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ff-flavor

검색결과 322건 처리시간 0.03초

필름 포장된 콩나물의 유통 중 축적되는 이취의 종류 및 발생 특성 (Characterization of Off-flavors from Film-Packed Soybean Sprouts)

  • 조경심;김용호;이영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20-226
    • /
    • 2006
  • 필름 포장 상태로 유통되는 콩나물의 주요 상품성 저하 원인 중 하나인 이취의 종류 및 발생 조건 등을 구명하고자 수행된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콩나물은 저장 온도가 높을 수록 호흡속도가 증가하여 $O_2$의 빠른 소모와 높은 농도의 $CO_2$ 축적 및 알콜취, 이취의 발생 촉진을 가져왔다. 2. 알콜취는 이취에 앞서 발생하였으며 EtOH은 이취와 유사한 시점에서 GC를 이용한 검출이 가능하였다. 3. 이취의 발생 한계 $O_2$ 농도는 $1{\sim}2%$ 수준으로, 알콜취의 발생 한계 $O_2$ 농도는 $4{\sim}2%$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4. 이취 기체 내에는 다양한 종류의 aldehyde류 및 fatty acid류가 동정되었다.

청국장과 김치에서의 이취 발생과 저감화 (The Reduction of "Off-flavor" in Cheonggukjang and Kimchi)

  • 홍은정;김영준;노봉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24-333
    • /
    • 2010
  • Off-flavor in foods and in raw materials is quite concerning, as it could signify deeper-rooted problems. Methods of reduction of "off-flavors" in traditional food such as Cheonggukjan and Kimchi, and in raw materials of soybean paste were studied by means of a literature review. It was found that the major components of "off-flavor" were due to butyric acid, valeric acid, alkylpyrazines, ammonia, and sulfides for Cheonggukjang, and for Kimchi were sulfur containing components such as methyl allylsulfide, dimethyl disulfide, diallyl disulfide, methyl allyl trisulfide, methyl 2-propenyldisulfide, dipropenyldisulfide. There is a demand for a scientific and systematic approach in overcoming the "off-flavor" problem. Nutritional aspects and safety should be considered. Several methods have been attempted, such as masking, binding, improving cooking process, inhibiting rancidity, and controlling the growth of micro-organism. Methods of masking were the most frequently ones used for the reduction of "off-flavor", and in some cases, othertechniques were additionally applied. The masking method would be useful in the reduction of "off-flavor" in traditional Korean foods, i.e. Cheonggukjang, Kimchi, as well as in new product development.

Minimization of Off-Flavor Occurrence During the Storage of Modified Atmosphere Packaged Pleurotus ostreatus

  • Lee, Eun-Kyoung;Noh, Bong-Su;Kim, Gun-He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2권4호
    • /
    • pp.222-228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inimization of off-flavor occurrence and the maintenance of high quality in modified atmosphere packaged Pleurotus ostreatus during the storage. There are 4 treatments used to preserve high quality and for deodorization of MAP mushroom: Artemisia princeps, Artemisia capillaries, green tea and activated charcoal. The mushrooms were packed in polyethylene film with each treatment and were stored at 5 and $20^{circ}C$.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weight loss, $CO_2\;and\;O_2$ concentration, or color of mushrooms packed with or without treatment. However,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electronic nose, revealed differences in off-flavor occurrence between control (MAP mushroom without treatment) and treatment groups at $5^{\circ}C$. This result suggested that Artemisia princeps and Artemisia capillaries was masking the off-flavor in MAP mushroom because the unique flavor of them was strongly revealed and green tea and activated charcoal might have a role of removing the off-flavor by adsorbing ethanol and acetaldehyde, which is known to cause off-flavor. The sensory test showed that Artemisia princeps and Artemisia capillaries dough treatment inhibited microbial growth.

일부냉동식품에서의 Lipoxygenase와 이취발생관계 (Lipoxygenase and Off-flavor Development in Some Frozen Foods)

  • 이영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3-56
    • /
    • 1981
  • 냉동 단옥수수에서 발생하는 이취와 lipoxygenase 역가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려 여러 가지 시험이 수행되었다. 수확직후 단옥수수의 lipoxygenase 역가는 전체의 약 60%가 배아부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숙하지 않은 채 단옥수수를 냉동 저장했을 때 저장중에 이취가 발생되었으며, 이취가 발생된 단옥수수의 flavor profilerk가장 중요한 변화는 대조구에 비하여 $4{\sim}5$배 높게 나타난 hexanal peak였다. 살균 처리한 단옥수수에 lipoxygenase를 단독 또는 다른 효소와 혼합하여 첨가한 처리구에서 높은 hexanal peak가 관찰되었는데, 이런점으로 미루어보아 이취가 발생된 단옥수수의 높은 hexanal peak는 리놀레산(그리고 기타 불포화 지방산)이 lipoxygenase의 촉매작용으로 산화된데 기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Lipoxygenase의 역가와 리놀레산 함량분포를 근거로 관찰해 보면 이런 산화작용이 대부분 배아부분에서 일어난다고 할 수 있겠다. 냉동 저장한 대공에 붙은 단옥수수(corn-on-the-cob)의 관능시험결과와 배아부분의 hexanal peak간에는 유의성이 있는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런 결과는 냉동 단옥수수의 이취발생여부를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으로 hexanal peak를 사용할 수 있음을 말해준다.

  • PDF

GC-olfactometry를 이용한 돼지간의 비린내불쾌취 성분 연구 (Study on Fishy Off-flavor in Porcine Liver by GC-O)

  • 임성임;최성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53-358
    • /
    • 2003
  • 지금까지 거의 보고되지 않은 동물간의 비린내 불쾌취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연속수증기증류에 의해 얻어진 가열돼지간의 휘발성 농축물중에 포함된 화합물을 분리 동정하여, 가열에 의해서도 없어지지 않고 잔존하는 비린내물쾌취를 검토하였다. 또한, GC 분석시, GC-O를 이용하여 각 휘발성화합물의 냄새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간은 가열하는 것에 의해 특이적인 비린내불쾌취가 소실되지 않으며, 여전히 잔존함이 확인되었다. 동정된 69종의 화합물중 비린내를 갖는 (E,E)-2,4-heptadienal(fishy) 및 금속취를 갖는 1-octen-3-one, hexanol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또한 가열돼지간의 불쾌취 형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지는 (E)-2-nonenal(cardboard-like), (Z)-4-decenal(cardboard-like), (E,E)-2,4-decadienal(deep-fried) 등 낮은 한계값을 갖는 aldehyde 류의 생성을 확인하였다. 동정된 69종의 화합물중 40종류의 성분은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가열 돼지간의 휘발성성분으로 동정되었다. 1-Octen-3-one, hexanol, (E)-2-nonenal, (Z)-4-decenal, (E,E)-2,4-heptadienal 등은 특징적인 냄새를 나타내며, 돼지간의 불쾌취 형성에 있어 중요한 화합물로 사료된다. 이들 alkanal, alkenal 및 alkanone류는 돼지간에 다량 함유된 불포화지방산의 산화 반응생성물로, 그 일부는 가열처리에 의한 분해생성물인 것으로 사료된다.

MS-전자코를 사용한 페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생수병과 뚜껑의 이취 이행 분석 (Analysis of Off-flavor Generated from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Water Bottles and Caps by Using an Electronic Nose)

  • 한현정;박수원;정효연;김정선;동혜민;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25-430
    • /
    • 2015
  • 원료인 생수와 포장 용기인 페트병과 뚜껑에서 야기되는 이취 성분의 존재여부를 MS-전자코를 통하여 분석해 보았다. 이취가 나는 생수는 농도별로 DF2 양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이취의 원인이 페트병 혹은 페트병의 뚜껑이라고 가정하여 분석을 진행한 결과 뚜껑에서 휘발 성분이 페트병 보다 많이 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물에서 나는 이취가 페트병보다는 뚜껑에 영향을 더 많이 받았을 것이라고 볼 수 있었다. 또한 이온 분획의 결과로 보아 이취의 원인이 되는 물질인 2,4-di-tert-butylphenol, 노난올과 데칸올이 페트병과 뚜껑에 포함되어 있다고 추측되었다.

에스테르 교환반응과 흡착제를 이용한 오징어 내장유의 품질 개선 (Study for Improving Properties of Squid Viscera Oil Using Transesterification and Adsorption)

  • 노명균;;전병수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257-262
    • /
    • 2007
  • Squid viscera oil was investigated by pretreatment method for enhancing the commercial value. Transeterification was performed to reduce rancidity of the oil, off-flavor was removed by using activated carbon adsorption. Analysis using ATD (Automatic Thermal Desorber) and GC/MG shows the efficacy of off-flavor removement. The rates of Transesterification employing inorganic catalyst and biocatalyst were tested, respectively. With stepwise addition of ethanol, the most efficiency of the reaction was achieved by inorganic catalyst. The efficiency of the reaction was estimated by acid value corresponding to rancidity of reaction product.

  • PDF

저장유통 조건에 따른 오징어 품질예측 모델링 (Kinetic Modeling for Predicting the Quality of Squid (Todarodes pacificus) during Storage and Distribution)

  • 김소이;신지영;김현석;양지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73-180
    • /
    • 2022
  • 오징어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여러 항목 들이 있으나 현장에서 소비자 및 유통업자들의 경우 주관적인 관능평가에 의존하고 있으며 소비자의 어류 구매의사 결정에 부패취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관능적 평가를 입증 할 수 있는 과학적인 품질인자를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온도와 저장시간에 따른 상호관계를 분석하였다. 과학적 품질인자로는 TVC, Pseudomonas spp., pH, VBN 으로 선정하였으며 세 가지 온도 조건에서 보관하였다. 이취발생검지시점은 R-index를 이용해 측정하고 kinetic 모델링을 진행하였다. 모델링 결과 활성화 에너지는 이취발생검지 시간이 51.210 kJ/mol, TVC는 42.888 kJ/mol, Pseudomonas spp.는 50.283 kJ/mol, VBN은 72.594 kJ/mol, pH는 41.990kJ/mol 으로 나타났다. Pseudomonas spp., TVC, pH, VBN 순으로 이취발생검지 시간의 활성화 에너지에 근사하였으며, 특히 Pseudomonas spp.는 이취발생검지 시간의 활성화 에너지와 가장 유사하였다. 따라서 오징어의 이취발생 indicator는 이취발생시간과 가장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는 Pseudomonas spp.로 판단 할 수 있었다.

가정에서의 냉장고를 이용한 제빙 실태와 제빙 설비 개선에 대한 요구도 조사 (Preparation of Ice at Home and Consumer's Demand for Auto Icemaker in Refrigerator)

  • 이영미;장정옥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11-220
    • /
    • 1997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about preparation of ice at home and developing points which met consumer's demand that was focused on auto icemaker. According to purposive quota sampling method, residences in Seoul and Kyunggi-do area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by trained interviewer at August 199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66.3% of respondent usually prepared ice in ice-making container of refrigerator and used when they needed. 85% of them used ice in summer and seldomly used in other seasons. Boiling water with barley was major drinking water(45.6%), and broiled or purified tap water was used to make ice(38.6%) commonly. Numbers of ice-making container were two(66.0%). Above 50% of respondents replied that they felt off-flavor in ice usually. After felt off-flavor, 54.7% of respondent threw away the ice, some of them used off-flavored ice after treatment to washing with water. 64.9% of respondents thought that the origins of off-flavor was the flavor of refrigerator itself. The consumer's expectation of developing points were as follows. The most priority of developing points was to make ice quickly, the next was to develop auto ice maker and ice storage container, to make different size of ice. Less expected points were to make more clear ice and large volume of ice in one time. The recognition about auto ice maker was slightly low(35% of respondents), but 67% of them wanted to develop auto ice maker.

  • PDF

시판 미역 및 쌀엿의 이취성분(異臭成分) 규명 (Identification of Off-Flavor in Sea Mustard and Rice Syrup Sold in the Markets)

  • 김현위;이윤경;심건섭;장윤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28-732
    • /
    • 1998
  • 시판되고 있는 가공식품 중 이취(異臭) 미역 및 이취(異臭) 쌀엿의 냄새성분을 규명하고, 이의 발생원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취 미역에서는 naphthalene,2-methylnaphthalene, 1-methylnaphthalene, 2,6-dimethylnaphthalene, 1,5-dimethylnaphthalene, 1,8-dimethylnaphthalene, 2,7-dimethylnaphthalene, 1,4,6-trimethylnaphthalene, 2,3,6-trimethylnaphthalene 등 나프탈렌계화합물들이 검출되었으며, 이취 쌀엿에서는 butanoic acid, hexanoic acid, heptanoic acid, octanoic acid, nonanoic acid, decanoic acid, dodecanoic acid,tetradecanoic acid 등 유리지방산 및 2-furanmethanol, 2-furancarboxaldehyde 이 검출되었다. 미역의 이취 생성원인은 채취선박의 페인트 오염으로부터, 쌀엿은 변패된 쌀을 당화의 원료로 사용한데 기인한 것으로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