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mber of egg

검색결과 644건 처리시간 0.036초

Evaluation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Delta-aminolevulinic Acid and Chito-oligosaccharide on Production Performance, Egg Quality and Hematological Characteristics in Laying Hens

  • Yan, L.;Lee, J.H.;Meng, Q.W.;Ao, X.;Kim, I.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8호
    • /
    • pp.1028-1033
    • /
    • 2010
  • The effects of delta-aminolevulinic acid (DALA) or chito-oligosaccharide (COS) in layer diets on production performance, egg quality and hemat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in this 8-week trial. Two hundred and seventy 27-week-old (Hy-Line brown) lay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5 treatments with 9 replications per treatment. Dietary treatments were i) Control (basal diet); ii) DALA1 (basal diet+DALA 2 mg/kg); iii) DALA2 (basal diet+DALA 4 mg/kg); iv) COS1 (basal diet+COS 100 mg/kg) and v) COS2 (basal diet+COS 200 mg/kg). In this stud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feed intake and egg shell quality (eggshell breaking strength and egg shell thickness) among treatments. The inclusion of DALA increased egg production during the first 4 weeks. Egg weight was increased in both DALA (quadratic, p<0.05) and COS (linear, p<0.05) treatments compared with the control treatment. Laying hens fed the DALA treatment had an increased yolk color unit (quadratic, p<0.05) and haugh unit (linear, p<0.05)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imilarly, these characteristics were also affected by COS treatments, with both values being linearly increased (p<0.05) in COS treatments compared with the control treatment. Additionally, birds fed DALA treatments significantly increased (quadratic, p<0.05) the number of RBC, WBC and lymphocytes compared with the control treatment. Dietary DALA supplementation linearly increased (p<0.05) the serum iron concentration at the end of the 8th week. The inclusion of COS increased (linear, p<0.05) the concentration of RBC, WBC and lymphocytes compared with the control treatment. In conclusion, dietary DALA at the lower dosage (2 mg/kg) could exert better effects in laying hens than higher dosage (4 mg/kg). Birds fed DALA supplemented diet had an increased iron availability, egg weight, eggshell quality and immunity. Moreover, the inclusion of COS (200 mg/kg) can increase egg weight, eggshell quality and immunity in laying hens. Therefore, both the utilization of COS and DALA could be considered as a new strategy for optimizing egg quality and health condition of laying hens.

계란(鷄卵) 자동(自動) 선별기(選別機)의 난중측정(卵重測定) 정밀도(精密度) 향상(向上)에 관(關)한 기초연구(基礎硏究) (Study on precision improvement in weight measurement of an egg for the automatic egg sorting system)

  • 김기대;복진삼
    • 농업과학연구
    • /
    • 제27권1호
    • /
    • pp.48-53
    • /
    • 2000
  • 1. 난중(卵重) 및 진동량 계측 시스템은 로드셀 1개를 이용한 기존의 방법을 로드셀 배치 I, 계란의 이송방향과 평행하게 같은 방향으로 부착한 방법을 로드셀 배치 II 로 하였고 로드셀 2개를 이용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부착한 방법을 로드셀 배치 III, 2 개의 로드셀이 계란의 이송방향과 평행하게 같은 방향으로 부착한 방법을 로드셀 배치 IV로 구성하여 난중(卵重) 및 진동량을 측정, 분석 하였다. 2. 4가지의 로드셀 배치에 따른 난중(卵重)측정결과 로드셀 배치 I, 로드셀 배치 II, 로드셀 배치 III, 로드셀 배치 IV에 의한 난중(卵重)평균 오차가 각각 1.2128g, 0.5953g, 0.7786g, 0.2793g으로 로드셀 2개를 계란 이송방향과 평행하게 부착한 방법이 난중(卵重) 평균 오차가 가장 낮게 나와 정밀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3 계란 자동 선별기를 이용하여 대란 등급의 계란 선별시 X, Y, Z축 방향에서 평균 진동량이 각각 $5.1937{\times}10^{-3}G$, $9.3604{\times}10^{-3}G$, $16.8657{\times}10^{-3}G$로서 Z축방향의 진동값이 X, Y방향보다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ial Expression of Estrogen Receptor and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Receptor Genes in Ovary and Heterosis of Egg Number Traits in Chickens

  • Wang, Hui;Sun, Dongxiao;Yu, Ying;Wang, Dong;Zhang, Yi;Zhang, Yu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3호
    • /
    • pp.325-330
    • /
    • 2008
  • In order to understand the molecular mechanism of heterosis of reproduction traits in chickens, we used the quantitative 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al polymerase chain reaction (Quantitative real-time RT-PCR) technique to investigate the differential expression of estrogen receptor (ESR) and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receptor (FSHR) genes in 32-week-old ovaries of inbred chickens and their hybrid offspring in $4{\times}4$ diallel crosses, which involved White Plymouth Rock (E), CAU Brown (D), Silkies (C) and White Leghorn (A). We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RNA expression of ESR and FSHR genes not only between hybrids and their parental lines (p<0.01), but also among different crosses (p<0.01). Furthermo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differential expression of both ESR and FHSR in hybrids and heterosis percentages of 32-week-old and 42-week-old egg number traits were significant at p<0.05. Our results suggested that differential expression of ESR and FSHR genes in the ovaries of inbred chickens and their hybrids could play roles in the formation of heterosis of egg number traits to some extent.

Genetic Trends for Laying Traits in the Brown Tsaiya (Anas platyrhynchos) Selected with Restricted Genetic Selection Index

  • Chen, D.T.;Lee, S.R.;Hu, Y.H.;Huang, C.C.;Cheng, Y.S.;Tai, C.;Poivey, J.P.;Rouvier, 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12호
    • /
    • pp.1705-1710
    • /
    • 2003
  • A small body size of Brown Tsaiya laying duck is desirable to reduce maintenance requirements, so the body weight at 40 weeks of age (BW40) has to be maintained at its current level. Egg weight has to be maintained at around 65 g to meet market requirements. Eggshell strength at 40 weeks of age (ES40) must to be increased in order to maintain a low incidence of broken eggs. Thus, number of eggs laid up to 52 weeks of age (EN52) has to be increased without negative correlated response on ES40. A new linear genetic selection index was used: $I_g=a_0{\times}GEW40\;(g)+a_1{\times}GBW40\;(g)+a_2{\times}GES40\;(kg/cm^2)+a_3{\times}GEN52\;(eggs)$ where GEW40, GBW40, GES40 and GEN52 were the multitrait best linear unbiased prediction (MT-BLUP) animal model predictors of the breeding values respectively of egg weight and body weight at 40 weeks of age (EW40, BW40), ES40 and EN52. The coefficients $a_0$, $a_1$, $a_2$ and $a_3$ were calculated with constraints of 0.0 g, 0.0 g and $0.013kg/cm^2$ for expected genetic gains in EW40, BW40 and ES40 respectively and maximum gain in EN52. Since 1997, the drakes and the duck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ir own indexes, with this new genetic selection index. From G0 to G4, the average per generation predicted genetic responses in female duck were +0.05 g for EW40, +0.92 g for BW40, $+0.035kg/cm^2$ for ES40 and +2.13 eggs for EN52. Which represented respectively 0.07%, 0.06%, 0.67% and 1.0% of the means of the EW40, BW40, ES40 and EN52. For ES40 and EN52, it represented also respectively 16.1% and 21.6% of the additive genetic standard deviation of these traits. Thevse results indicated that selection of laying Brown Tsaiya by a restricted genetic selection index and with MT-BLUP animal model could be an efficient tool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egg production, increasing egg shell strength and egg number while holding egg weight and body weight constants.

곤충병원성 선충이 당근뿌리혹선충의 난낭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on Egg Mass Formation by the Northern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hapia)

  • 김형환;추호렬;조명래;전흥용;임명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25-231
    • /
    • 2002
  • 곤충병원성 선충인 Steinernema carpocapsae All (ScA)과 포천(ScP) 계통, S.glaseri NC (SgN)와 동래(SgD) 계통,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 NC 1 계통(HbN)이 당근뿌리혹선충 (Meloidogyne hapla)의 난낭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토마토를 이용한 pot실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450마리의 당근뿌리혹선충이 있는 100g 토양에 곤충병원성 선충을 2.5$\times$$10^{5}$ 마리 농도로 처리한 결과 ScA처리에서 9.4-36.5개, SgN처리에서 5.7-24.7개, HbN처리에서 11.2-16.0개로서 당근뿌리혹선충 단독 처리에서의 62.5개보다 난낭수가 매우 적었다. Steinernema선충을 100㎤당 100마리, 200마리의 당근뿌리혹선충에 대해 2,020마리/토양 350g와 1.6$\times$$10^{5}$ 마리 농도로 처리한 결과 Steinernema 선충의 종간, 계통별 또는 처리농도 간에는 난낭수의 차이가 없었으나, 당근뿌리혹선충 단독 처리와 비교하면 난낭수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곤충병원성 선충을 당근뿌리혹선충 처리 3일 전에 처리한 것이 3일 후에 처리한 것보다 난낭 형성 억제에 더 효과적이었다. 한편, 곤충병원성 선충은 토마토의 생육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생물학적 살선충제의 뿌리혹선충 (Meloidogyne incognita) 방제 효과 (Control Effect of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by Biological Nematicide)

  • 박문현;;김선중;윤민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62-168
    • /
    • 2012
  • 친환경 선충 방제제 개발을 위해 경북 성주군 선남면 및 충남 공주군 우성면의 시설원예 재배지 토양으로 부터 선충 포식성이 뛰어난 곰팡이 Arthrobotrys thaumasia Nema-1과 선충 표피성분인 collagen과 알집 주성분인 gelatin 분해능이 뛰어난 Bacillus subtilis C-9를 분리 하였다. 이들 분리균을 대상으로 포트실험을 통해 선충치사 효과의 지표인 난낭수 감소를 검토한 결과, 균밀도가 $7.0{\times}10^3cfu\;g^{-1}$인 A. thaumasia Nema-1 곰팡이 제제 $5,000mg\;kg^{-1}$을 처리 시 뿌리혹 선충의 난낭수가 무처리 대비 35% 감소하였다. 포식성 곰팡이 Nema-1 제제와 균밀도가 $8.5{\times}10^5cfu\;g^{-1}$인 B. subtilis C-9 세균 제제 각각 $5,000mg\;kg^{-1}$ 혼합 처리구에서는 난낭수가 무처리 대비 67% 감소하였다. 또한 선충치사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살선충 활성이 있다고 보고 된 계피추출물 제제 $10mg\;kg^{-1}$$5,000mg\;kg^-$의 Nema-1과 C-9 제제와 혼합하여 처리 하였을 때 난낭수가 무처리 대비 84%이상 감소하였으며, 대표적 살선충제인 선충탄(Fosthiazate) $24mg\;kg^{-1}$은 난낭수가 26% 감소한 결과와 비교해 볼 때 훨씬 높은 수준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생물학적 선충방제제는 미생물 또는 식물체 추출물 단제 보다는 혼합물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난황 콜레스테롤 및 계란 품질에 관한 식이내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의 효과 (Effect of Dietary β-Cyclodextrin on Egg Quality and Cholesterol Content of Egg Yolks)

  • 박병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14-620
    • /
    • 2004
  • 본 연구의 주목적은 난황 콜레스테롤 함량 및 계란 품질에 관한 식이내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beta$CD)의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29주령 산란계 100마리를 이용하여 각각 20마리씩의 5그룹으로 나누어서 완전임의 배치하였으며 실험 10주기간 동안에 각각의 산란 케이지 내에서 수용하였다. 산란계의 식이는 순수한 $\beta$CD를 0, 3, 5, 7 또는 10% 함유하는 5개의 처리구로 나누었다. 암탉의 식이섭취량, 산란율, 난중은 $\beta$CD 무첨가구와 $\beta$CD 3, 5, 및 7% 첨가구 사이에 서로 비슷하였으나 $\beta$CD 10% 첨가구는 유의적으로 낮아졌다(p<0.05). 식이요구율을 계란 1개당으로 표시했을 때 식이내 $\beta$CD 첨가수준과 차이는 없었으나 $\beta$CD 10%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손상되었다(p<0.05). $\beta$CD 첨가는 호우유니트, 난황색 및 난각두께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았다. 난황 g당 콜레스테롤 함량은 $\beta$CD 무첨가구와 비교할 때 $\beta$CD 3, 5, 7 및 10% 첨가구에서 각각 3.76, 5.12, 5.49 및 6.48 mg씩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p<0.05). 계란 60 g당 콜레스테롤 함량은 $\beta$CD 무첨가구와 비교할 때 $\beta$CD 3, 5, 7 및 10% 첨가구에서 각각 54, 71, 77 및 86 mg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p<0.05). 가장 획기적인 효과는 산란계 식이내 $\beta$CD 5%와 7% 첨가구에 의해서 난황 콜레스테롤 함량이 각각 28.19% 및 30.23%까지 감소한 관찰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beta$CD의 첨가 급여는 난황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출 수 있으며 콜레스테롤 함량이 낮아진 기능성 계란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산난계의 유전적 모수 추정과 조기선발효율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stimation of Genetic Parameters and Selection Efficiency on Early Part-record for Improving Egg Production in Layer)

  • 이득환;오봉국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11-218
    • /
    • 1988
  • 산난종계의 주요 경제형질인 산난양의 개량은 단기검정에 의한 조기선발이 실용화되고 있는 바 산난수에 대하여 조기선발 하였을 경우 조기선발의 최적시기 및 조기선발에서 기대되는 상관적 선발효율을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계통의 일반능력을 조사란 평균치는 초산일령에서 150.5 일과 159.1 일이었고 조기산란수는 W계통에서 후기산란수는 B계통에서 더 많이 산란하였고 총산란수는 두 계통 모두 272개로 비슷하게 산란하였다. 2. 초산일령과 산란수에 대한 유전력 및 표준오차 추정치는 두 계통에서 전자매분산성분으로 추정하였을 때 $0.37\pm0.09$~$0.49\pm0.10$$0.18\pm0.10$x~$0.33\pm0.08$로 추정되었다. 특히 산란수에 대한 추정치는 W계통은 모분산성분에 의한 추정치가, B계통에서는 부분산성분에 의한 추정치가 더 높았고 두 계통 모두 후기산란수에 대한 유전력보다 조기산란수에 대한 유전력이 더 높게 추정되었다. 3. 각 조사형질들 간의 유전상관 및 표준오차의 추정결과는 W와 B계통에서 전자매공분산성분에 의하여 추정하였을 때 조기산란수와의 유전상관에 있어서 후기산란수는 $0.46\pm0.15$$0.39\pm0.16$, 총산란수는 $0.77\pm0.07$$0.76\pm0.08$ 초산일령은 -$0.77\pm0.06$$-0.82\pm0.05$이었고 후기산란수와는 총산란수는 $0.92\pm0.03$$0.89\pm0.04$로 비교적 높게 추정되었으며 초산일영령 $-0.11\pm0.17$$-0.15\pm0.18$로 미약한 원의 상관을 보였다. 총산란수와 초산일령과의 유전상관은 W계통에서 $-0.41\pm0.13$과 B계통에서 -$0.50\pm$0.13으로 모두 원의 상관을 보여 산란수에 준한 선발은 초산일영을 단축시킨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4. 선발효율의 추정결과는 초산 시부터 40주령까지의 산란수에 의하여 선발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1.69와 1.80) 이 시기의 산란수에 의하여 선발하였을 경우 초산일령과의 견전상관을 고려할 때 초산일영을 크게 단축시킬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초산일령의 단축으로 인한 난중의 감소 및 자료수집에 필요한 경비 등을 고려할 때 31주령 이후, 특히 31주령부터 40주령까지의 산란기녹에 의하여 선발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생균제의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과 장내 미생물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Probiotics on Performance and Intestinal Microflora of Laying Hens)

  • 류경선;박흥석;류명선;박수영;김상호;송희종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53-259
    • /
    • 1999
  • The objects of this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several supplemental probiotics on performance and intestinal microflora of Lohmann brown laying hens from 68 to 80 weeks. Basal diets based on corn and soybean meal contained 18.0% CP and 2,720㎉/kg ME. Bacillus subtilis, Lactobacillus salvarius isolated from piglet(LSP) were fed at the level of 0.1 and 0.2% in a one way design. There were four replicates of 40 hens each per treatment. Egg production, feed intake, feed conversion ratio(FCR), eggshell quality were measured at every four weeks and intestinal microflora were examined at the end of experiment. Egg production of bird fed 0.2% individual probiotic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P 0.05). Birds fed the diet containing 0.2% LSC and LSP had significantly lower FCR than other treatments(P 0.05). However, egg weight of birds fed control and 0.2% BS diet showed higher than other treatments. Feed intake of 0.2% BS and 0.1% LSP treat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treatments, but was not consistency of all treatments(P 0.05). Eggshell breaking strength and thickness of hens fed probiotics tended to increase compared to that of control,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testinal anaerobes, Lactobacillus spp. and yeast of hens fed all tested probiotic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The number of intestinal E. coli of all probiotics treatments except 0.1% LSP tended to decrease. Intestinal Lactobacillus spp. was increased significantly by 0.1% dietary LSC, whereas intestinal yeast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LSP treatments(P〈0.05).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indicated that feeding probiotics to laying hens improved the egg production, FCR and increased beneficial microflora.

  • PDF

해송에서의 솔껍질깍지의 벌레 수상분포 양식 (Within0tree Disribution of matsucoccus thunbergianae on Pinus thunbergiana)

  • 박승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14-121
    • /
    • 1994
  • 우리나라 남부지역 해송림에 피해를 주고 잇는 솔껍질깍지벌레으 해송 단목당 밀도가 추정되었다. 구피해자와 신규발생자에서 흉고직경 10cm내외의 공시목을 채취, 가해 약충의 서식가능 면적을 조사한 바 1차측지 밀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2차측지 이하 부속지의 밀도는 구피해지가 낮았다. 약충의 분포양식은 양 지역의 고시목에서 유사한 형태를 나타냇으며 단목당 약충 추정수는 주간의 약충수에 비하야 구피해지에서는 10.8배 신규발생지에서는 13.1배로서 최소 4,200마리, 최대 208,500마리이었다. 오차범위 20%내에서 필요한 공시지의 수는 수관중분의 내부, 수관하부의 중부 및 내부에서 채취한 길이가 10~20cm, 20~30cn인 2차측지이하 부속지로서 각 21개 및 11개이었다. 알주머니는 단목당 63.6%가 주간에 분포하여 이중 가장 밀도가 높은 부위는 역지를 보유한 절간마디이었으며 이를 포함, 인접된 4개 절간에서의 밀도는 주간 전체 밀도의 약 37%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