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ak forest

검색결과 411건 처리시간 0.024초

원목재배용 표고(Lentinula edodes)의 목질섬유소 분해특성 비교 (Analysis of lignocellulose degradation by Oak mushroom (Lentinula edodes))

  • 정상욱;장은경;정찬문;고한규;권혁우;반승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72-27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원목재배용 표고(Lentinula edodes) 품종에 대한 목질섬유소 분해능을 검정하였다. 5개의 국산품종(천백고, 산조 303호, 풍년고, 백화향, 수향고)을 대상으로 malt extract broth(MEB) 배지에 lignin의 첨가에 따른 RBBR(Remazol Brilliant Blue R) 탈색능을 조사한 결과, 산조 303호와 풍년고가 배양 5일째부터 우수한 분해능을 보였다. 섬유소 분해효소인 MnP와 laccase의 활성은 풍년고가 배양 7일째 MnP 활성이 2,809U/mg, laccase 활성이 2,230U/mg으로 나타났고, 산조 303호가 배양 11일째 MnP 활성이 2,673U/mg, laccase 활성이 2,049U/mg으로 최고 활성을 나타났으며, lignin을 첨가하였을 때 효소의 활성이 증가하였다. 산조 303호, 풍년고와 수향고는 배양 5주 만에 filter paper의 분해정도를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할 정도로 분해능이 우수하였다.

댐체 비탈면 녹화지역의 수목 생장 및 토양환경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Tree Growth and Soi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the Planting Zone on the Back Slope of Dam)

  • 반권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85-98
    • /
    • 2021
  •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ree growth and soil environment were analyzed at 5 sites that had been planted on the back slope of dam for more than 15 years in Korea. First,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growth of 15 trees planted on the back slope of the dam, the average height was 10.6m, diameter at roots was 27.3cm, and DBH was 22.9cm, showing good growth status of most of the trees. In particular, the growth levels of pine, hackberry, and oak were similar or better than those of general forests and artificial ground. As a result of excavating and investigating the roots of trees, horizontal roots grew wel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ack slope of the dam, and the growth of vertical roots was insufficient. Currently, the roots of trees do not directly affect dam safety, but they may continue to grow in the long term and interfere with dam management. Secon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oil on the back slope of dam were generally above the intermediate level in terms of landscape design standards, and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domestic forest soil. Therefore, although it was judged to be suitable for plant growth, isolation of the site, soil acidification, and nutrient imbalance may affect tree growth and forest health in the long term.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potential and applicability of planting area on the back slope of dam as an ecological base. Continuous monitoring is required for safety management and ecological value of dams in the future, and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secure the feasibility of planting trees on the slopes of new or existing dams and improving management.

포플러 목재칩을 이용한 농산촌 마을 집단난방시 연료품질, 비용, 대기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Group Heating in Rural Villages Using Poplar Wood Chips on Fuel Quality, Cost, and Atmospheric Environment)

  • 안병일;고경호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4권2호
    • /
    • pp.57-69
    • /
    • 2022
  • This study analyzes the fuel conditions and environmental effects of converting heating in rural villages that rely on fossil fuels into wood fuel. In particular, we tried to derive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s when using wooden chips as fuel in aging agricultural villages where various variables such as weather, facility characteristics, fuel quality, and maintenance capabilities work. Above all, an experiment was conducted by comparing it with oak trees to determine whether Italian poplar, a representative attribute water created to supply fuel wood in Korea, is suitable for heating fuel. Through experiments, 1) Even though the supply of poplar wood chips during 10 hours of operation was 60.74 kg less than that of hardwood chips, the production of hot water was 140 kWh higher. 2) The higher the exhaust gas temperature, the proportional (increase) oxygen concentration and inversely (decrease) PM and CO emissions. 3) Poplar has twice as much ash content as hardwood and three times more fine dust has been detected, but it meets all the standards for wood quality at the Korea Forest Science Institute. 4) Under the condition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water content (7.7%), hardwood cost 1.13 times more wood chips per 1 MWh than poplar, and even if the water content is corrected equally, hardwood cost 1.05 times more per 1 MWh than poplar. 5) In conclusion, it was proved that the fuel possibility, economic possibility, and environmental possibility of poplar wood chips are sufficient.

Plant Regeneration of Iris koreana Nakai through Organogenesis for Ex-situ Conservation

  • Bae, Kee-Hwa;Yun, I-Seul;Jung, Ji-Sun;Kim, Chan-Beom;Kim, Hye-Won;Hong, Yong-Sik;Oak, Min-Kyeong;Kim, Hak-Koo;Lee, Ju-Hui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7권4호
    • /
    • pp.304-308
    • /
    • 2021
  • Iris koreana (Iridaceae) is an endangered plant native to Korea. In order to develop an in vitro propagation method,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2,4-dichlorophenoxy acetic acid (2,4-D) and a-naphthalene acetic acid (NAA) on callus induction in different I. koreana tissues. In addition, we also investigated the effect of 2,4-D and Benzyl aminopurine (BA) treatments on adventitious shoot induction in viable calli and the effect of indole-3-butyric acid (IBA) on root formation in viable shoots. We found that callus production was highest with 1.0 mg/L NAA (94.4% cultured rhizome explants), and adding low concentrations of 2,4-D to BA containing media significantly increased the frequency of shoot primordial formation. The best rooting results were obtained with 1.0 mg/L IBA, on which 98% of regenerated shoots developed roots and produced an average of 7.4 roots within 45 days. This in vitro propagation protocol will be useful for conservation, as well as for mass propagation.

Carbon balance and net ecosystem production in Quercus glauca forest, Jeju Island in South Korea

  • Jeong, Heon Mo;You, Young Han;Hong, Seungbum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6권3호
    • /
    • pp.250-258
    • /
    • 2022
  • Background: To assess the carbon sequestration capacity and net ecosystem productivity (NEP) of Quercus glauca forests, we analyzed the net primary productivity (NPP), carbon storage, and carbon emission of soil in a Q. glauca forest on Jeju Island (South Korea) from 2016 to 2018. Results: The average carbon stock in the above- and below-ground plant biomass was 223.7 Mg C ha-1, while the average amount of organic carbon fixed by photosynthesis was 9.8 Mg C ha-1 yr-1, and the average NPP was 9.6 Mg C ha-1 yr-1. Stems and branches contributed to the majority of the above- and below-ground standing biomass and NPP. The average heterotrophic carbon emission from the soil was 8.7 Mg C ha-1 yr-1, while the average NEP was 1.1 Mg C ha-1 yr-1. Although the carbon stock, carbon absorption, and soil respiration values were higher than those reported in other oak forests in the world, the NEP was similar or lower.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or that Q. glauca forests perform the role of a large carbon sink through the CO2 absorption in the plants in terms of carbon balance. And it is judged to be helpful as data for assessment of carbon storage and flux in the forests and mitigation of elevated CO2 in the atmosphere.

표고 톱밥배지의 성숙도와 자실체형성 포텐셜 (Culture Maturity of Lentinula edodes on Sawdust-Based Substrate in Relation to Fruiting Potential)

  • 오가 쇼지;민두식;구창덕;최태호;안드레 레오노비치;조남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8권1호
    • /
    • pp.55-64
    • /
    • 2000
  • 본 연구는 표고의 톱밥재배시 재배배지의 숙도, 자실체 발생단계 및 버섯생산 수량을 정량화하고 예측하고자 실시하였다. 배지의 성숙도는 자실체 발생시기를 결정하는데 매우 유용한 지표로서, 균주, 영양생장기간, 여러 가지 효소의 활성이 관여하며, 배지내의 성분변화, pH 변화 및 수분포텐셜 등이 영향한다. 자실체발생 초기에 배지내의 glucosamine 의 함량이 최고치를 나타냈으며, 자실체 발생후 신속히 감소하였다. lipid phosphate 및 ergosterol 함량도 버섯원기 형성 시에 높은 값을 보였으며, 자실체 발생직전 최고값에 달하였다. 따라서 lipid phosphate 및 ergosterol 함량이 배지의 숙도 및 자실체형성을 예측하는 주요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질내의 pH는 종균접종전 6.3으로부터 자실체형성단계에서 4.0으로 변화하였으며, pH측정으로 자실체수량을 예측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pH를 bromphenol blue(BPB)의 스프레이로 간단히 측정할 수 있었다. 아울러 기질의 수분포텐셜과 관련하여, -0.5MPa 정도의 수분포텐셜감소가 생장 및 자실체형성에 크게 영향하였으며, 우수한 숙도외 버섯재배 기질이 가지는 수분포텐셜은 버섯발생 전후 각각 -0.7MPa, -4.0MPa 였다. 높은 수분포텐셜은 고밀도의 균체콜로니를 만들 수 있었으며 균주 및 배양기간중의 상호작용이 기질의 수분포텐셜에 현저히 영향하였다.

  • PDF

주왕산국립공원 삼림식생의 군락분류와 군락생태 (Syntaxonomical and Synecological Description on the Forest Vegetation of Juwangsan National Park, South Korea)

  • 오해성;이경연;김종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8-131
    • /
    • 2018
  • 주왕산국립공원의 삼림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가 이루어졌다. 식물사회의 종조성과 서식처의 균질성을 강조하는 Z.-M. 학파의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52개 식생자료가 획득되었고, 출현식물 총 265분류군의 행동양식은 9계급의 변환통합우점도와 상대기여도를 통해 분석하였다. 식생자료의 모둠화 과정을 통해 단위식생을 분류하고, 그 분포와 현존균질도 등이 분석되었다. 4가지 상관우점식생 속에 9개 식물군락이 기재되었다: 신갈나무-애기감둥사초군락, 신갈나무-뱀고사리군락, 졸참나무-둥근잎천남성군락, 굴참나무-털조록싸리군락, 떡갈나무-털피나무군락, 서어나무-털대사초군락, 느티나무-등칡군락, 들메나무-개면마군락, 소나무-가는잎그늘사초군락. 삼림식생의 대상분포가 논의되었고, 표고 약 700 m가 냉온대 중부 산지대(신갈나무-생강나무아군단역)와 남부 저산지대(졸참나무-작살나무아군단역)의 전이대인 것으로 밝혀졌다. 주왕산국립공원의 삼림식생은 종조성의 낮은 균질성이 특징이었다. 결론적으로 주왕산국립공원의 삼림식생은 <지역생물기후구-대구형> 속에서 더욱 강한 대륙성 생물기후환경과 세립질 풍화토와 암편을 공급하는 유문암질 응회암 우세의 지질 환경에 대응하는 고유성이 큰 지역식생이고, 산불 영향이 더해진 근자연림 또는 이차림인 것으로 밝혀졌다.

참나무시들음 병원균 Raffaelea quercus-mongolicae에 대한 항균미생물 분리 (Antifungal Property of Microorganisms against Korea Oak Wilt Pathogen, Raffaelea quercus-mongolicae)

  • 이상현;이승규;김재영;이총규;김경희;이용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6-69
    • /
    • 2012
  • Raffaelea quercus-mongolicae에 대한 항균작용을 하는 미생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200개의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이 중 SG 1-9, 1-12와 SG 2-8, 2-10, 2-17 5개의 균주에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5개의 균주는 확인을 위하여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하였으며, SG 1-9는 Streptomyces cinnamoneus와 98%의 homology가 SG 1-12는 Burkholderia cepacia와 98% homology가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G 2-8은 Streptomyces fradiae와 99%의 homology를 SG 2-10은 Staphylococcus epidermidis와 97%를 SG 2-17은 Staphylococcus epidermidis와 99%의 homology를 나타내었다. 위 5개의 균주 중 활성이 가장 강한 SG 2-17의 유기용매추출물과 단백질추출물을 분리하여 활성을 조사하였으며 유기용매추출물에서 강한 활성을 확인하였다. 3개의 유기용매 중 benzene 추출물이 가장 높은 Raffaelea quercus-mongolicae의 균사성장을 억제하였다.

Bacillus subtilis가 함유된 목질계 인공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참싸리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ignocellulosic Artificial Soil Containing Bacillus subtilis on the Growth of Lespedeza cyrtobotrya)

  • Kim, Ji-Su;Jung, Ji young;Ha, Si Young;Yang, Ja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4호
    • /
    • pp.393-40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Bacilluls subtilis가 함유된 목질계 인공토양(피트모스:펄라이트:폭쇄처리된 참나무:미생물제형=3:1:3:3, w/w/w/w)을 제조 하였으며, 이를 대조구토양과 0%, 25%, 50%, 75% 및 100% 비율로 혼합하여 참싸리 종자 파종 후 소규모 야외포트 현장적용 하였다. 현장적용에 따른 대조구토양, 혼합토양(대조구토양+인공토양) 및 인공토양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고 참싸리 줄기 및 뿌리생장을 비교하였다. 혼합토양에서는 $0.04g/cm^3$ 이하의 용적밀도, 85 % 이상의 공극률, pH 4.3 - 4.7, 0.5 dS/m 이하의 전기전도도, 15.0 - 26.5의 탄질비, 23.6% - 43.2%의 유기물 함량 및 $157{\times}10^6CFU/g-624{\times}10^6CFU/g$의 미생물밀도를 나타냈다. 인공토양이 25% 및 50% 함유된 혼합토양에서는 참싸리 줄기 및 뿌리생장이 대조구토양보다 높게 나타났고 참싸리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토양 인자는 용적밀도, 공극률, 수분보유력, 탄질비, 유기물함량 및 미생물함량으로 나타났다.

거제수나무, 물푸레나무, 굴참나무 묘목의 실외 인위적 온난화에 대한 수종 특이적 생장 반응 (Species-specific Growth Responses of Betula costata, Fraxinus rhynchophylla, and Quercus variabilis Seedlings to Open-field Artificial Warming)

  • 한새롬;안지애;윤태경;윤순진;황재홍;조민석;손요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19-226
    • /
    • 2014
  • 기후변화 대응 산림 관리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온난화에 따른 수목의 반응을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활엽수종인 거제수나무(Betula costata),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 굴참나무(Quercus variabilis) 묘목의 실외 인위적 온난화에 대한 생장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적외선등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기온을 $3^{\circ}C$ 증가시킬 수 있는 실외 인위적 온난화 시스템을 구축하고, 활엽수 3개 수종을 파종한 후, 온도 증가에 대한 발아 당년 묘목의 생장, 생물량 분배 및 순광합성률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거제수나무, 물푸레나무, 굴참나무 묘목의 생장은 실외 인위적 온난화 처리에 대하여 수종과 시기에 따라 서로 다른 반응을 나타냈다. 즉 거제수나무는 온난화 처리에 따라 근원경 대비 묘고 비율, 총 생물량, 지상부 대비 뿌리 중량 비율, 순광합성률 등이 감소한 반면, 굴참나무는 근원경, 묘고, 총 생물량, 순광합성률 등이 증가하였으며, 물푸레나무는 다른 수종에 비하여 생장 반응이 뚜렷하지 않았다. 시기별 반응으로는, 7월에는 모든 수종에 대하여 온난화 처리에 따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11월에는 굴참나무의 근원경, 묘고, H/D율이 증가한 반면 거제수나무의 H/D율이 감소하였다. 온난화에 대한 수종별 생장 반응의 차이는 순광합성률 및 생물량 분배의 수종별 반응과 유사하게 나타나, 온도 증가에 의한 순광합성률과 생물량 분배의 수종별 차이가 생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여름에 비하여 가을에 더 두드러지게 나타난 생장 반응은 온난화에 의한 식물 계절 특성의 변화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활엽수 3개 수종에 대하여 온난화에 의한 수종 특이적 생장 반응을 밝힌 본 연구 결과는 기후변화에 대응한 산림 관리 정책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