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merals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31초

구조적 특징 분석기를 이용한 무제약 필기 숫자 인식기의 결합 (A Combination Method of Unconstrained Handwritten Numerals Recognizers Using Strutural Feature Analyzer)

  • 김원우;백종현;이관용;변혜란;이일병
    • 인지과학
    • /
    • 제7권1호
    • /
    • pp.37-56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구조적 특징분석을 이용한 무제약 필기 숫자의 검증기를 개발하고 이를 다중 인식기의 결합 알고리즘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일반적인 다중 인식기 결합은 학습이나 확률적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입력 영상의 구조적 특징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인간이 명백히 판단할 수 있는 숫자임에도 불구하고 인식기의 특성에 따라 오인식을 할 수 있다.이런 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자주 혼동되는 숫자쌍에 대하여 구조적 특징을 비교 분석하여 판단하는 일대일 검증기를 구현하고 이를 인식기의 결합에 적용한다.검증을 위한 구조적 특징으로는 윤곽선,방향코드,다각형 근사와 수직/수평 영교차 횟수 등이 있다.제안하는 방법의 성능 평가를 위한 실험은 CENPARMI숫자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실험 결과 전체 신뢰도는 97.95%를 얻었고 또한 일반적인 결합 알고리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인식 요소들이 제거됨을 확인할 수있었다.

  • PDF

Numerals and Pragmatic Interpretations

  • Yeom, Jae-Il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10권2호
    • /
    • pp.47-65
    • /
    • 2006
  • In this paper I address the problems of defining the semantics of numerals and accounting for how pragmatic inferences are made. I basically assume that a numeral n simply means '${\lambda}P{\lambda}x[#(x)n\;&\;P(x)]$', as commonly assumed. Even when a numeral n has 'at least' interpretation, a sentence with the number does not entail a sentence with n replaced with n-1. But when a sentence with n-1 holds, it is possible that a sentence with n or a larger number holds too. This is not based on a semantic relation, but on pragmatic informativeness. In addition to pragmatic strength, the actual reading of a numeral is affected by some background knowledge of generalizations about the world, but the ordering of pragmatic strength among numbers always plays a role in determining unilateral interpretations. In such a case, we can assume that a set of numbers relevant in the context forms a scale. Forming a scale does not necessarily lead to a unilateral interpretation. The bilateral interpretation of a number is possible in the context where it is known whether or not alternative sentences with contextually salient alternative numbers are true.

  • PDF

한(韓)·중(中) 수사성어(數詞成語)의 외부형식(外部形式) 비교(比較) 연구(硏究) (A Comparative Study on the Outside form of Numeral Idioms in Chinese and Korean)

  • 현성준
    • 비교문화연구
    • /
    • 제27권
    • /
    • pp.319-346
    • /
    • 2012
  • The idiom is the fixed phrase with the traits of stable patterns, habitual uses, historic and ethnical characteristics. The numeral is categorized under the substantial, it represents the quantity or sequence, it can be divided into cardinal numerals and ordinal numerals. Although a considerable of the Korean numeral idioms generated from Chinese numeral idioms, however,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different historical background, customs, and language structure, in the long term, Korean and Chinese numeral idioms formed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many aspects. This paper mostly examines the outside form of numeral idioms in Korean and Chinese. The aim is to summarize the different system of Korean and Chinese by analyzing the rules of the numeral idioms in Korean and Chinese.

$\cdot$일양국 수사의 어원구명

  • 이재숙
    • 전기저널
    • /
    • 3호통권8호
    • /
    • pp.18-22
    • /
    • 1976
  • This essay will introduce that how the Korean and Japanese numerals have been developed from the same ancient original words. It would be a big interest for many people who have interested in knowing the origin of Japanese language of which many Japanese

  • PDF

오프라인 필기체 슷자 인식을 위한 다양한 특징들의 성능 비교 및 인식률 개선 방안 (Performance Comparison of Various Features for Off-line Handwritten Numerals Recognition and Suggestions for Improving Recognition Rate)

  • 박창순;김두영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3권4호
    • /
    • pp.915-925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오프라인 필기체 숫자의 변형을 흡수할 수 있는 효과적인 특징을 찾기 위해서 여러 가지 특징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실험적인 성능 비교 결과는 윤곽 선을 이용한 4방향성 특징 그리고 교차 거리+교차+망+투영 특징이 오프라인 필기체 숫자 인식에서 인식률과 인식 시간측면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단일 신경회로망에서 인식률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효과적인 특징을 조합한 복합특징 으로 다수결투표와 신뢰도 지수를 이용한 모듈화된 신경회로망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식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서 캐나다의 Concordia 대학교와 한국의 Dong-A 대학교 오프라인 필기체 숫자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실험을 하였다. Concordia 대학교의 데이터 베이스는 97.1%의 정인식률, 1.5%의 기각률, 1.4%의 오인식률 그리고 98.5%의 신뢰도가 나타났으며, Dong-A 대학 교의 데이터 베이스는 98%의 정인식률, 1.2%의 기각률, 0.8%의 오인식률 그리고 99.1%의 신뢰도가 나타났다.

  • PDF

SVM 분류기를 이용한 필기체 숫자인식 (Recognition of Handwritten Numerals using SVM Classifiers)

  • 박중조;김경민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36-142
    • /
    • 2007
  • 최근의 인식 시스템 연구들에 의하면 SVM 분류기가 여러 다른 분류기에 비해 우수한 인식 성능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SVM 분류기를 사용하여 필기체 숫자를 인식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본 기법에서는 필기체 숫자의 특징으로서 망특징과 Kirsch 연산자에 의한 방향 특징 및 오목특징을 사용하는데, 이중에서 처음 두 특징은 숫자를 이루는 선에 대한 전경 정보를 표현하며, 마지막 특징은 숫자의 배경 정보를 표현하여 상호 보완적인 역학을 수행한다. 본질적으로 SVM은 두 클래스 분류기이므로 이를 다중 클래스 분류기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SVM들을 결합하여 사용해야 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일대일" 방법과 "일대다" 방법을 사용하여 주어진 특징에 대한 인식을 수행하였다. 제시된 기법의 성능 평가를 위해 CENPARMI 필기체 숫자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 98.45%의 인식률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한국어 수사어절의 유형 분류 및 정규화 (Classification and Normalization of Korean Numerals)

  • 강승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2)
    • /
    • pp.187-189
    • /
    • 1999
  • 여러 가지 형태로 표현되는 수사어절을 아라비아 숫자로 구성된 표준형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수사어절을 인식하는 알고리즘과 수사어절을 표준형으로 변환하는 수사어절 정규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띄어쓴 수사어절은 전처리 단계에서 수사어절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한 어절로 결합한다.

  • PDF

필기체 숫자 인식률 향상을 위한 특징추출 (Feeature extraction for recognition rate improvemen of hand written numerals)

  • 고찬;이창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2102-2111
    • /
    • 1997
  • 전처리된 필기체 숫자 패턴을 3차원 공간에 투영시키고 2차원 평면에 추가되는 z축은 숫자 획의 궤적을 따라가는 순서 인덱스를 나타낸다. 추출된 특징점들간의 거리를 구하고 이 거리 데이터를 정규화 시켜 크기 변화에 적응하고, 정규화된 특정간 거리정보의 통계적 히스토그램을 구하여 인식처리의 입력으로 하였다. 실험에서 200개의 필기체 숫자 패턴 중 100개를 사용하여 특징맵 평균치를 구하여 기준값 특징맵을 구성하였고, 나머지 100개는 인식 실험의 입력패턴으로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임계치 0.20에서 93.5% 인식률, 임계치 0.25에서 97.5%의 인식률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