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rsery seedlings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27초

수도 만앙대책으로서의 육묘 및 재식밀도에 관한 종합적 연구 (A Comprehensive Study on Growing of Seedlings and Planting Density- as a Measure against Late Transplanting of Paddy Rice)

  • 이은웅;이종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1권
    • /
    • pp.1-9
    • /
    • 1972
  • 본시험은 1971년에 품종진흥을 공시하여 묘대파종량을 3.3$m^2$(평)당 0.2ι, 0.4ι 및 0.6ι로, 본답 10a에 대한 묘대면적을 39.6$m^2$(12평), 49.5$m^2$(15평) 및 59.4$m^2$(18평)로 하여 4월 26일에 수묘대에 파종하고, 이앙기를 6월 5일(적기), 6월 25일 (만기) 및 7월 15일(극만기)로 하였는데, 본답의 재식밀도는 파종량과 묘답면적 각각의 조합에 따른 성묘수를 산출하여 이것을 주당 4묘식으로 주수를 결정하여 이앙하였으며 이앙전에 조사하고 이앙후 본답의 생육 및 수량을 검토하여 만앙대책으로서의 합리적 육묘를 위한 실용적 적정 묘대파종량과 묘대면적을 밝히고자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묘대기간이 길수록 또한 박파묘일수록 묘의 초장, 출엽수, 건물중, 건물초장비 등은 뚜렷이 증가되었으나 묘의 분얼수, 생엽수등은 거의 증가되지 않았다. 2. 이앙기가 늦어질수록 간장, 수장은 짧아지고 출수기는 지연되었으나 이앙후 출수기까지의 일수는 심히 단축되었으며, 한편 80일묘를 이앙한 극만기재배에서는 심한 불시출수현상이 나타났다. 3. 따라서 만앙이 될 수록 수당경화수, 등열비율, 정조천입중 등이 감소되어 정조수량은 직선적으로 감소되었는데, 만앙에 의한 감수율은 6월 5일 이앙구에 비해 6월 25일, 7월 15일 이앙구에서 각각 15.6%, 41.3%로 나타났다. 그런데 극만앙구의 이렇게 뚜렷한 감수원인은 주로 수당경화수와 천입중의 현저한 감소에 있었다. 4. 파종량과 묘대면적이 증가할수록 재식주수가 증가되어 단위면적당 경수는 증가되었으나 간장, 수장 등은 감소되었다. 5. 따라서 후파묘 밀식구일수록 단위면적당 수수는 증가되었으나 수당경화수, 정조천입중 등이 감소되어 수량은 박파묘 소식구와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7월 15일 이앙구에서는 후파묘 밀식구가 등열비율과 천입중의 현저한 감소로 수량이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6. 극만앙 대책으로서의 적정 묘대파종량 및 본답 10a에 대한 묘대면적은 3.3$m^2$당 0.4ι 및 59.4$m^2$로 판단되었다.

  • PDF

시비처리에 따른 활엽수 용기묘의 생장 특성 변화 (Growth Performances of Container Seedlings of Deciduous Hardwood Species Grown at Three Different Fertilization Treatments)

  • 조민석;양아람;황재홍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1호
    • /
    • pp.90-97
    • /
    • 2015
  • 본 연구는 주요 활엽수 조림수종인 느티나무, 참느릅나무, 거제수나무 및 피나무를 대상으로 세 가지 시비 처리($0.5g{\cdot}L^{-1}$, $1.0g{\cdot}L^{-1}$, $2.0g{\cdot}L^{-1}$)에 따른 근원경, 간장, 물질생산량, 묘목품질지수 등 생장 특성을 조사 분석하여 시설양묘과정에서 실질적으로 적용 가능한 수종별 적정 시비기술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느티나무는 $2.0g{\cdot}L^{-1}$, 거제수나무는 $0.5g{\cdot}L^{-1}$ 시비처리구에서 가장 우수한 생장 및 묘목품질을 나타냈는데, 시비수준에 따른 두 수종간의 생장 특성이 반대의 경향을 보인 것이다. 또한, 시비처리에 따른 참느릅나무와 피나무의 근원경과 간장 생장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묘목품질지수는 두 수종 모두 $0.5g{\cdot}L^{-1}$ 시비처리구에서 가장 낮았으며, $1.0g{\cdot}L^{-1}$$2.0g{\cdot}L^{-1}$ 시비처리구 간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묘목 품질과 함께 경제적, 환경적 측면을 고려했을 때 느티나무는 최소 $2.0g{\cdot}L^{-1}$, 참느릅나무와 피나무는 $1.0g{\cdot}L^{-1}$, 거제수나무는 최대 $0.5g{\cdot}L^{-1}$이 적정 시비 수준으로 판단된다. 수종별 적정 시비 수준(배액, 회수)의 적용으로 우량 묘목 생산 및 이와 연계된 조림성과 향상뿐만 아니라 환경오염 저감, 생산비용 절감 및 양묘 기간 단축 등 경제적 이점이 기대된다.

폐쇄형 육묘시설 내에서 몇 가지 광원이 토마토와 오이의 묘소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ective Light Sources on Seedling Quality of Tomato and Cucumber in Closed Nursery System)

  • 엄영철;장윤아;이준구;김승유;정승룡;오상석;차선화;홍성창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70-376
    • /
    • 2009
  • 폐쇄형 육묘시설 내에서 균일한 품질의 플러그묘를 주년으로 생산함에 있어서 LED 광원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토마토와 오이의 육묘기간 동안에 광원을 달리하여 묘소질을 비교하였다. 적색, 청색, 혼합(적색 2 + 청색 1) LED 및 형광등을 $40{\sim}60{\mu}mol{\cdot}m^{-2}{\cdot}s^{-1}$로 광도(PPF)를 조사하여 30일간 온도조절이 가능한 폐쇄형 육묘시스템에서 육묘하였다. 토마토와 오이 모두 형광등에 비해 적색 LED와 혼합 LED 처리에서 배축의 신장이 작으면서 튼튼한 묘을 생산할 수 있었다. 토마토와 오이의 생체중은 적색 LED에서 가장 무거웠는데 형광등에 비하여 각각 74% 증가하였다. 토마토의 1화방 착과절위에서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2화방의 착과절위는 혼합광 처리에서 낮았다. 화방별 착화수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오이의 20절까지의 암꽃 착생률은 적색 LED 처리에서 52%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혼합광 처리로서 44%였다. 과실 착과수와 수량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폐쇄형 육묘시설 내에서 토마토와 오이의 묘생산에는 적색 및 적색 2 +청색 1의 혼합 LED가 이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Germination and Growth Performance of A Native Threatened Tree Species Quercus gomeziana A. Camus in Nursery Stage: Case of Bangladesh

  • Nandi, Rajasree;Dey, Soma;Hossain, Mohammed Kamal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6권1호
    • /
    • pp.1-6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pre-sowing treatments of seeds on germination and growth performance of native threatened tree species Quercus gomeziana A. Camus at the nursery of Chittagong University, Bangladesh. Furthermore, seedling growth attributes under different doses of fertilizer (urea) was also experimented to find the best dose of fertilizer on this tree species at the nursery stage for better field level growth. Seeds were placed to six pre-sowing treatments e.g. control (PT0), treated with sand paper rubbing (PT1), nicking (PT2), seeds immersed in cold water for 48 hours (PT3), seeds immersed in cold water for 7 days (PT4) and seeds sown at propagator house with increased temperature (PT5). It was found from the study that germination was started earlier (at 31 days) in treatments sand paper rubbing (PT1) and nicking (PT2). The highest germination percentage (93%) was in PT1 followed by 86% in seeds immersed in cold water for 7 days (PT4) and 80% in PT0 (control). Germination percentage was observed least (63%) in PT2 even though germination started earlier. For fertilizer dose experiment to seedlings at the nursery level, treatment FT1: 100 kg/ha (0.33679 g urea/pot/seedling) comparing with other treatments FT0: 0 kg/ha (Control), FT2: 200 kg/ha (0.67358 g urea/pot/seedling), FT3: 300 kg/ha (1.01037 g urea/pot/seedling)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case of collar diameter (6.74 mm), number of leaves, shoot dry weight (19.74), total dry weight (28.16 g), total fresh weight (67.96 g), volume index (3904.82), sturdiness (127.69). Finally, it can be concluded that Quercus gomeziana seedlings revealed better performances under the treatment FT1 in growth and biomass production.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take decision on organic fertilizer dose application to seedlings of Q. gomeziana for large scale plantation and conservation of this species.

육묘상 양파 노균병에 대한 몇 가지 살균제의 방제 효과 (Control Efficacy of Several Fungicides against Downy Mildew of Onion at Nursery Seedling Stage)

  • 모청용;이장훈;고숙주;양광열
    • 식물병연구
    • /
    • 제22권3호
    • /
    • pp.208-212
    • /
    • 2016
  • 무안지역의 양파 농가에서 육묘 재배가 시작된 2013년 9월 중 하순경부터 본밭에 정식이 이루어진 11월 하순까지의 온도 및 상대습도 조건이 양파 노균병 발병에 적합한 환경에 해당하였다. 그래서 육묘 단계에서 발생하는 양파 노균병의 방제를 위해 살균제를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한 결과, 양파 육묘상에 서로 다른 살균제들이 처리된 각각의 처리구에 비해서 무처리구에서는 51.1%의 이병주율을 보여 살균제 효과를 평가하기에 충분하였다. 다양한 작용기작을 가지고 있고 포자발아 억제 효과가 우수하여 보호살균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mancozeb을 세 차례 살포한 MAN 처리구의 이병주율이 4.4%로 나타나 방제가가 91.4%로 조사되어 가장 우수한 방제 효과를 보였고, 작용기작이 각각 다른 살균제인 amectotradin+dimethomorph, fluopicolide+propamocarb HCl, dimethomorph+pyraclostrobin을 순서대로 살포한 MIX 처리구는 10.0%의 이병주율을 보여 방제가가 80.4%로 나타났다. 그리고 amectotradin+dimethomorph만을 세 차례 살포한 AME+DIM 처리구는 12.2%의 이병주율을 보여 방제가가 76.1%로 나타나 방제 효과가 다른 두 처리구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살균제가 처리된 모든 처리구에서 무처리구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양파 육묘 재배 시기가 노균병발병에 적합한 환경에 해당되므로 살균제 등을 사용하여 육묘 단계부터 양파 노균병 방제에 대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사면 녹화용 외래초종과 재래 목·초본식물의 적정 파종량 및 혼파비에 관한 연구(I) (Optimal Amount and Mixture Ratio of Seeding of the Exotic and Native Plants for Slope Revegetation(I))

  • 전기성;우보명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33-42
    • /
    • 199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amount and the mixture ratio of seeds for revegetation species by investigating their growth characteristics. For the purpose of the experiments, 15 plants were chosen. In May of 1995 to September of 1998, the nursery seedbeds of the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were seeded with the mixtures of those species. Then, the nursery seedbeds were trea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mount of seeding, the amount of fertilizer, and the depth of soil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it was found that the effects of all the treatments on growth of shoots and roots were significant in the early phase. For the expected number of seedlings more than 3,000 per square meter, many seedlings got withered to death while the survivors were suppressed to grow slow in the early stage due to the density problem.

  • PDF

Growth responses of sugar palm (Arenga pinnata (Wurmb.) Merr.) seedlings to different shading levels

  • Furqoni, Hafith;Junaedi, Ahmad;Wachjar, Ade;Yamamoto, Yoshinori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49-49
    • /
    • 2017
  • Sugar palm (Arenga pinnata (Wurmb.) Merr.) grows naturally under shading of tree canopy, therefore shading levels take a main role for an optimal growth of sugar palm seedlings. Th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shading levels on the seedlings growth of sugar palm for up to 11 months under four shading levels: S0 (100% of full sunlight or non-shading), S1 (32% shading level), S2 (56% shading level), and S3 (64% shading level). Sugar palm seedlings grown under the shade (32, 56, and 64%) showed better plant height, stem diameter, leaf size, petiole and rachis length, chlorophyll content, root fresh and dry weights, root volume, and total biomass than those grown without shading.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t responses among the shading treatments on plant height, biomass dry weight, leaf morphological characters, chlorophyll content, and SPAD value, the S2 treatment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a better root character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2 treatment, 56% shading level, is an optimal shading condition for sugar palm seedlings.

  • PDF

비닐하우스에서 상토의 조성에 따른 묘삼의 생장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Ginseng Seedlings as Affected by Mixed Nursery Soil under Polyethylene Film Covered Greenhouse)

  • 박홍우;장인배;김영창;모황성;박기춘;유진;김장욱;이응호;김기홍;현동윤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363-368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optimum composition of nursery soil for raising seedling of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Total 9 kinds of raw materials were used such as peat-moss, perlite, leaf mould, rice bran, gull's guano, castor-oil plant bark, palm bark, cow manure and chicken manure for optimum composition of nursery soil in ginseng. Occurrence of damping-off in ginseng was lowered about 50% in nursery soil type 1, 2 and 4 than in other types nursery soil in June, and occurrence rate of rusty root also lowest in nursery soil type 1. As the salinity of nursery soil increased, so did the occurrence of physiological disorder in ginseng seedling. The cause of salinity increasing in nursery soil has closely relation to $NO_3-N$, $P_2O_5$ and $Na^+$ content. Plant height, root length, diameter and weight were longer and heavier in nursery soil type 1 (mixing ratio of peat-moss, perlite and leaf mould was 50 : 20 : 30 based in volume) than in other types of nursery soil. So nursery soil type 1 was selected for raising seedling of ginseng. pH and electric conductivity (EC) of selected nursery soil type 1 was 5.55 and 0.13 dS/m. Contents of $NO_3-N$ and $P_2O_5$ were 21.0 and 40.0 mg/L, and $K^+$ 0.36, $Ca^{2+}$ 3.38, $Mg^{2+}$ 2.01 and $Na^+$ $0.09cmol^+/L$, respectively.

시설양묘과정에서 용기에 따른 편백 유묘의 생장 특성 변화 (Container Types Influence Chamaecyparis obtusa Seedling Growth During Nursery Culture)

  • 조민석;양아람;황재홍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4호
    • /
    • pp.556-563
    • /
    • 2014
  • 본 연구는 시설양묘과정에서 편백 용기묘(2-0묘) 생산을 위해 요구되는 적정 용기의 구 용적 및 생육밀도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용기 20구(400 mL/구, 150본/$m^2$), 24구(320 mL/구, 200본/$m^2$), 35구(240 mL/구, 260본/$m^2$)에서 편백의 근원경, 간장, 생체량, 뿌리밀도 및 묘목품질지수를 조사 분석하였다. 용기에 따른 근원경, 간장, 생체량, 뿌리밀도 및 묘목품질지수는 20구 용기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지만, H/D율과 T/R률은 용기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단위 면적 당 총 물질생산량은 35구에서 가장 낮았으며, 20구와 24구 용기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또한, H/D율과 T/R률을 제외한 근원경, 간장, 물질생산량, 뿌리밀도 및 묘목품질지수는 용기 구 용적과는 정의상관관계, 생육밀도와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시설양묘 단계에서 편백 2-0묘는 20구(400 mL/구, 150본/$m^2$) 용기가 적정 규격으로 판단된다. 편백 2-0묘 생산을 위한 적정 용기의 선정으로 우량 묘목 생산 및 경제적 비용 절감 효과와 함께 우수한 조림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멸종위기 털복주머니란 현지 외 보전 및 고랭지 적응성 검토 (Ex situ Conservation of the Cypripedium gutttum SW. Seedlings from Asymbiotically Germination and Adaption on High Land in Korea)

  • 이정관;권영희;허윤선;김희규;김경옥;최원일;김주형;정미진;손성원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11
    • /
    • 2020
  • Background : The genus Cypripediums are typically adapted to the low temperature and cold climates of the high land in Korea. The species which were reported in Korean peninsula are C.japonicum, C.macranthos, C.calceolus and C.guttatum. We had already reported the successful germination of the C.macranthos and C.guttatum. The small spotted lady's slipper orchid(C.guttatum) is most endangered plants to extinction of which population was reported less than 100 in Korea.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research is restoration of the C.guttatum in ex situ and adaptation in high land and nursery. Methods and Results : The 350 seedlings of C.guttatum were transplanted in soil at alpine area(altitude 750m) and the nursery of Korea National Arboretum(KNA) in YangPyeong city on May 2019 and 2020 in order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ex situ restoration. The sprouted ratio of the seedlings were less than 10% in the alpine area and 83% in the nursery of KNA. The reasons of the diverse survival ratio are presumed as the low moisture content in the soil and heavy shade of the alpine area. The 15 cypripedium species and 29 hybrids were also effectively adapted in the KNA rare plant garden. Conclusion :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e difficulties of the restoration for small spotted lady's slipper orchid in the natural habitation. From the above results, we may conclude that the critical factors of the genus Cypripedium are intensive care for the fragile seedlings during the 1st year acclimatiz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