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dontoma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초

아동의 하악골에 발생한 복합 치아종의 외과적 처치에 관한 증례보고 (DIFFERENT WAYS OF SURGICAL MANAGEMENT FOR CHILDREN WITH CONFOUND ODONTOMA IN THE MANDIBLE)

  • 정우성;최영철;이긍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99-506
    • /
    • 1999
  • 악골에서 비교적 흔한 빈도로 발생하는 치아종은 치배조직의 과성장으로 인하여 발생한다. 세계보건기구에서는 치아종을 복잡 치아종과 복합 치아종으로 구분하고 있다. 치아종은 악골내 모든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치아와 유사한 복합 치아종은 비교적 상악 전치부에 호발하고, 불규칙한 형태를 나타내는 복잡 치아종은 하악 구치부에 호발한다. 치아종의 원인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며 치배에 대한 국소적인 외상이나 감염이 주된 요인으로 추측되고 있고, 최근에는 유전적인 원인에 대해서도 연구되고 있으나 아직 확실히 입증되지는 않고 있다. 일반적인 증상이 없기 때문에 일상적인 방사선 검사에서 주로 발견되고 영구치의 맹출지연이나 유치의 만기잔존 등의 증상이 있을 수 있다. 치아종은 구강내의 어떤 부위에서도 발생이 가능하고 드물기는 하지만 상악동, 하악의 하연, 하악지 및 하악과두 하방에서 발견되기도 하며, 이공 부위에서 발생되는 경우도 있다. 치아종은 발육중인 치열과 악궁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발견되는 즉시 낭포 및 주위 연조직을 함께 외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자의 연령과 치과치료에 대한 협조도, 영구치열의 발육상태, 치아종의 악골내 위치 및 동시적인 치과치료가 요구되는 가를 고려하여 외래 진료실에서 하는 경우도 있고 전신마취를 통하여 하는 경우도 있다. 본 증례는 치아종의 악골내 위치가 깊지 않고 치과치료에 대한 협조도가 양호하다고 판단되는 환아에서는 외래 진료실에서 국소마취하에 수술하여 치료하였고, 연령이 어리고 치아종의 악골내 위치가 깊어 장시간의 시술 시간이 요구되고 동시에 보존적인 치과치료가 필요한 환아에서는 전신마취하에 치료한 것을 보고한 것이다. 두 증례에서 수술 4개월 후 외과적 결손 부위에 골이 형성되었고, 매복된 영구치의 맹출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 PDF

Unusually large erupted complex odontoma: A rare case report

  • Bagewadi, Shivanand B.;Kukreja, Rahul;Suma, Gundareddy N.;Yadav, Bhawna;Sharma, Havi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5권1호
    • /
    • pp.49-54
    • /
    • 2015
  • Odontomas are nonaggressive, hamartomatous developmental malformations composed of mature tooth substances and may be compound or complex depending on the extent of morphodifferentiation or on their resemblance to normal teeth. Among them, complex odontomas are relatively rare tumors. They are usually asymptomatic in nature. Occasionally, these tumors become large, causing bone expansion followed by facial asymmetry. Odontoma eruptions are uncommon, and thus far, very few cases of erupted complex odontomas have been reported in the literature. Here, we report the case of an unusually large, painless, complex odontoma located in the right posterior mandible.

하악에 발생된 법랑모세포섬유치아종 (Ameloblastic fibro-odontoma of the mandible)

  • 강형욱;황의환;이상래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3권1호
    • /
    • pp.59-62
    • /
    • 2003
  • Ameloblastic fibro-odontoma is an extremely rare odontogenic tumor composed of proliferating ectodermal and mesenchymal components of odontogenic tissue, containing hard tooth structure. It occurs predominantly in children and young adults. The mandibular molar-ramus area is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location, presenting radiographically as a well-circumscribed and radiolucent-radiopaque tumor. A case involving a 24-year-old woman presenting with a large ameloblastic fibro-odontoma of the posterior mandible is reported. This case is of radiologic interest because two distinct calcification patterns were observed.

  • PDF

치아종 제거후 시행한 자가치아이식술 (TOOTH TRANSPLANTATION AFTER SURGICAL REMOVAL OF ODONTOMA: A CASE REPORT)

  • 김종운;김수관;김수흥;정태영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3권3호
    • /
    • pp.244-247
    • /
    • 2001
  • 본 증례는 치아종제거후 병소하방에 존재하던 매복된 하악 좌측측절치를 원래 맹출되어야 할 부위로 자가치아이식 하였다. 수술후 12주에 치근흡수 소견이 관찰되어 근관치료가 시행되었다. 근관치료후 염증성흡수 소견은 중단되었으며 임상적으로 양호한 결과가 관찰되었다.

  • PDF

An alternative treatment option for a bony defect from large odontoma using recycled demineralization at chairside

  • Lee, JuHyon;Lee, Eun-Young;Park, Eun-Jin;Kim, Eun-Su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1권2호
    • /
    • pp.109-115
    • /
    • 2015
  • Odontoma is the most common odontogenic benign tumor, and the treatment of choice is generally surgical removal. After excision, bone grafts may be necessary depending on the need for further treatment, or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odontoma. Although the osteogenic capacity of a demineralized tooth was verified as early as 1967 by Urist and many other investigators, the cumbersome procedure, including a long demineralization time, may be less than comfortable for clinicians. A modified ultrasonic technology, with periodic negative pressure and temperature control, facilitated rapid and aseptic preparation of demineralized teeth for bone grafts. This approach reduces the demineralization time dramatically (${\leq}80$ minutes), so that the graft material can be prepared chairside on the same day as the extrac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two cases of large compound odonotomas used as graft material prepared chairside for enucleation-induced bony defects. These two clinical cases showed favorable wound healing without complications, and good bony support for future dental implants or orthodontic treatment. Finally, this report will suggest the possibility of recycling the benign pathologic hard tissue as an alternative treatment option for conventional bone grafts in clinics.

Giant complex odontoma in the posterior mandible: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 Park, Jong Chan;Yang, Ji Ho;Jo, Sung Youn;Kim, Bong Chul;Lee, Jun;Lee, Wan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8권4호
    • /
    • pp.289-293
    • /
    • 2018
  • Odontomas are considered a type of odontogenic hamartoma, and are generally reported not to exceed 3 cm in diameter. Some authors have referred to odontomas with a diameter exceeding 3 cm as giant odontomas. As hamartomas, giant odontomas generally show no signs or symptoms, but if they perforate the mucosa to become exposed in the oral cavity, oral and maxillofacial infections can result. Surgical removal and a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may also be required to differentiate them from osteomas, cemento-osseous dysplasia, or mixed odontogenic tumors. This report presents the case of a 28-year-old woman with a giant odontoma in the right mandibular third molar area. Based 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published since 2010, only 11 cases of "giant" or "large" odontomas have been reported, most of which were of the complex odontoma type. It was confirmed that they tend to occur in the right posterior mandible.

치아종에 의해 매복된 하악 제2 유구치의 교정적 견인 (ORTHODONTIC TRACTION OF THE LOWER DECIDUOUS SECOND MOLAR IMPACTED BY AN ODONTOMA)

  • 한윤범;김성오;이제호;최형준;손흥규;최병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84-88
    • /
    • 2009
  • 치아매복이란 물리적인 장벽으로 치아맹출에 장애가 발생하는 것으로, 정상 맹출 시기까지 치아가 맹출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하며, 영구치열기에서 주로 관찰되고, 유치열기에서는 드물다. 치아매복은 전신적 그리고 국소적인 요인에 의하여 일어나고, 치아종에 의한 매복이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치아종에 의한 매복 또한 대부분 영구치열기에 나타나고, 유치열기에서는 드물게 발생한다. 이 증례는 하악 좌측 제2유구치의 맹출지연을 주소로 내원한 4세 4개월 된 여아에서, 임상 및 방사선학적 검사 결과 매복된 하악 좌측 제2유구치와 제1대구치 교합면 상방에서 치아종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하악 좌측 제2유구치는 치아종에 의해 하악 제1대구치 방향으로 원심경사 되어 있었다. 이에 저자들은 치아종을 제거한 후 매복된 하악 좌측 제2유구치를 교정적으로 견인하고 맹출을 유도하여, 양호한 교합 관계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치아종을 동반한 석회화 치성낭에 관한 증례 보고 (CALCIFYING ODONTOGENIC CYST ASSOCIATED WITH ODONTOMA : CASE REPORT)

  • 이선숙;이창섭;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09-115
    • /
    • 2006
  • 석회화 치성낭은 상악 전치부에 호발하는 발육성 치성낭이나 조직학적 소견이 다양하고 따라서 분류 체계도 다양하다. 악골 내에서 느리게 진행되는 무통성 종창이 일반적이며 24-30%에서 매복치 및 치아종과 연관되어 나타난다. 피복 상피에 나타나는 유령세포는 결합 조직 에 노출되어 석회화 조직을 형성한다. 이 증례는 14세 여아의 상악 견치부에 발생한 치아종을 동반한 석회화 치성낭으로, 매복된 상악 좌측 견치 치관 주위로 경계가 명확한 방사선 투과성 병소와 다발성의 방사선 불투과성 석회화 물질이 혼재된 병소였다. 조직병리학적으로 중층 편평상피로 이장되어있고 상피 내에 유령세포가 관찰되었다. 석회화된 물질은 복합 치아종의 소견을 보여 Preatorius의 조직학적 분류에 의한 석회화 치성낭 Type IB로 진단되었다. 병소의 적출 및 병소에 이환된 견치 발치를 시행하였다. 현재 염증 소견이 관찰되어 병소에 이환된 상악 좌측 제1소구치는 치수치료를 시행하였으며 환아 및 보호자가 포괄적인 교정 치료를 원하여 현재 공간 유지 장치를 장착 중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