정 등을 통해 모발 대체 흡착재와 흡착 및 용출에 필요한 가장 최적의 방법을 확립하였다. 이렇게 확립한 평가법으로 자외선 흡광도가 있는 오일을 자외선 흡광도가 없는 실리콘 같은 오일 대신 배합해서 흡착시키고 용출시킨 후 흡수 분광법으로 오일 흡착량을 정량 계산해 본 결과를 HPLC의 질량분석과 AFM을 이용한 점착력 결과와 비교하였다. 오일 흡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양이온 폴리머를 다르게 하고 복합 폴리머를 사용해 본 결과 본 평가법이 모든 오일의 흡착량 평가에 적용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미세조류 Dunaliella bardawil에서 오존과 과산화수소에 의한 ${\beta}$-carotene의 축적과 식용기름을 이용한 추출 (Induction of ${\beta}$-carotene by Ozone and Hydrogen Peroxide and Extraction Using Vegetable Oil from Microalga Dunaliella bardawil)

  • 유경원;정욱진;정병철
    • 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89-295
    • /
    • 1999
  • Dunaliella bardawil의 적절한 생장과${\beta}$-carotene의 효과적인 축적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염 농도, pH, 광량, 교반속도, 오존처리, 과산화수소 첨가 등의 영향을 비교하였고, 식용 식물성 기름을 이용한 ${\beta}$-carotene의 추출조건을 비교하였다. D. bardawil의 비생장 속도는 1N NaCl, pH 8.0 광량 80${\mu}$$E/\m^2/s$ , 70rpm 으로 배양 시에 0.168/hr로 최대를 나타냈다. 흰색 형광등을 250${\mu}$$E/\m^2/s$ 로 조사한 경우 ${\beta}$-carotene isomer 축적은 cis isomer가 trans isomer에 비해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beta}$-carotene의 축적을 위하여 50${\mu}$M 과산화수소를 배양 2일 경과 후에 첨가한 경우 대조군의 축적율이 150${\mu}$g/ml인데 비해 324${\mu}$g/ml로, 200ppb로 2시간 오존 처리했을 때 약 1.8배 증가한 270${\mu}$g/ml이었다. 식용기름에 의한 37${\circ}C$에서의 추출효율은 올리브유, 참기름, 미강유, 옥수수유, 대두유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올리브유를 수층 부피의 9배로 첨가하고 50${\circ}C$에서 1시간 동안 sonication한 결과 96.95의 추출효율을 나타내었다.

  • PDF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참치유로부터 휘발성 성분의 분리 (Separation of Volatile Compounds from Tuna Fish Oil With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노형섭;윤현석;정선미;홍언련;강길윤;전병수
    • KSBB Journal
    • /
    • 제20권1호
    • /
    • pp.12-17
    • /
    • 2005
  • 어류에 다량 함유된 EPA와 DHA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어유의 이용에 있어 가장 장애가 되는 요소는 비린내 및 산패취이며 이를 제거하기 위한 연구를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추출용매로 하여 참치 안구유로부터 제거된 휘발성 이취성분을 동정하고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 전과후의 이취성분을 비교해 보았다. 또한 추출 조건인 온도와 압력 조건을 달리 함으로써 휘발성 성분의 제거에 있어서의 최적조건을 찾아보았다. 추출 전 참치 안구유에서 99종의 휘발성 성분을 동정할 수 있었던 반면, $40^{\circ}C$, 200bar조건에서의 추출 후의 분석결과에서는 14개 이취성분을 동정할 수 있었으며, 어유 이취 유발성분인 heptanal과 octanal이 제거되었다. $60^{\circ}C$, 80-200 bar 영역에서는 휘발성 성분의 제거율이 높게 나타났다.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에 의한 참치유의 휘발성 성분의 제거는 기존의 방법에 비교하여 효율성과 안정성이 우수하여 생물 및 식품산업분야에 다양하게 이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의한 멸치어유의 고도불포화지방산 농축 (Concentration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from Anchovy Oil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임상빈;좌미경;송대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848-854
    • /
    • 1998
  • 멸치어유로부터 EPA와 DHA가 농축된 분획을 제조할 목적으로, 흡착제, 보조용매, 추출압력을 달리하여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추출 분획한 후 추출수율과 지방산 조성을 측정하였다. 추출수율은 흡착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추출시간의 증가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여, 추출 3시간 후에는 63%였지만, 흡착제로 실리카겔과 질산은을 코팅한 실리카겔을 사용한 경우는 완만하게 증가하여 각각 26%와 33%였다. 어유를 질산은으로 코팅한 실리카겔과 혼합하여 추출하였을 때 추출잔류물 분획에 고도불포화지방산들이 농축되었다. 어유를 실리카겔과 혼합하여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보조용매로 hexane, ethyl acetate, ethanol과 함께 추출하였을 때 추출 2시간 후 추출수율은 각각 53.1, 86.3, 88.5%로 초임계 이산화탄소만으로 추출하였을때인 20.0%에 비하여 $2.7{\sim}4.4$배 증가하였다. 보조용매로 ethyl acetate를 사용하였을 때 추출잔류물 분획에서의 EPA와 DHA의 농도가 가장 높았다. 어유를 질산은이 코팅된 실리카겔과 혼합하여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보조용매로 ethyl acetate와 함께 추출하였을 때 추출 3시간 후 추출수율은 207, 276, 345 bar에서 각각 67.3, 76.4, 67.1%로 초임계 이산화탄소만을 사용하였을 때인 33.1%보다 2배 이상 증가하였다. 추출물 분획들의 지방산 조성은 원료 어유에 비하여 모든 추출압력 조건에서 $C14{\sim}C18$의 농도는 증가하였고, EPA와DHA 농도는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추출압력 276 bar에서 추출잔류물 분획의 EPA와 DHA 농도는 각각 28.2%와 38.3%로 원료 어유에 비하여 각각 212%와 236% 농축되었다.

  • PDF

러시아산 고수종자에서 추출한 정유성분 및 구성성분의 쌀바구미 및 어리쌀바구미에 대한 살충효과 (Insecticidal activities of Russia coriander oils and these constituents against Sitophilus oryzae and Sitophilus zeamais)

  • 최선아;이회선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3호
    • /
    • pp.239-243
    • /
    • 2018
  • 쌀바구미 및 어리쌀바구미에 대한 고수 종자에서 추출한 정유의 살충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3가지 추출법(수증기증류, 용매 및 초임계 추출법)을 통해 정유를 추출하였다. 용매 및 초임계 추출법으로 추출한 정유는 쌀바구미 및 어리쌀바구미에 대해 살충효과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에 수증기증류 추출법으로 추출한 정유는 쌀바구미 및 어리쌀바구미에 대하여 살충효과를 나타내었다. 고수종자의 수증기증류 추출법으로 추출한 정유를 GC-MS를 통해 분석한 결과 linalool (59.92%)이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으로 camphor (7.94%), linalool oxide (7.70%), p-cymene (7.44%), ${\alpha}-pinene$ (6.44%), limonene (3.29%), geranyl acetate (3.19%)의 순으로 함량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들 중 camphor와 linalool은 쌀바구미 및 어리쌀바구미에 대해 가장 우수한 살충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나머지 성분들은 살충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고수종자의 수증기증류 추출법에 의한 정유와 구성성분인 camphor 및 linalool이 저곡해충에 대한 살충제로서의 잠재력을 지니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