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fficial diplomatic residence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조선시대 남별궁(南別宮)의 평면 구조와 변화 (The Flat Structure and Transformation of Southern Royal Villa in Joseon Dynasty)

  • 이종서
    • 건축역사연구
    • /
    • 제29권1호
    • /
    • pp.51-64
    • /
    • 2020
  • Southern Royal Villa served as an accommodation for the prince in early Joseon Dynasty, and as an official residence and banquet room for Chinese diplomats in the later period. It was facing south and was located at the southern part of the old town of Seoul and to the north of the Southern Gate. The place was divided into four parts: the outmost, the middle, the inner-middle and the inner part beginning from the south and with important buildings placed in the inner part. The residence for the first and the second highest diplomats was situated at the northernmost location. The residence for the highest diplomat was a two-story building. On the west side of the residence was the large scale Western Banquet Room. It consisted of a single wide hall suited for a grand ceremony, and had the greatest formality and solemnity. On the southwestern side of the diplomatic residence was a building which was called Momchae before the early 17th century and Namru(南樓) after the 19th century. Namru in the inner-middle part is the half-sized remnant of Momchae, which used to be the largest building in the Southern Royal Villa. The title 'Momchae (meaning Main Buildling)' signifies that the building represented the entire Villa when it was built as an accommodation for princes. The layout of the Villa in early Joseon Dynasty, which was centered around Momchae, is highly likely to have been a common structure of royal villa for princes during the period.

통일기 신라와 일본의 대재부외교(大宰府外交)와 그 의미 (Dazaihu Diplomacy Between United Silla and Japan)

  • 조이옥
    • 동양고전연구
    • /
    • 제73호
    • /
    • pp.91-117
    • /
    • 2018
  • 전근대 동아시아의 국제관계를 규제하는 조공체제에서 각 국가 간 외교 관계는 왕경에서 거행되는 조정외교를 원칙으로 하였다. 따라서 왕권이 실재하는 왕경은 정치적 중심지인 동시에 외교의 장으로 기능하였다. 그런데 통일신라와 일본의 외교 관계는 왕권 사이의 조정외교 이외에도 쓰쿠시(축자(筑紫))에 위치한 다자이후(대재부(大宰府))를 매개로 하는 실무외교라는 이원적 형태로 운영되고 있어 주목된다. 대체로 7세기 중엽 이래 한반도를 둘러싼 군사적 긴장관계에 대비하기 위해 일본 조정은 외교와 군사적 방어를 주 임무로 하는 관사(官司)로서의 대재부(大宰府)를 정비하였다. 즉 지정학적으로 구주(九州) 서북단에 위치한 축자(筑紫)는 해외의 관문으로 국방상의 요충지였는데, 663년 백강전투라는 동아시아 전란 속에서 외교적 군사적 대응의 필요성에서 일본 조정이 이 곳에 대재부(大宰府)를 설치하였다. 대외교섭의 일환으로 일본의 대화조정이 설치한 대재부(大宰府)는 7세기 후반 이래 관사(官司)로서의 대외적 기능 이외에 신라와 일본의 공적 외교가 이루어지고 기간 동안 외교의 장(場)으로 기능하고 있어 흥미롭다. 특히 대재부(大宰府)를 매개로 하는 신라와 일본의 외교 교섭은 실무 방식을 택하고 있는데, 이것은 외교의례가 중요한 쟁점이 되었던 8세기 중엽 신라와 다자이후 사이에 왕래된 문서외교(文書外交)를 통해서도 확인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