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trition education center

검색결과 555건 처리시간 0.027초

서울지역 가정어린이집 원장의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이용 경험 분석 (Administrators' Experience of Using Service Provided by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among Home-based Child Care Centers in Seoul)

  • 이주은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3권3호
    • /
    • pp.240-262
    • /
    • 2017
  •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 of administrators of home-based child care centers about CCFSM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service using a qualitative approach. Eight administrators of home-based child care centers in Seoul with more than one year's experience of CCFSM were interviewed regarding their opinions on support activities, standards, and foodservice management. The interviews were semi-structured with open-ended questions and they were transcrib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ubjects. There were negative opinions regarding the indications after a hygiene inspection leaving photographs or records behind, but most positive opinions were about round visits for foodservice sanitation and nutrition management. The participants thought that it is not enough that the number of nutrition education sessions for children be twice a year, and there was a suggestion to increase the rentals of nutrition educational materials. There was a complaint about the menus in that were difficult to prepare for lunch time or to obtain food ingredients for. The administrators poorly recognized how to use the standardized recipes and chlorine-based disinfectants, so they could not be applied properly. They also pointed out the problems of joint purchasing as low quality and high prices in the food service operation. They felt discriminated against compared to with larger scale child care centers because of their size and expressed concerns regarding the fact that many home-based child care centers were not included due to the lack of publicity and budget. Through the results, the CCFSM should provide a differentiated service and management by creating a dedicated team or staff for home-based child care centers so they will not feel left out. In addition, It is also important to constantly gather opinions to improve the menus and to use standardized recipes practically. In addition,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nutrition educational materials corresponding to the infants' age for home-based child care centers and increase the rent to expand nutrition education.

심뇌혈관질환 고위험군의 교육정보센터 영양실습 교육프로그램 효과 (Effects of Nutritional Education Practice Program for Cardiocerebrovascular High-risk Group at the Education Information Center)

  • 남행미;우승희;조영지;최윤정;백수연;윤소연;이진영;이중정;이혜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580-591
    • /
    • 2011
  •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EP (Nutritional Education Practice) program developed by KHyDDI (Korea Hypertension Diabetes Daegu Initiative) for hypertension and diabetes patients. The subjects were 116 patients (hypertension 70, diabetes 46) who had completed basic education program at the education information center and four-session program was implemented for them. Nutrient intake was analyzed and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by 24-hr recall method and evaluate weight, waist circumference, body fat, blood pressure and eating habits in terms of nutrition knowledge, eating behavior, salty taste assessment. The improved results after the program were observed in weight, waist circumference, body fat ratio, blood pressure, slightly salty taste in salty taste assessment, nutrition knowledge, eating behavior, sodium, energy, carbohydrate and protein intake ratio to total energy (p < 0.001). Therefore, this program is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weight, waist circumference and eating behavior, and the continued management would lead to the prevention of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s in the community.

영양교육이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의 식습관 및 혈청 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dical Nutrition Therapy on Food Habits and Serum Lipid Levels of Hypercholesterolemic Patients)

  • 김소연;손정민;정우영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1권1호
    • /
    • pp.125-132
    • /
    • 2005
  • Hypercholesterolemia has been regarded as a major risk factor of coronary heart disease(CHD). CHD is increasing in recent years among Koreans due to westernization of lifestyle and dietary behaviors. In the United States,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NCEP) had resulted 40% decline in mortality from CHD.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medical nutrition therapy on serum lipid levels and discuss the effective nutrition education contents. Thirty outpatients(Male 40%, female 60%) with hypercholesterolemia were educated by medical nutrition therapy(MNT) protocol. At first visit and after three months of MNT, we assessed serum lipid profile, body weight and surveyed general characteristics, lifestyle and food habits through questionnaire. After 12 weeks of MNT, there were significant reductions in serum cholesterol and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LDL-C). Foods habits and lifestyle were changed to the desirable patter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ipid profile is improved by changes of dietary behaviors and lifestyle. Especially in case of obesity, cholesterol lowering effect of MNT was more powerful. Consequently, MNT is effective on reduction of serum lipids by behavior change in hypercholesterolemic patients.

  • PDF

건강신념모델에 근거한 노인 대상 식품안전·영양교육 프로그램 효과 평가 (Food Safety a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Elderly and Assessment of Program Effectiveness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 최정화;이은실;이윤진;이혜상;장혜자;이경은;이나영;안윤;곽동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9호
    • /
    • pp.1366-1374
    • /
    • 2016
  • 노인은 면역취약집단으로 다른 인구 집단보다 만성질환과 식품매개 질병에 걸릴 위험이 크며 식행동은 오랜 세월 굳어져 왔기 때문에 변화하기가 쉽지 않다.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하여 식품안전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시범 적용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식품안전 영양 시범 교육은 서울 마포, 충북 청주, 경북 의성, 충북 진천의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2011년 7월 28일부터 9월 9일까지 총 5주간 매주 1회, 35~40분씩 교육을 시행하였다. 교육 전후 조사가 완료된 최종 연구대상은 교육군이 5회 교육 중 3회 이상 교육에 참여하고 교육 전후 평가를 마친 대상자로 137명, 대조군은 사후 설문조사를 하지 않거나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83명으로 총 220명이었다. 교육은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하여 노인들이 식습관을 변화하지 않을 경우 질병 가능성을 알려 심각성을 인지하도록 하였으며 노인들이 식행동 수정 시 얻게 되는 이들을 알려주고 행동을 실행할 수 있도록 자아효능감을 제공해주고자 하였다. 교육 후 식품안전 영양지식은 모든 항목에서 향상을 보였으며, 식품안전 영역 5문항 중 4문항, 영양 영역 3문항 중 2문항에서는 유의적인 향상을 보였다. 식행동은 교육군에서 '고기, 생선류는 조리 시 속까지 완전히 익힌다'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인 향상을 보였다. 건강신념은 식품안전의 영역에서는 인지된 심각성과 자아효능감, 영양 영역에서는 인지된 민감성, 인지된 장애, 자아효능감에서 유의적인 향상을 보였다. 지식, 식행동, 건강신념 변화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건강신념의 변화량과 식행동의 변화 가능성 간의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1). 본 연구의 참여 대상자들이 일반 재가 노인보다 복지관에서 봉사하거나 활동하는 노인이었기 때문에 표본의 대표성이 떨어져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교육기간이 5주로 비교적 짧았기 때문에 오랜 기간에 걸쳐 형성된 식행동이 쉽게 변화하거나 개선되기 어려우므로 장기간에 걸친 반복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을 향후 보건소나 복지관 등을 통해 지속해서 시행 된다면 노인의 식품안전 영양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바람직한 식행동 변화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대도시 일부 초등학교 5학년의 보건소 영양교육 프로그램 평가 (Evaluation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5th Grade Students Provided by Community Health Cent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문현경;박영;박정현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4권3호
    • /
    • pp.259-275
    • /
    • 2008
  • Children are an important target of health promotion activities due to the life long effec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ffered to primary school students by community health centers. Eight hundred and twenty-six children from 4 primary schools in Seoul voluntarily attended the program. Teachers taught the classes with materials that were provided to them. The subjects were asked to fill out a questionnaire before and then after completion of the program. The data were analysed by SPS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differences in the children's nutrition knowledge scores after the program (p<0.001). In terms of dietary attitude, the rate of 'yes' responses, as a desirable answer to many questions, had increased (p<0.001); however, this positive change in scor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dietary habit changes, it was shown that the proportion of children regularly eating breakfast five days a week had improved to 3.3%. And the proportion of children eating fast foods and instant foods decreased. There was no change in fruit intake, but vegetable intake increased (p<0.001). However, the children's overall dietary habit scores did not show a significant change. In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52.3% of the subjects answered that was helpful, and they viewed 'fast food' as the most interesting topic, whereas 'nutrition labeling' was the most difficult topic in the program. The program's effectiveness was positive in terms of enhancing the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and 'dietary habits' of the children. Therefore,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this type of program, provided by community health centers, was effective for nutrition education.

  • PDF

순환학습모델에 기반한 유아 식생활 프로그램이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Dietary Education Program Based on Learning Cycle Model for Young Children'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Behavior, Science Process Skill and Scientific Attitude)

  • 장숙현;김지현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91-119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바람직한 식생활을 형성하기 위해 개발된 순환학습모델에 기반한 식생활 프로그램이 유아의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G시에 위치한 H어린이집 만 5세반 유아 16명과 만 4세반 유아 중에서 생일이 지나 만 5세가 된 유아 7명을 실험집단으로, G어린이집의 만 5세반 유아 17명과 만 4세반 유아 중 만 5세가 된 유아 7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효과에서 두 집단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 WINDOW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 식생활 프로그램 실시여부를 독립변인으로,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및 과학적 태도의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및 과학적 태도의 사후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고,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각각의 사전 사후 검사시기에 따른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과학적 태도의 실제적인 향상이 있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과학적 태도의 사전 사후 점수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순환학습모델에 기반한 식생활 프로그램이 유아의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과학적 태도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보육현장에 적용 가능한 식생활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현장 교사가 식생활과 관련하여 겪는 어려움을 지원하고, 식생활과 관련된 변인들과 관련한 연구를 통해 유아기 식생활의 중요성을 제시하며 유아들이 기관에서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식생활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본다.

지역아동센터 이용 어린이의 비만관리의 한계점과 모바일폰의 잠재적인 활용 가능성: 어린이와 보호자 대상의 질적 연구 (Current Barriers of Obesity Management of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and Potential Possibility of Utilizing Mobile Phones: A Qualitative Study for Children and Caregivers)

  • 이보영;박미영;김기랑;심재은;황지윤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89-203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current barriers of obesity management for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and their caregivers (parents and teachers working in the Centers). Further,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a mobile phone application for tailored obesity prevention and management programs to overcome the current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children's obesity management. Methods: The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20 obese and overweight children or children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using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12 teachers working at the Centers, and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five parents of children using the Centers. Data were analyzed with a thematic approach categorizing themes and sub-themes based on the transcripts. Results: The current barriers of obesity management of obese and overweight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were lack of self-directed motivation regarding obesity management (chronic obesity-induced lifestyles and reduced self-confidence due to stigma) and lack of support from households and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latchkey child, inconsistency in dietary guidance between the Center and household, repetitive pressure to eat, and absence of regular nutrition education). Mobile phone applications may have potential to overcome the current barriers by providing handy and interesting obesity management based on visual media (real-time tracking of lifestyles using behavior records and social support using gamification), environmental support (supplementation of parental care and network-based education between the Community Child Care Center and household), and individualized intervention (encouragement of tailored and gradual changes in eating habits and tailored goal setting). It is predicted that the real-time mobile phone program will provide information for improving nutritional knowledge and behavioral skills as well as lead to sustainable children's coping strategies regarding obesity management.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environmental factors may be improved by network-based education between the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and households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phones, which are free from space and time constraints. Conclusions: The tailored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based on mobile phones may prevent and reduce childhood obesity by overcoming the current barriers of obesity management for children, providing environmental and individualized support to promote healthy lifestyles and quality of life in the future.

부산 시내 일부 저소득층 유아원 원아의 영양실태에 관한 연구 II. 어머니의 영양지식과 식생활태도가 미치는 영향 (Nutrition Survey of Children of a Day Care Center in the Low Income Area of Pusan II. A Study on the Effect of Nutrition, Knowledge and Nutrition Attitude of the Mothers)

  • 이정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4-39
    • /
    • 1993
  • 부산시 남구 감만동 소재의 어린이집 원아 99명과 어머니를 대상으로 1992년 7월 1일 부터 7월 14일 까지 어머니의 영양지식과 식생활태도가 유아의 영양실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의 영양지식 점수가 높을수록 식생활태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2)어머니의 영양지식 수준과 식생활태도는 교육수준이 높아질 수록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3)어머니의 취업과 영양지식의 상관도는 높았으나, 취업과 식생활태도는 유의적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4)어머니의 교육수준과 유아의 단백질, 지방, 칼슘, niacin의 섭취량은 고도의 유의성을 보였고, 어머니의 영양지식과 비타민 A, 비타민 C는 음의 상관을 나타냈다. 어머니의 식생활태도가 좋을수록 유아의 영양섭취도 좋아졌고, 단백질, 칼슘, 지방과는 유의적 상관을 보였다. 어머니의 취업과 유아의 에너지섭취량, 비타민 A, 비타민 B$_1$, 비타민 C, niacin의 섭취량이 음식의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5)유아의 발육상태는 어머니의 교육수준이나 영양지식 정도보다는 식생활태도와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어머니의 취업과는 음의 상관을 보였다. 6)유아의 식사다양도는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식생활태도가 좋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영양지식과는 유의적 상관을 보이지 않았고, 어머니의 취업과는 음의 상관을 나타냈다.

  • PDF

전북지역 과체중 및 비만아동의 영양교육 효과 -식습관, 식행동, 식생활 태도, 영양지식과 영양소 섭취 상태를 중심으로-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in Chonbuk Area -Focus on Food Habit, Eating Behaviors, Dietary Attitude, Nutrition Knowledge and Nutrients Intake-)

  • 유옥경;이양근;손희숙;차연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9호
    • /
    • pp.1286-1294
    • /
    • 2010
  • 본 연구는 전라북도 교육청의 추천을 받은 전주시 S 초등학교, 익산시 D 초등학교, 김제시 G 초등학교 2학년에서 6학년까지의 과체중 및 비만아동 103명(남아 69명, 여아 34명)을 대상으로 영양교육 총 12회(1학기 6회, 2학기 6회)를 실시한 후 식습관, 식행동, 식생활태도, 영양지식과 영양소섭취 상태를 평가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실시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식습관은 '식사시간에 먹는 양은 어떠한가'에 대한 질문에 대해 여학생의 경우 교육 전과 후에 유의적인 변화를 보였으며(p<0.05), '식사 시 배가 불렀을 때 어떻게 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대해 남학생(p<0.01)과 여학생 (p<0.05) 모두 교육 전후에 '배가 부르면 먹지 않는다고 답한 학생의 수가 가장 많았고, '간식을 섭취하는 이유'에 대해 여학생의 경우 배가 고파서라고 답한 학생의 수가 가장 많았다(p<0.05). 간식 섭취의 주된 이유는 남녀 모두 교육 전후에 '배가 고파서'로 답하였으며, 여아의 경우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식행동은 몇 개의 항목에 대해 남 여아 모두 바람직한 변화를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이지는 않았고, 식태도에서는 '초콜릿, 사탕등 단 음식을 자주 섭취한다'는 문항에서 여아의 경우 교육전 2.46점에서 교육 후 2.75점으로 점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영양지식은 교육 후 남 여아 모두 모든 항목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영양가가 높은 음식이란 열량이 많은 음식을 말한다'라는 질문에서 여학생의 대답에서만 유의성이 있었다(p<0.001). 영양소섭취상태에 있어서 영양교육 후 1일 열량 섭취량은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남 여아 모두 평균 추정량에 비해 낮은 수준의 에너지를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 1년간의 영양교육(총 12회)이 과체중 및 비만아동의 영양지식과 식습관은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하는 경향은 보였으나 유의성이 낮았고, 식행동과 식태도 및 영양소섭취상태 변화는 효과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동들의 식습관 및 생활습관은 단기간의 교육으로 변화되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하여 향후 장기간 지속적인 관리와 체계적인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