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rthern plant

검색결과 567건 처리시간 0.025초

Stock(Matthiola incana R. Br.)으로부터 색소유전자의 분리 및 분석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Dihydroflavonol 4-reductase (DFR) from Matthiola incana R. Br.)

  • 민병환;김석원;오승철;유장렬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341-346
    • /
    • 1998
  • 색소유전자의 전이를 통하여 새로운 색소발현체계를 가진 품종을 육종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stock (Matthiola incana R. Br.)의 꽃봉오리로부터 cDNA-library를 합성하였고 screening을 통하여 anthocyanin 합성경로의 중요효소의 하나인 DFR (dihydroflavonol 4-reductase) 유전자를 분리하였다. 염기서열분석을 수행하여 분리유전자의 크기가 1450bp 이며 이중 coding region은 1029 bp 임을 확인하였다. 이미 밝혀진 다른 식물체의 DFR 유전자와 서로 염기서열의 일치성을 비교해 본 결과 외자엽식물인 옥수수와 보리와는 각각 61%를 보였으며, 쌍자엽식물인 페튜니아, 금어초, 거베라, 과꽃 그리고 카네이션 등 과는 66%-67%의 일치성을 나타내었다. 아울러 염기서열의 G/C 함량분석을 통하여 쌍자엽식물의 G/C 함량은 외자엽식물의 그것에 비해 매우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분리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기내에서의 전사와 해석을 수행한 결과 42-44 kd 크기의 단백질을 확인하였다. Southern blot 분석의 결과 DFR 유전자는 stock의 genome에 다른 대부분의 식물체와 유사하게 한 개가 존재하며 야생종과 돌연변이종의 stock을 분리 DFR 유전자를 probe 로 Northern blot 분석을 수행하여 돌연변이종인 lineK17b가 DFR 돌연변이임을 확인하였다.

  • PDF

강원도 내륙 북부지역의 민속식물 (Folk Plants in the Inland of Northern Area in Gangwon-do)

  • 김경아;한준수;천경식;장진환;옥길환;유기억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8-62
    • /
    • 2012
  • 강원도 내륙 북부지역에 대한 민속식물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0년 4월부터 10월까지 수행되었다. 9개 시 군지역의 35개소에서 조사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강원도 내륙북부지역에서 파악되고 수집된 민속식물은 73과 185속 225종 2아종 30변종 4품종으로 총 261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조사된 261분류군 중에는 한국특산식물 3분류군, 희귀식물 11분류군, 그리고 귀화식물 9분류군이 포함되어 있었다. 용도별 이용 현황은 식용 378건, 약용 53건, 염료용 8건, 관상용 7건, 연료용 6건, 향신료용 5건, 향료용 3건, 밀원용 2건, 그리고 기타 41건으로, 식용으로의 이용 빈도가 가장 높았다. 이용 부위로는 잎, 식물체 전체, 뿌리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표준식물명과 지방명의 일치도는 20대가 가장 높았으며, 80대가 가장 낮았다.

Development of transgenic cucumber expressing TPSP gene and morphological alterations

  • Kim, Hyun-A;Min, Sung-Ran;Choi, Dong-Woog;Choi, Pil-Son;Hong, Seong-Gyu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7권1호
    • /
    • pp.72-76
    • /
    • 2010
  • To develop transgenic cucumber tolerant to abiotic stress, a cotyledonary-node explants were co-cultivated with Agrobacterium tumefaciens (EHA101) carrying TPSP gene (pHC30-TPSP). After transfer to fresh medium every two week for eight weeks, putative transgenic plants were selected when shoots grown a length greater than 3 cm from the cotyledonary-node explants on selection medium supplemented with $5\;mgl^{-1}$ phospinotricin as selectable agent. The confirmation of transgenic cucumber was based on the Northern blot analysis. Thirty four shoots (5.2%) with resistance to phospinotricin were obtained from 660 explants inoculated. Of them, transformants were only confirmed from 11 plants (1.7%). Transgenic cucumber expressing TPSP gene was more synthesized at 3.8 times amounts of trehalose (0.014 mg g fresh $wt^{-1}$) than non-transformants (0.0037 mg g fresh $wt^{-1}$). However, all of transgenic plants showed abnormal morphology, including stunted growth (< height 15 cm), shrunken leaves, and sterility as compared with non-transgenic plants (> height 150 cm) under the same growth environment. These results lead us to speculate that the overproduction of trehalose was toxic for cucumber, even though that had known for rice as non-toxic.

RT-PCR Detection of dsRNA Mycoviruses Infecting Pleurotus ostreatus and Agaricus blazei Murrill

  • Kim, Yu-Jeong;Park, Sang-Ho;Yie, Se-Won;Kim, Kook-Hyu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1권4호
    • /
    • pp.343-348
    • /
    • 2005
  • The partial nucleotide sequences of the genomic dsRNA mycoviruses infecting Pleurotus ostreatus (isolates ASI2596, ASI2597, and Bupyungbokhoe) and Agaricus blazei Murrill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the other dsRNA mycoviruses. Partial nucleotide sequences of the purified dsRNA from ASI2596 and ASI2597 revealed RNA-dependent RNA polymerase sequence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Oyster mushroom isometric virus 2, while nucleotide sequences and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from dsRNA mycovirus infecting Agaricus blazei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homology to the other dsRNA mycoviruses. Specific primers were designed for RT-PCR detection of these dsRNA viruses and were found to specifically detect each dsRNA virus. Northern blot analysis confirmed the homogeneity of RT-PCR products to each purified dsRNA. Al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these virus-specific primer sets can be employed for the specific detection of each dsRNA mycovirus in infected mushrooms.

A New White Waxy Corn 'Daedukchal 1' Hybrid with High Yield and High Table Quality

  • Lee, Hee-Bong;Choi, Yun-Pyo;Cha, Hui-Jeong;Lee, Moon-Sup;Bok, Tae-Kuy;Ryu, Ji-Hong;Choi, Hyeon-Gu;Joo, Jeong-Il;Jo, Yang-hee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12-217
    • /
    • 2010
  • A new waxy corn hybrid 'Daedukchal 1' was developed from single cross between CNU 504 and CNU 2396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2007. Inbred CNU 504 used as a seed parent and inbred CNU 2396 as a pollen parent were collected throughout domestic regions. Tasseling date of this hybrid was seven days later than that of check hybrid, 'Chalok 1'. 'Daedukchal 1' was 19.7 cm in ear length and 4.5 cm in ear diameter. On yield trial, ear length of this hybrid was increased 29.7% compared with a check hybrid, 'Chalok 1'. 'Daedukchal 1' had white kernels and good eating quality due to high sugar content and thinner pericarp. The ratio of kernel set length/ear length was similar to 'Chalok 1'. It is moderately resistant to southern leaf blight and northern leaf blight but susceptible to corn borer. The yields of 'Daedukchal 1' in fresh ear weight and in number of fresh ear were 16% and 8%, respectively, higher than those of a check hybrid in regional yield trials for two years. Seed production for this hybrid was better because of the consistency of tasseling dates.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te plastid genome sequence of Lindera angustifolia (Lauraceae) in the geographically separated northern edge

  • GANTSETSEG, Amarsanaa;KIM, Jung-Hyun;HYUN, Chang Woo;HAN, Eun-Kyeong;LEE, Jung-Hyun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14-117
    • /
    • 2022
  • Lindera angustifolia is mainly distributed in the temperate climate zone of China but shows an extraordinary distribution, disjunctively isolated on the western coastal islands of Korea. We therefore present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of Korean L. angustifolia. The complete plastome was 152,836 bp in length, with an overall GC content of 39.2%. A large single copy (93,726 bp) and a small single copy (18,946 bp) of the genome were separated by a pair of inverted repeats (20,082 bp). The genome consists of 125 genes, including 81 protein-coding, eight ribosomal RNA, and 36 transfer RNA genes. While five RNA editing genes (psbL, rpl2, ndhB×2, and ndhD) were identified in L. angustifolia from China, the "ndhD" gene was not recognized as an RNA editing site in the corresponding Korean individual. A phylogenetic analysis revealed that Korean L. angustifolia is most closely related to the Chinese L. angustifolia with strong bootstrap support, forming a sister group of L. glauca.

상처와 효모추출물 처리조건에서 유발되는 야생벼 유전자 스크린 (Genes of Wild Rice (Oryza grandiglumis) Induced by Wounding and Yeast Extract)

  • Shin, Sang-Hyun;Im, Hyun-Hee;Lee, Jai-Heon;Kim, Doh-Hoon;Chung, Won-Bok;Kang, Kyung-Ho;Cho, Sung-Ki;Shin, Jeong-Sheop;Chung, Young-Soo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50-656
    • /
    • 2004
  • 야생벼의 일종인 Oryza grandiglumis (CCDD, 2n=48)는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흰빛잎마름병, 그리고 벼멸구와 같은 병충해에 저항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곰팡이와 해충에 반응하여 차별 발현하는 유전자를 클로닝 하기 위하여 상처처리와 yeast extract를 Oryza grandiglumis에 0시간과 24시간 각각 처리하였다. 유전자의 클로닝을 위하여 희귀 발현유전자의 클로닝에 효율적인 것으로 알려진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 (SSH) 방법이 처리 후 24시간 된 식물을 재료로 사용되었다. 그 결과, 776개의 cDNA clones이 확보되었으며, 유전자 발현의 진위여부를 빠르게 스크린하기 위하여 colony array가 수행되었다. 115개의 colony가 positive로 판명되었고, 이들의 평균 insert size는 400 bp에서 700 bp에 이르렀고, 이들에 대한 염기서열 분석이 수행되었다. 염기서열 분석 결과, 68개 clone들이 알려진 기능의 유전자와 homology를 나타냈으며, 이중에서 16개 clone이 일차대사에 관련된 것과 유사성을, 5개가 plant retrotransposon과 유사성을, 5개가 식물 방어기작 관련 metallothionein-like gene과 염기서열 유사성을 보였다. 이외에 다양한 유전자들이 아미노산 합성관련, membrane transport, signal transduction등에 관여하는 유전자들과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유전자중에서 4 개의 클론(ogwfi-161, ogwfi-646, ogwfi-663, ogwfi-695)들이 선발되었고 이들에 대한 Northern 분석이 수행되었다. Northern 분석 결과 ogwfi-161, ogwfi-646, ogwfi-663, ogwfi-695는 wounding과 yeast extract처리 에 의한 차별 발현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SSH방법은 병충해등과 같은 조건에 의해 차별 발현되는 유전자들을 빠른 시간 내에 다량으로 발굴할 수 있는 매우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중·북부지역에서 재배된 GM 배추와 Non-GM 배추간의 식물체 특성 및 영양 성분 비교 분석 (Comparison of the Plant Characteristics and Nutritional Components between GM and Non-GM Chinese Cabbages Grown in the Central and Northern Parts of Korea)

  • 조동욱;오진표;박권우;이동진;정규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5호
    • /
    • pp.836-844
    • /
    • 2010
  • 본 연구는 GM 배추와 non-GM 배추 계통간의 식물체 생장 특성, 지방산의 조성 및 무기 영양 성분을 분석하여 GM 작물의 평가를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실시하였다. GM 배추(SKCP)와 모본(SC) 계통을 중부지역과 북부지역에서 2008년 가을과 2009년 봄과 가을에 밀식 및 일반 배치시험구로 나누어 40일간 재배하고 수확 후 특성을 조사하여 SKCP 계통과 SC 계통간의 차이점 및 재배 지역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밀식 배치 시험구에서 재배된 배추 식물체의 최외각 엽의 특성 9개 항목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두 지역에서 재배된 SKCP 계통과 SC 계통간에 통계적 유의차는 두 항목(잎의 모양과 모용수)을 제외하곤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식물체의 지상부의 특성 6개 항목과 지하부의 특성 3개 항목을 조사한 결과, 두 지역 모두에서 SKCP 계통과 SC 계통간의 통계적 유의차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중륵의 길이가 두 지역에서 계통간 약간의 유의차를 보였으며, 재배 지역간에도 통계적 유의차가 발생하였다. 중부와 북부지역의 일반 배치 시험구의 경우 최외각 잎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9개의 조사 항목 중 4개의 조사 항목에서 SKCP 계통과 SC 계통간의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다. 특히 잎의 길이에서는 계통간, 재배 지역간 그리고 재배 시기별로 변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식물체의 지상부 특성 9개의 조사 항목 중 5개의 항목에서 통계적 유의차가 발생하였으며, 생체중 무게와 중륵의 길이와 넓이에서는 계통간, 지역간 그리고 시기별로 유의차가 크게 나타났다. 2009년도 가을에 중부와 북부 지역의 일반 배치 시험구에서 재배된 배추 식물체의 잎에 존재하는 주된 지방산은 palmitic acid, oleic acid, stearic acid, linoleic acid 및 linolenic acid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5 가지 지방산의 총 함량은 재배 지역 및 식물 계통간에 통계적 유의 차가 없었으나 linolenic acid를 제외한 4가지 지방산은 중부와 북부 지역에서 SKCP 비해 SC 계통이 건중량 1g당 함량이 다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배추 식물체의 잎에 존재하는 무기영양성분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다량 원소는 질소(N), 인(P), 칼슘(Ca), 칼륨(K), 마그네슘(Mg) 및 나트륨(Na)의 6가지이었고 미량원소는 구리(Cu), 철(Fe), 망간(Mn) 및 아연(Zn)의 4가지로 조사되었다. 무기영양 물질의 대사체 분석 데이터를 표준화 작업하여 스코어를 통해 시각화하여 본 결과, GM 및 non-GM 계통간에 특이적 변이에 따른 클러스터 형성은 확인할 수 없었으나, 지역간 차이에 따른 클러스터 형성은 확인할 수 있었다.

홍수터복원을 위한 국내 현재잠재자연하천 식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Vegetation of the Present-day Potential Natural State of Water for Flood Plain Restoration in South Korea)

  • 김혜주;신범균;유영한;김창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64-594
    • /
    • 2008
  • 현재잠재자연하천의 식생을 연구하기 위하여 인간의 영향을 받은 흔적이 없는 또는 거의 없는 국내의 자연하천구역 25개소를 다양한 환경요소를 고려하여 선정하고, 2006년과 2007년 여름에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Braun-Blanquet(1964)에 의거 1개 조사구(하천연장 약 1km)에 5개의 방형구와 Belt-transect에 따른 횡단면(길이 20m)의 좌우안의 4개의 belt/ 1개 조사구에서의 출현식물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위도 $37^{\circ}{\sim}37.9^{\circ}$의 중북부지방 조사구 하천에서의 공통적 식물군락은 신갈나무군락과 신갈나무와 갈참나무를 동반한 물푸레나무군락이었고, 위도 $35^{\circ}{\sim}35.9^{\circ}$의 남부지방 조사구하천에서는 졸참나무, 때죽나무, 굴참나무군락, 위도 $36^{\circ}{\sim}36.9^{\circ}$의 중부지방은 중북부와 남부의 중간적 특성을 보인 졸참나무, 물푸레나무, 갈참나무군락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조사구하천의 환경요인과 출현식생과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Eco region이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나, 앞으로 다양한 환경인자를 고려한 사례조사구의 증가를 통하여 하천유형별 잠재자연하천의 식생을 규명하는 것이 홍수터복원계획에 절실할 것으로 사료된다.

모감주나무의 해류에 의한 전파 (Transplantation of Koelreuteria paniculata by Sea Current)

  • 이영노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권1호
    • /
    • pp.11-20
    • /
    • 1958
  • I. Assumption: Mo-kam-ju, Koelreuteria paniculata is a woody plant mainly cistributed over Northern China. Its sporadic growth along the beaches of Korea and Japan is assumed to have been sowed by the seeds transported adrift on the current across the ocean. II. Use and Growth of the Plant: In China, this plant has been cultivated from early times mainly at temples, it seeds being used as rosaries, its flowers for yellow dyes and medicine for the eyes, and its leaves for black dyes. In Korea and Japan, these plants have been cultivated at temples and used as the material for rosaries. No natural growth of these plants was reported until 1919. III. Discoveries: In this domestic area, Dr. Chung Tae Hyun discovered the plant on the beach between Cho-Do and Chang-san-kot, Hwang-Hae Prov. in 1920. The reporter discovered them on the beach at Buk-Ni, Duk-jok-Do in 1948, at An-Hung in 1956 and on the beach at An-min-Do in 1957. In the Japan area, it was discovered for the first time twenty years ago, mainly along the coast line of the Japan Sea and some along the eastern coast line, at Subo, Yamaguchi Prefecture facing the Pacific Ocean. IV. Study and Experiment: A. Seed The seed coat is thick, non-permeable and floatable. A number of seeds were immersed in artificial sea water and fresh water separately. The seeds remained there for a hundred and forty-five (145) days from April 6, 1957 to August 29, 57. Thirty one seeds out of the fifty immersed in salt water and twenty seeds out of the fifty immersed in fresh water remain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proving them to be non-permeable to both sea and fresh water. Of course, these had retained their germinating capabilities. Five (5) seeds out of twenty from the fresh water and six (6) out of thirty-one from the sea water were successfully germinated after a hole had been drilled in the seed coat and they had been planted. Thus their floating capability, non-permeability and germinating capability after a possible 145 day trip on the flowing currents has been proved satisfactory according to the assumption made above. B. Current As shown in the Data 2 and 3, the sea current initiated in the Pohai Sea flows westward down along the coast line of Korea reaching the southern part during the autumn and winter seasons. This fact also is in favor of the reporter's assumption. V.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 reporter concludes that, as discussed above, Koelreuteria paniculata which originates in Northern China is transported adrift on the flowing sea current to our western coast line, and also the coast lines of Shantung and Kuangtung of China and it is germinated on the sandy beaches forming new plants. Thus, the seeds drifted down on the southern beach of Korea and have been transported to the Japanese coast, adrift on the Tae-Ma current. Upon fruition, the seeds of the plants which settle on the coasts of western Korea and Japan will migrate to new places. It can be, however, assumed that while the thickness and nonpermeability of the coat enables the long travel in the water, this also can compose a difficulty in germination, consequently in developing a new distribution of this spec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