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bject petit a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1초

대상 소타자로 작용하는 엘런 올렌스카 - 『순수의 시대』에 나타난 남녀관계 (Ellen Olenska as the objet petit 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an in Edith Wharton's The Age of Innocence)

  • 이미선
    • 비교문화연구
    • /
    • 제53권
    • /
    • pp.73-102
    • /
    • 2018
  • 이 논문의 목적은 자크 라캉(Jacques Lacan)의 욕망 이론을 토대로 이디스 워튼(Edith Wharton)의 "순수의 시대(The Age of Innocence)"의 두 주인공인 뉴랜드 아처Newland Archer)와 엘런 올렌스카(Countess Ellen Olenska)의 관계에서 엘런을 대상 소타자(objet petit a)로 규정하고 두 사람의 사랑의 불가능성을 욕망의 불가능성으로 읽어내는 것이다. 뉴랜드는 1870년대의 뉴욕 상류사회에서 참된 사랑과 참된 감정이 결여되어 있다는 것을 깨닫는다. 그에게 엘런은 뉴욕 상류사회의 틈새와 결핍이자 그의 삶의 틈새와 결핍을 동시에 구현하면서 그 틈새와 결핍을 메울 수 있는 존재, 즉 대상 소타자가 된다. 대상 소타자로서의 엘런은 뉴랜드의 욕망을 작동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지만 뉴랜드는 중요한 순간마다 사회적 규범 속으로 도망침으로써 엘런과의 결합을 지연시키는 방향으로 행동한다. 그의 행동은 욕망의 목적이 대상과의 결합이 아니라 욕망의 순환과 재생산이라는 특성을 보여 준다. 뉴랜드가 마지막 장면에서 엘런과의 재회를 포기하는 것은 엘런을 도달할 수 없는 대상으로, 접근 불가능한 대상으로 유지시키고 그녀를 욕망의 대상으로 영원히 붙잡아 두기 위한 노력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 논문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런 욕망의 특성을 남녀관계의 특성과 연관시켜서 "순수의 시대"를 남녀관계의 본질을 보여주는 이야기로 읽어내는 것이다. 주체와 대상 소타자의 관계를 보여주는 뉴랜드와 엘런의 관계는 남성과 여성이 결코 조화로운 관계를 만들어낼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대타자와 주체의 변증법적 인터페이스 탐색 -크리스티나 로제티의 「도깨비 시장」 읽기 (The Exploration of the Dialectical Interface of Other and Subject: A Reading of Christina Rossetti's "Goblin Market")

  • 김경순
    • 영어영문학
    • /
    • 제53권2호
    • /
    • pp.219-241
    • /
    • 2007
  • This study takes its point of departure from Lacanian psychoanalysis and explores the point that an irremediable gap in the human subject can be illuminated in terms of the Lacanian categories, fantasy, symptom, gaze or voice as cause of desire of the Other. With respect to the category of the symptom, Lacan claims that the Other is always already there in the constitution of the subject, that is, the relation of the subject to the Other that is overwhelming as well as attracting the subject. Chapter II deals with the unthought, excessive ground of the conscious that borders on the subject, as is the case of self-excentric aspect of the man. Indeed, in Lacan's early work, the subject is essentially a relationship to the Other as desire(objet petit a), and there is no such thing as a symptom or fantasy without some subjective involvement. Lacanian unknown real, perpetual excess as the cause of desire animates the subject even as it threatens to blast it apart. The structures that establish the lines of desire in every individual are derived from an ineluctably intersubjective field. The Other is always already there in the constitution of the subject. In the final years of Lacan's teaching we find a kind of universalization of the symptom and almost everything that is becomes in a way symptom. Symptom, embodied in Laura in "Goblin Market," is her only substance, the only positive support of her being. By looking at the Laura's symptom in chapter III we gain an insight into the forbidden domain, into a real space that should be left unseen and unthought. The voice of goblin men therefore functions as a sublime object that is animating as well as dominating element even as it threatens to disintegrate the subject. Objet petit a as a sublime object that must be excluded in reality returns in the real, taking on a certain materiality which has an effect on Laura, that is, animates Laura's desire. Objet petit a is a real object, signifying nothing. In conclusion, the theoretical importance of Lacanian psychoanalysis is the relation between a subject and an Other as Objet petit a.

모바일 RPG 자동전투 기능을 통한 욕망 충족 양상 연구 (Satisfying Desires Using Auto-Combat in Mobile RPG)

  • 류철균;김화현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9-38
    • /
    • 2015
  • 본 연구는 모바일 RPG에서 게임 시스템으로 삽입된 자동전투 기능의 플레이어 욕망 충족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자동전투의 유형을 활성화 시점과 플레이어 개입 정도를 기준으로 '부분적 자동전투'와 '완전 자동전투'로 분류한다. 이후 유형별 플레이 양상을 도출하여, 플레이어의 욕망의 대상을 라캉(Lacan)의 욕망이론을 바탕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부분적 자동전투에서 플레이어는 완벽한 조작을 통해 더욱 높은 단계를 공략하고 싶은 욕망을 가지고 있었으며, 욕망의 대상은 전투지의 난이도가 된다. 반면 완전 자동전투에서의 플레이어는 게임의 규칙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전투지 공략 이후 획득할 수 있는 보상을 통해 더욱 강력한 캐릭터를 가지고 싶은 욕망을 가진다. 플레이어가 욕망의 대상을 획득하고 나면 그것이 허상이었다는 것을 알게 되고 새로운 욕망의 대상을 찾아 추구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자동전투는 욕망의 대상을 획득하려는 주체의 적극적인 행위로서 사용된다.

브라운부인의 『시간들』: 마이클 커닝햄이 재현한 『댈러웨이 부인』 (Mrs. Brown's The Hours: Michael Cunningham's Represented Mrs. Dalloway)

  • 김희선
    • 영미문화
    • /
    • 제13권1호
    • /
    • pp.29-57
    • /
    • 2013
  • Patricia Waugh once regarded modernism fiction as 'the struggle for personal autonomy' against the opposition existing social institutions and conventions. Michael Cunningham's characterizations of Virginia Woolf and Septimus in The Hours show the two contrasting reactions to individual alienation and mental dissolution in the modern era. As the personifications of endurance and self-destruction against the mechanical power of contemporary world, Woolf and Septimus consist of just the world of diptych where the woman's role is confined to the angel in the house. By creating Mrs. Brown based upon his own alienated mother image, however, Cunningham succeeds in representing the more dramatically vivid world of triptych where woman can have her own room and self-realization despite still facing the dilemma of the traditional family. Accepting Joycean Bloom's optimistic and relaxing way of life in part, Mrs. Brown connects the labyrinths between the author's (and also Richard's) alienation with the theme of celebration of the life. Clarissa in postmodern New York setting is still a concealed and mystified character. Similar to Mrs. Dalloway, on the one hand Clarissa watches other people's tragedy with compassion. Cunningham's Clarissa, on the other hand, is no longer seeking for either winning or defeat in the spectacular world unlike her predecessors. In many resilient attitudes of everyday life Clarissa is closest to Mrs. Brown whom Virginia Woolf originally hopes to describe. Without any fear or rage toward the society Clarissa witnesses and achieves "the humanity, humour, depth" of female values by successfully turning the trivial life into an epic journ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