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trition management program

검색결과 674건 처리시간 0.029초

초등학교 영양사의 직무수행도와 직무만족도 (Job Achievement and Job Satisfaction of Dietitian in Elementary School)

  • 박은정;김기남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8권2호
    • /
    • pp.163-174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ther basic data on dietitian's general characteristics, working conditions, job achievement and job satisfaction. Thereby, a formulation can be worked out to improve dietitian's job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The study was conducted during one week period, spanning July 23 to July 30, 1998. The method of the study was to distribute 560 questionnaires to the primary school dieticians working in the city of Tae Jun, located in Choong-Cheong Province. Out of 560 questionnaires that was distributed, 327 were returned. Moreover, 318 out of 327 questionnaires that was returned was valid enough to be processed by the SAS Program. About sixty percent of the respondents(61.1%) indicated that they were between 26 to 30 years old. Moreover, approximately half of the respondents(48.8%) were unmarried. In terms of the level of education, the bachelor's degree was reported as the most common education level(56.3%), while 3.8%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achieving graduate degrees. The number of years in working in the profession ranged from 2 to 5 years. Furthermore, approximately 74% of the respondents indicated that, on average, they earned over ₩800,000 per month. In terms of the type of the school setting, 52.8% of the respondents worked in the urban setting, whereas, 60.0% worked in the rural school setting. Of these schools, about thirty eight percent(38.7%) of the schools were relatively small sized schools(400 students or less ). In terms of dietitian's sense of job satisfaction, the areas that showed relatively high level of satisfaction was in the menu control work(3.90) and purchase control work(3.90). However, appallingly low job satisfaction was indicated in the areas of personnel management (2.96%), and nutritional education and counsel(2.73%). Furthermore, job satisfaction varied greatly depending on age, wage, type of the food service, and type of school. The highest satisfaction was indicated in the areas of supervisory position(3.42), work itself(3.31%), co-workers(3.11). Other facets that led to job satisfaction were periodic wage increase(2.19%) and promotion opportunities(2.79%). In conclusion dietitian's job achievement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The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overall job satisfaction of the dietician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s of dieticians in primary schools. Secondly, there is a necessity for improving the status of the dieticians by raising the salary and treating the dieticians with the same level of respect in comparison with teachers or executive officials. Finally, another way of raising the job satisfaction of the dieticians is to provide opportunity for continuing education. So that, they can further their career in their chosen field.

  • PDF

식품알레르기 아동 부모의 양육부담과 영향요인 (Parental burden of food-allergic children's parents and influencing factors)

  • 이은선;김규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2호
    • /
    • pp.140-152
    • /
    • 2018
  • 식품알레르기는 알레르기 행진의 시작 단계로 원인 식품의 섭취 제한으로 인하여 성장기 아동의 영양 불균형과 아동을 비롯한 가족구성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세 이상의 영유아 및 학령기 식품알레르기 아동의 주양육자인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녀의 식품알레르기로 인한 양육부담을 정량화하여 자녀의 식품알레르기가 부모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식품알레르기 아동 부모의 양육부담은 정서적 고충, 일상생활 제약에 대한 2개의 하부 요인으로 세분화되며, 자녀의 연령 증가, 섭취 제한 식품의 수, 일부 알레르기질환 진단 여부가 양육부담의 감소 및 증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처럼 식품알레르기 아동은 식품알레르기가 다른 알레르기질환으로 이행되지 않도록 전문 의료진에 의한 진단과 증상관리가 필수적이며, 환아를 비롯한 가족 구성원에 대한 주변의 지지와 간호 중재가 동반되어야 한다. 또한 성장기의 식품알레르기 아동은 식품 항원에 대한 식품경구유발시험 등의 정확한 임상 진단을 통해 필수 영양소를 포함한 식품의 과도한 섭취 제한을 방지해야 한다. 지역사회와 의료기관은 식품알레르기의 예방 및 증상완화를 위한 맞춤형 영양교육, 대체 식품에 대한 정보 제공 등의 현실적 지원과 정서적 지지를 병행해야 한다. 이처럼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 노력과 제도적 방안을 통해 식품알레르기 아동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부모의 양육부담 대처능력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고지방식이에서 일반식이로의 전환이 유방암의 성장 및 전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changes from high-fat diet to normal diet on breast cancer growth and metastasis)

  • 박성화;정인경;김정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3권4호
    • /
    • pp.369-38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일반식이로의 식이 제한이 고지방식이로 촉진된 유방암의 성장과 전이에 미치는 영향과 그 기전을 알아보았다. 8주간 고지방식이를 섭취시킨 후 유방암을 유방 조직에 이식하거나 꼬리 정맥으로 통해 전이시켰으며, 암 생성 및 전이 후 HFC군은 고지방식이를, DR군은 일반식이로 전환시켜 사육하였다. 본 연구 결과, 원발성 유방암의 경우, HFC군과 DR군의 체중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간과 비장, 신장 주변의 지방세포의 무게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DR군이 HFC군에 비해 유방암의 개시를 지연시켰으며, 유방암의 성장과 무게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일반식이로의 전환에 의한 유방암 성장 억제는 세포 분열 억제와 세포사멸을 조절하는 인자의 발현 감소에 의한 caspase-3의 활성 촉진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이 제한은 폐로 전이된 유방암의 수를 유의미하게 감소시켰다. 본 실험 결과, 일반식이로의 제한은 고지방식이로 촉진된 유방암의 성장과 전이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며, 이는 유방암 세포의 성장 억제와 사멸 유도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방암의 성장이나전이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총 섭취 열량을 조절하고, 지방의 섭취량을 줄이는 균형 잡힌 식이를 섭취하도록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 성인의 건강통제위 반응유형별 건강증진행위 (A Study on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Depending on the Response Patterns of HLOC in Korean Adults)

  • 구미옥;은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739-750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sponse patterns of Health Locus of Control (HLOC) and to analysis of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depending on the response patterns of HLOC in Korean adults. The sample was composed of 300 healthy adults ranged from twenties to seventies. In data analysis, SPSS PC/sup +/ program was utili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OVA and cluste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average scores of HLOC in Korean were HLOC-I : 24.12(range 6-30), HLOC-P : .21.72, HLOC-C : 17.46. 2. The total mean score of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scale was 2.50 (range 1-4), and the mean scores on the subscales were ; self actualization 2.60, health responsibility 2.14, exercise 2.28, nutrition 3.16, interpersonal support 2.74, stress management 2.15. 3. The HLOC-I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were correlated positively(r =0.184, p=0.001), and the HLO-C and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were correlated negatively(r=-0.102, p=0.039). The HLOC-P and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weren't correlated in the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4. The response patterns of HLOC in Korean adults were identified 6 types, such as pure internal, pure chance, believers in control, yea sayer, nay sayer, and complex control. The type of believers in control and the type of yea sayer were subdivided in two different types. The believers in control was the largest group(33.67%), and yea sayer was the next large group(26.33%). The pure chance and the complex control type was the smallest groups. 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 promoting behavior depending on the response patterns of HLOC(F=2.67, p=0.010).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4 subscale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 self actualization(F=3.12, P=0.003), health responsibility(F=2.15, P=0.038), nutrition(F=5.08, p=0.000), and interpersonal support(F=2.26,p=0.029).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sponse patterns of HLOC is the important factor to predict the level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Korean adults.

  • PDF

비만과 치아우식증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Dental Caries)

  • 이선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633-641
    • /
    • 2014
  • 본 연구는 비만과 치아우식증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대한민국 전국단위의 건강 및 영양조사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4기 3차년도(2009)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19세 이상 성인 중 비만과 치아우식증 관련 변수의 결측 대상자를 제외하여 최종 7,393명이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 0.05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저체중(${\beta}$ = 0.21, p=.03)은 정상에 비해 DT 개수가 높게 나타났고, 과체중(${\beta}$ = -0.12, p=.02)은 정상에 비해 DT 개수가 낮게 나타났다. 2. 비만(OR = 0.69, 95% CI: 0.57, 0.84)은 정상에 비해 DMFT를 가질 가능성이 낮게 나타났다. 3. 저체중(${\beta}$ = 1.14, p<.001)은 정상에 비해 DMFT 개수가 높게 나타났고, 과체중(${\beta}$ = -0.39, p = .02)과 비만(${\beta}$ = -0.70, p<.0001)은 정상에 비해 DMFT 개수가 낮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비만(체질량지수)과 치아우식증(DT, DMFT)은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혼란변수를 보정한 후에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한국 성인 남녀의 비만 정도에 따른 신체활동과 식이 형태 비교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1차년도 자료를 바탕으로(2016년) - (Comparison of physical activity and dietary patter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obesity in Korean men and women Data from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VII-1(2016) -)

  • 방소연;현사생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1527-1534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의 비만 정도, 신체활동 및 식이 형태를 파악하고 비만 정도에 따른 신체활동과 식이 형태를 비교하기 위한 것으로,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제7기 1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진행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연구결과, 여성의 비만율은 26.3%, 남성의 비만율은 43.7%로 나타났으며 남녀 모두에게서 연령이 높을수록 비만율이 증가하였다. 신체활동에 있어서는 여성은 정상 체중군에서 신체활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은 두 그룹 간 차이가 없었다. 식이에 있어서는 남성은 비만 체중군의 식이섬유 섭취량이 정상 체중군보다 높고, 여성은 비만 체중군이 정상 체중군보다 지방 섭취율은 낮은 반면 탄수화물 섭취율은 높았다. 아침식사와 외식 빈도는 비만에 영향을 준 반면, 점심과 저녁식사 빈도는 유의하지 않았다. 한국 성인의 비만 관리를 위해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최근 변화된 비만 특성을 고려한 신체활동과 식이로 구성된 중재 프로그램이 개발 및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Comparison of the gut microbiota profile in breast-fed and formula-fed Korean infants using pyrosequencing

  • Lee, Sang A;Lim, Ji Ye;Kim, Bong-Soo;Cho, Su Jin;Kim, Nak Yon;Kim, Ok Bin;Kim, Yuri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9권3호
    • /
    • pp.242-248
    • /
    • 2015
  • BACKGROUND/OBJECTIVES: Feeding in infancy is the most significant determinant of the intestinal microbiota in early lif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gut microbiota of Korean infants and compare the microbiota obtained between breast-fed and formula-fed Korean infants. SUBJECTS/METHODS: We analyzed the microbial communities in fecal samples collected from twenty 4-week old Korean (ten samples in each breast-fed or formula-fed) infants using pyrosequencing. RESULTS: The fecal microbiota of the 4-week-old Korean infants consisted of the three phyla Actinobacteria, Firmicutes, and Proteobacteria. In addition, five species, including Bifidocbacterium longum, Streptococcus salivarius, Strepotococcus lactarius, Streptococcus pseudopneumoniae, and Lactobacillus gasseri were common commensal intestinal microbiota in all infants. The predominant intestinal microbiota in the breast-fed infants (BFI) included the phylum Actinobacteria (average 70.55%), family Bifidobacteriacea (70.12%), genus Bifidobacterium (70.03%) and species Bifidobacterium longum (69.96%). In the microbiota from the formula-fed infants (FFI), the proportion of the phylum Actinobacteria (40.68%) was less, whereas the proportions of Firmicutes (45.38%) and Proteobacteria (13.85%) as well as the diversity of each taxonomic level were greater, compared to those of the BFI. The probiotic species found in the 4-week-old Korean infants were Bifidobacterium longum, Streptococcus salivarius, and Lactobacillus gasseri. These probiotic species accounted for 93.81% of the microbiota from the BFI, while only 63.80% of the microbiota from the FFI. In particular, B. longum was more abundant in BFI (69.96%) than in FFI (34.17%). CONCLUSIONS: Breast milk supports the growth of B. longum and inhibits other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study was the first attempt to analyze the gut microbiota of healthy Korean infants according to the feeding type using pyrosequencing. Our data can be used as a basis for further studie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intestinal microbiota with aging and disease status.

한국 1인 가구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 분석 (Analysi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actors in south Korean one-person households)

  • 구혜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8호
    • /
    • pp.453-463
    • /
    • 2019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2차년도(2017)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1인 가구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301명이었고, SPSS 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합표본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또는 분산분석과 일반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우리나라 1인 가구의 건강관련 삶의 질 점수는 평균 0.92점이었으며, 통증 및 불편감 영역에서 2.5%의 대상자가 중증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건강 관련 삶의 질은 가구 소득 수준이 하, 교육 수준은 초졸 이하, 현재 음주는 하지 않는 경우 각 각 0.034, 0.039, 0.031 낮았다. 주관적 건강상태는 좋거나 보통, 활동 제한이 없는 경우, 관절염이 없는 경우 0.072, 0.065, 0.103, 0.040 각 각 높았으며, 본 모형은 우리나라 1인 가구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을 43.1% 설명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1인 가구의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마련에 기초를 제공하였으며 1인 가구 대상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다학제간 접근의 중재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 성인 여성의 폐경 여부가 유방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enopause on Breast Cancer in South Korean Adult Women)

  • 구혜자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65-76
    • /
    • 2019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2차년도(2017)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20세 이상 성인 여성의 폐경 여부가 유방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3,414명이었고, 자료는 SPSS / 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합표본 빈도분석, 복합표본 교차분석(Rao-Scott ${\chi}^2$ test),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대상자의 연령에 따라 50~59세에서 40~49세 보다 유방암이 1.7% 더 많았고, 음주 빈도가 전혀 없는 경우가 거의 매일 있는 경우 보다 1.7%가 유의하게 더 많았다. 폐경 연령은 44세 이하가 50세 이상 보다 유방암이 2.1% 유의하게 더 높았다. 폐경 여부에 따라 폐경 후가 폐경 전 보다 유방암이 1.7% 더 많았다. 연령과 음주 빈도를 동시에 보정하였을 때 대상자는 폐경 후에 비해 전에서 유방암이 0.03배 유의하게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44세 이하의 폐경한 젊은 여성의 유방암 관리에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유방암 유병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학제간의 노력이 필요하다.

골관절염이 동반된 고혈압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 (Factor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Hypertensive Seniors with Osteoarthritis)

  • 김은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69-18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제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018년 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 고혈압 노인의 골관절염 동반에 따른 삶의 질 정도와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대상자는 전국 단위 표본에서 추출된 65세 이상 노인 843명이었다. SPSS 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합표본 Rao-Scott 카이제곱 검정, t-검정,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고혈압군에 비해 골관절염 동반 고혈압군 삶의 질이 유의하게 낮았다(t=5.07, p<.001). 고혈압군의 삶의 질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주관적 건강상태, 활동제한이었으며 설명력은 46.1%였다(F=12.33, p<.001). 골관절염 동반 고혈압군은 성별, 배우자 동거상태, 경제활동, 주관적 건강상태, 활동제한, 체질량지수, 수면시간, 스트레스 인지, 우울이었으며 설명력은 44.6%였다(F=99.82, p<.001). 연구 결과에 따라 향후 고혈압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건강상태의 긍정적 수용 및 활동제한 최소화를 위한 중재프로그램이 요구된다. 골관절염 동반 고혈압 노인에게는 추가적으로 체질량지수 관리를 위한 운동 및 영양교육과 정신건강을 강화할 수 있는 다학제 참여 프로그램 개발과 중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