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ak forest

검색결과 411건 처리시간 0.021초

Preparation of Cellulose Acetate Produced from Lignocellulosic Biomass

  • Jo, Jong-Soo;Jung, Ji Young;Byun, Ji-Hye;Lim, Bu-Kug;Yang, Ja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2호
    • /
    • pp.241-252
    • /
    • 2016
  • Cellulose acetate is one of well-known industrial materials which have various commercial uses. We treated the lignocellulosic biomass using two-step (steam explosion-chemical) reaction followed by acetylation to get the cellulose acetate in this study. The two-step treatment was done to improve the yields of acetylation of the substrates. The yields of the cellulose acetate were about 88.4, 88.1, and 151.7% in barley straw, rice straw, and oak tree, respectively. Also the degree of substitution (DS) of the acetates was 2.1 to 2.5 in the biomass. We found that the biomass were valuable cellulosic sources, including their derivatives, in this study. This means that the biomass can be converted into the high-valued cellulosic stuff.

Fine Structure of the Mouthparts in the Ambrosia Beetle Platypus koryoensis(Coleoptera: Curculionidae: Platypodinae)

  • Moon, Myung-Jin;Park, Jong-Gu;Kim, Kyung-Hee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2권2호
    • /
    • pp.101-108
    • /
    • 2008
  • Recently, Platypus koryoensis has been reported as a major pest of oak trees in Korea which can introduce the pathogenic fungus(Raffaelea sp.) by making galleries into the heartwood of the tree. As the beetle has developed its effective drilling mouthpart enough to make tunnels, we have analyzed the fine structural aspects of the mouthpart using the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FESEM) to reveal its mechano-dynamic characteristics. The mouthparts of this ambrosia beetle which consist of a labrum, a pair of mandibles, a pair of maxillae and the labium exhibit typical morphology of mycophagous coleopteran beetles and have those characteristics of chewing mouthparts that can excavate galleries in the hardwood. Both of maxillary and labial palpi have the functions of direct the food to the mouth and hold it while the mandibles chew the food. The distal ends of these palpi are flattened and have shovel-like setae. Females have larger maxillary palpi and a larger gular region than males in general.

Distribution Pattern of White Snakeroot as an Invasive Alien Plant and Restoration Strategy to Inhibit Its Expansion in Seoripool Park, Seoul

  • Lee, Han-Sol;Yoo, Hae-Mi;Lee, Chang-Seok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7권3호
    • /
    • pp.197-205
    • /
    • 2003
  • White snakeroot (Ageratina altissima (L.) R. King & H. Robinson) as an invasive alien plant appeared more abundantly at lower elevations where frequent artificial interferences prevailed than at higher elevations where such impacts were less. They appeared abundantly in introduced forests such as black locust plantation but they did not appear or were rare in natural forests such as oak forest. But an exceptional phenomenon where white snakeroot did not appear was found in a Korean pine stand with dense cover afforested recently. Appearance status of white snakeroot in each section of trampling path depended on breadth of the path and relative light intensity. Growth of white snakeroot measured as the number of ramet per genet, height, and biomass was better near the trampling path and was reduced toward the forest interior. The growth was proportionate to the relative light intensity measured according to distance from the trampling path. Such results support the fact generally known in relation invasion and expansion of the invasive alien plants. From this viewpoint, we suggest a management plan that applies ecological restoration principles to address ecosystems infected with white snakeroot by restoring the integral feature of the degraded nature and more thoroughly conserving the remaining nature.

Guild Patterns of Basidiomycetes Community Associated With Quercus mongolica in Mt. Jeombong, Republic of Korea

  • Oh, Seung-Yoon;Cho, Hae Jin;Eimes, John A.;Han, Sang-Kuk;Kim, Chang Sun;Lim, Young Woon
    • Mycobiology
    • /
    • 제46권1호
    • /
    • pp.13-23
    • /
    • 2018
  • Depending on the mode of nutrition exploitation, major fungal guilds are distinguished as ectomycorrhizal and saprotrophic fungi. It is generally known that diverse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e fungal communities; however, it is unclear how fungal communities respond differently to environment factors depend on fungal guild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basidiomycetes communities associated with Quercus mongolica using 454 pyrosequencing. We attempted to detect guild pattern (ectomycorrhizal or saprotrophic fungal communities) by comparing the influence of geography and source (root and surrounding soil). A total of 515 mOTUs were detected from root (321) and soil (394) of Q. mongolica at three sites of Mt. Jeombong in Inje County. We found that patterns of diversity and community structure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guilds. In terms of alpha diversity, only ectomycorrhizal fungi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ources. In terms of community structure, however, geography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ectomycorrhizal community, while source appeared to have a greater influence on the saprotrophic community. Therefore, a guildbased view will help to elucidates novel featur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fungal communities.

북구(北歐)의 우량임분(優良林分)의 생태(生態) 및 채종원(採種園) 체계(體系)에 관(關)한 연구(硏究) (Ecological Investigations on the Managed Forests in Northwestern Europe and Tree Seed-Orchard System)

  • 김지문
    • 농업과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239-249
    • /
    • 1982
  • 서독(西獨), 스웨덴, 네덜란드의 삼림(森林)에서 수종혼교(樹種混交), 수령(樹令), 임관(林冠), 임분(林分)의 생태적(生態的) 조건(條件)을 포함(包含)한 우량임분(優良林分)의 개요(槪要)가 조사(調査)되었다. 우량종자생산(優良種子生産)을 위(爲)한 채종원(採種園)의 조성계획(造成計劃) 또한 본(本) 연구(硏究)에서 검토(檢討)되었다. 1. 강수량(降水量)이 많고 상대습도(相對濕度)가 높은 기상조건(氣象條件)은 고위도(高緯度)에 위치(位置)한 Scandinavia 반도(半島)와 서북(西北) Europe지방(地方)이 해양성기후(海洋性氣候)임을 입증(立證)한다. 일장(日長)에 따른 광주성(光週性)과 강상시기(降霜時期)는 스웨덴 산림(山林)에서 bud-setting과 bud-flushing에 따른 나무의 적응성(適應性)은 생장(生長) pattern과 수종(樹種)의 분포(分布)를 결정(決定)한다. 2. 유럽의 산림(山林)은 독일가문비나무, 유럽소나무, 전나무, 너도밤나무, 참나무류(類), 유럽잎갈나무를 포함하는 고목(高木)으로 구성된 상층임관(上層林冠)과 가문비나무, 전나무, 너도밤나무등의 내음성(耐陰性) 수종의 하층임관(下層林冠)과 자작나무, 참나무, 서나무를 포함하는 유치수(幼稚樹)의 하층지피식생(下層地被植生)으로 조성된 밀도(密度) 높은 다층(多層) 이령임형(異令林型)이 특정이다. 3. 단목택벌작업(單木擇伐作業)과 군장산벌작업(群狀傘伐作業)이 작업종(作業種)으로 흔히 적용(適用)되나 부분적(部分的)으로 산벌작업(傘伐作業)과 소면적(小面積) 개벌작업(皆伐作業)이 일부지역(一部地域)에서 실시(實施)되고 있다. Baden식(式) 획벌작업(劃伐作業)과 Bayern식(式) 획벌작업(劃伐作業)이 Schwarzwarld의 갱신(更新)에 널리 쓰이지만 택벌(擇伐) 작업(作業)도 부분적(部分的)으로 적용(適用)되고 있다. 4. 임목(林木)의 벌채(伐採)는 보속적(保續的)인 생산(生産)과 생태계(生態系)의 보전(保全)을 위(爲)해서 Europe의 산림경영(山林經營)에서는 년생장량(年生長量)을 넘지 않도록 적절(適切)히 제한(制限)되고 있다. 산림경영(山林經營)에 있어서 국토보존(國土保存)과 휴양기능(休養機能)은 목재생산(木材生産)의 증진(增進)과 함께 더욱 중요시(重要視) 되어지고 있다. 5. 미국산(美國産) Douglas-fir, red oak, 소나무류(類)와 일본낙엽송(日本落葉松), 이태리포푸라등(等)과 같은 외래수종(外來樹種)의 조림(造林)이 시도(試圖)되고 있으나 병충해(病蟲害), 기상해(氣象害)의 우려 때문에 신중한 주의(注意)가 기우려지고 있다. 6. 이들 국가(國家)에서는 수형목선발(秀型木選拔), 채종림선정(採種林選定), 산지시험(産地試驗), 차대검정(次代檢定), clone complexing을 위(爲)한 잡종채종원(雜種採種園)과 같은 임목개량(林木改良)에 관(關)한 몇가지 집중적(集中的)인 연구(硏究)가 수행(修行)되고 있으며 Sweden과 Netherland에서는 조림(造林)에 소요(所要)되는 종자(種子)의 상당양이 조성(造成)된 채종원(採種園)으로부터 공급(供給)되어지고 있다.

  • PDF

소규모 개발 사업지의 정밀 임상도(영급) 작성 방안 연구 (Mapping Method for a Detailed Stock Map Plan(Age-Class) for a Small-Scale Site for Development Work)

  • 이수동;김정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96-408
    • /
    • 2008
  • 국립산림과학원에서 발간된 임상도에 따르면 파주시 광탄면에 위치한 본 연구대상지는 활엽수 Ⅳ영급으로 분류되었으나 식생조사 결과 영급판정이 어려운 활엽수 천연림으로 구성되어 정밀 임상도 작성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정밀 현존식생 조사와 식생구조 및 연륜 분석 자료를 기초로 한 정밀 임상도 작성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정밀 현존식생유형 분석결과 22개 유형이었으며 자연림은 신갈나무림, 굴참나무림 등 11개 유형, 인공림은 밤나무림 등 6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영급 판정을 위해 정밀 현존식생도를 바탕으로 방형구 42개와 89개 표본목의 목편을 채취하여 수령을 측정한 결과, 저지대에 입지한 인공림, 참나무류 소경목 지역은 II영급(29.8%), 나머지 지역은 III영급(57.6%)으로 토지이용이 가능하였고 Ⅳ영급 이상(8.8%)은 경계부의 급경사 능선부에 분포하여 토지이용은 불가능하였다. 이상과 같이 소규모 개발 예정지가 활엽수 자연림으로 판정된 경우 보전과 이용 판정에 있어 정밀 현존식생 조사, 식물군집구조 및 표본목 분석을 통한 정밀 임상도를 작성하여야 할 것이다. 정밀 임상도에는 식생의 자연성, 희소성, 다양성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자료가 포함되어 소규모 부지의 개발적정성 판단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산 겨우살이(Viscum album var. coloratum)의 해부학적 특성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Mistletoe (Viscum album var. coloratum))

  • 권성민;장재혁;김철우;김광모;이재선;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0권4호
    • /
    • pp.268-275
    • /
    • 2012
  • 국내산 겨우살이의 해부학적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겨우살이 및 기주목인 신갈나무의 목재 조직구조를 관찰하였다. 겨우살이가 착생된 부분의 가지는 직경이 그렇지 않은 부분보다 더 컸다. 겨우살이 사부는 인피섬유와 유세포로 그리고 목부는 후벽 목섬유, 방사유세포, 축방향유세포 및 도관상가도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겨우살이 방사조직의 경우 일반적인 목재 수종에 비해 방사유세포가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고 평복세포, 직립세포 및 방형세포 모두로 이루어져 있는 이형방사조직인 것으로 밝혀졌다. 겨우살이의 도관상가도관 세포벽 내강표면에 나선비후 그리고 세포벽에 유연벽공이 발달되어 있다. 겨우살이 흡기의 삽입에 따라 숙주 도관의 형태가 일부 변형되어 있으나 도관 내 타일로시스는 관찰되지 않았다. 겨우살이 흡기의 끝 부분 형태는 비교적 뾰족하게 나타났고 흡기 삽입에 따른 기주목 세포 자체의 파괴는 관찰되지 않았다.

다양한 기질에 대한 표고버섯 톱밥재배 가능성 (Utilization of various substrates for the cultivation of oak mushrooms (Lentinula edodes))

  • 정연석;장영선;유림;가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73-38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표고 톱밥재배의 배지 조성에 따른 생산성 및 버섯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위해 총 10가지의 농업부산물을 영양원으로 사용하였다. 대두박과 면실박을 이용한 배지에서는 배양기간 동안 균사가 완전히 생장하지 않아서 재배에 이용할 수 없었다. NIFoS 2462 균주에서는 대두피, 면실피, 파옥쇄, 혼합배지에서는 밀기울보다 높은 생산량을 나타내었으며, NIFoS 2778에서는 밀기울의 생산량이 다른 영양원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대두피를 사용한 배지에서 발생한 버섯들은 다른 배지에서 발생된 버섯들보다 작은 크기의 버섯이 생산되었으며, 반대로 옥분을 이용한 배지에서는 다른 영양원을 사용한 배지보다 큰 버섯이 생산되었다. 이를 통해 배지에 첨가되는 영양원이 버섯의 특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양원들의 기초 성분 조사 결과, 대두박과 면실박은 조단백질과 조회분의 비중이 높았다. 그리고 면실박에서는 총유기물 함량과 가용성무질소물의 양이 다른 영양원들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영양원들의 기초성분이 버섯 재배시 생산량 및 버섯의 특성에 영향을 준다고 여겨지며, 이와 같은 표고 재배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자원에 대한 활용 가능성을 넓히는 것이 중요하다.

충북 충주지역 가래나무의 임목생장량 및 이산화탄소 흡수량 추정 (Estimation of Stand Growth and CO2 Removals for Juglans mandshurica Plantations in ChungJu, Chungcheongbuk-do in Korea)

  • 손영모;김래현;김영환;이경학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6호
    • /
    • pp.646-651
    • /
    • 2009
  • 본 연구는 충북 충주지역 가래나무 조림지에 대한 개체목 및 임분 표준지 조사 자료를 토대로 재적표(수피 포함 및 제외) 및 임분수확표를 조제하고자 하였다. 재적을 산출하기 위한 수간곡선식으로는 Kozak식을 적용하였으며, 식의 적합성지수가 97% 이상으로 매우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산출된 재적을 이용하여 가래나무에 대한 재적표를 국내 최초로 조제하였다. 임분생산력을 판정할 수 있는 지위지수를 분석하기 위해서 Chapman-Richard 모델을 이용하였으며, 기준 임령은 30년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지위등급은 평균적으로 16~22의 범위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조제된 임분수확표를 지위지수 '중'인 가래나무 70년생 임분에 적용한 결과 축적이 $238m^3$ 이상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가래나무 임분 수확량의 추정을 위해 기존에 적용되어왔던 상수리나무 임분수확표를 적용한 경우에 비해 $100m^3/ha$ 이상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활엽수에 대한 수종별 임분수확표 조제의 필요성을 입증하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충주지역 가래나무 조림지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계산한 결과, 30년생 임분의 경우 연간 $5.84tCO_2/ha$의 탄소를 흡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조제된 가래나무 재적 및 임분수확표는 앞으로 충북 충주지역 가래나무 조림지에 대한 경영의사결정에 주요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표고의 생장(生長), 부후특성(腐朽特性) 및 톱밥배양(培養)에 관(關)한 연구(硏究) (Growth and Rotting Characteristics of Lentinus edodes Isolates in Korea and Their Adaptability to Bag-Culture Using Oak Sawdust)

  • 박원철;이은영;윤갑희;이원규;이창근;홍기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1호
    • /
    • pp.12-19
    • /
    • 1994
  • 우리나라와 외국에서 수집(蒐集) 및 교잡(交雜)을 하여 얻은 91개의 표고(Lentinus edodes) 균주(菌株)를 공시(供試)하여 균사생장력(菌絲生長力), 부후력(腐朽力) 및 톱밥배지(培地)에서의 배양특성(培養特性) 등을 구명(究明)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온성(高溫性), 중온성(中溫性) 및 저온성(低溫性) 균주(菌株)의 PDA배지와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톱밥배지(培地)에서의 균사생장력 및 부후력은 온도형간(溫度型間)에 별차이(別差異)가 없었으나, 톱밥배지에서의 버섯발생량(發生量)은 고온성 균주들이 월등(越等)히 높았다. 또한, 같은 계통(系統)에 속하는 균주들간에도 버섯발생량의 차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총 91개 균주의 톱밥재배 결과, FRI 221, FRI 208 및 FRI 169가 수확량(收穫量)과 품질(品質)이 우수(優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1kg 배지당(培地當) 각각 157g, 152g 및 119g의 버섯 발생량을 보였다. 3. 톱밥배지의 조성(組成)을 여러 가지로 시도(試圖)한 바 버섯발생량에 영향(影響)을 주지 않았으며, 2.5kg배지에서의 발생량은 1kg배지의 약 2.5배를 보여 배지무게에 비례(比例)하였다. 또한, 배양기간(培養期間)에 따라 발생량이 달랐는데, 100여일(餘日)이 가장 좋았다. 4. 균사생장력, 부후력, 버섯발생량 및 버섯정형율간(正形率間)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분석(分析)한 결과, PDA배지 및 생장력은 톱밥배지에서의 생장력과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으며, PDA 및 톱밥배지에서의 생장력은 버섯발생량과 부(負)의 상관(相關)을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