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linear composite filter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7초

최적화된 비선형 합성필터를 이용한 얼굴인증 시스템 (Face Verification System Using Optimum Nonlinear Composite Filter)

  • 이주민;염석원;홍승현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6권3호
    • /
    • pp.44-51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상관에 기반 한 비선형 합성필터를 이용한 왜곡과 잡음에 강인한 얼굴인식 방법을 연구한다. 상관도 기반 방법은 얼굴 영역의 검출과 인증을 동시에 수행하여 보다 신속한 처리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최적화된 비선형 합성필터는 학습영상의 출력 값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입력 영상과 잡음의 필터 출력에너지를 최소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입력 영상의 출력에너지를 최소화하여 허위표적과의 식별력을 부여하고 잡음의 출력에너지를 최소화하여 가산성 잡음에 대한 강인성을 증대한다. 본 논문에서는 비선형 합성필터를 두 개의 학습 영상으로 구성하여 표적의 왜곡과 저해상도 그리고 잡음 환경 하에서 얼굴 인증을 실험하였다. 실험결과는 비선형 합성필터가 SDF(synthetic discriminant function) 필터와 비교하여 ROC(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커브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Optimum 비선형 합성필터를 이용한 얼굴인증 (Face Verification Using Optimum Nonlinear Composite Filter)

  • 이주민;염석원;홍승현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8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867-868
    • /
    • 2008
  • In this paper, we discuss face verification using the optimum nonlinear composite filter. The optimum nonlinear composite filter is derived by minimizing the output energy due to the additive noise and the input scene. We construct the nonlinear composite filter with 3 training images. The performance is analyzed in terms of the detection probability and the false alarm probability showing the robustness to distortion and noise.

  • PDF

Nonlinear numerical model of headed shear stud anchors for composite open web steel joists

  • Yanez, Sergio J.;Dinehart, David W.;Pina, Juan Carlos;Guzman, Carlos Felipe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44권4호
    • /
    • pp.545-555
    • /
    • 2022
  • Empirical relationships that capture the nonlinear behavior of headed steel shear stud anchors have been derived from standard push out tests, where the specimens are comprised of large wide flanged steel sections attached to flat concrete slabs via the anchors. However, many composite systems used in practice utilize much smaller steel members and/or steel decking as part of the slab system. Composite open web steel joist systems generally include both of these elements and consequently the nonlinear performance ofthe anchor is not accurately represented by existing models. In this paper, a new empirical relation is presented for open web steel joist systems based on experimental results from a modified push out test that more realistically represent a composite open web steel joist system. The methodology for obtaining the proposed nonlinear function where the response of the system is characterized by two parameters(α and β) is presented. The two-step process for obtaining the two parameters is described and the empirical relation is calibrated with the experimental data. In comparison with existing expressions, the new proposal herein more accurately predicts the high initialstiffness of the system and overall nonlinear system performance.

Grey algorithmic control and identification for dynamic coupling composite structures

  • ZY Chen;Ruei-yuan Wang;Yahui Meng;Timothy Chen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49권4호
    • /
    • pp.407-417
    • /
    • 2023
  • After a disaster like the catastrophic earthquake, the government have to use rapid assessment of the condition (or damage) of bridges, buildings and other infrastructures is mandatory for rapid feedbacks, rescue and post-event management. Many domain schemes based on the measured vibration computations, including least squares estimation and neural fuzzy logic control, have been studied and found to be effective for online/offline monitoring of structural damage. Traditional strategies require all external stimulus data (input data) which have been measured available, but this may not be the generalized for all structures. In this article, a new method with unknown inputs (excitations) is provided to identify structural matrix such as stiffness, mass, damping and other nonlinear parts, unknown disturbances for example. An analytical solution is thus constructed and presented because the solution in the existing literature has not been available. The goals of this paper are towards access to adequate, safe and affordable housing and basic services, promotion of inclusive and sustainable urbanization and participation,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and disaster-resilient buildings, sustainable human settlement planning and manage. Simulation results of linear and nonlinear structure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able to identify structural parameters and their changes due to damage and unknown excitations. Therefore, the goal is believed to achieved in the near future by the ongoing development of AI and control theory.

가우시안 및 임펄스 잡음 제거를 위한 비선형 합성 필터 (Nonlinear Composite Filter for Gaussian and Impulse Noise Removal)

  • 권세익;김남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629-635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영상에 첨가된 가우시안 잡음과 임펄스 잡음의 영향을 완화하기 위하여 잡음의 종류에 따라 처리하는 비선형 합성 필터를 제안하였다. 잡음 판단을 통해 국부 마스크의 중심화가 가우시안 잡음으로 판단된 경우, 국부 마스크 내의 표본분산을 이용하여 공간 가중치 필터와 화소 변화에 따른 가중치 필터의 가중치를 다르게 적용하여 처리하고, 임펄스 잡음으로 판단된 경우, 국부 마스크의 잡음 밀도에 따라 국부 히스토그램 가중치 필터와 표준 메디안 필터의 가중치를 다르게 적용하여 처리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제안한 필터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PSNR(peak signal to noise ratio)을 사용하여 기존의 방법들과 제안한 필터 알고리즘을 가우시안 잡음, 임펄스 잡음 및 두 잡음이 혼합된 복합잡음 환경에서 각각 비교하였다.

복합 잡음 제거를 위한 비선형 합성 필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onlinear Composit Filter for Mixed Noise Removal)

  • 권세익;김남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93-796
    • /
    • 2017
  • 영상신호는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잡음에 의해 훼손되어지며, 이러한 신호를 복원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영상에 첨가되는 잡음에는 salt and pepper 잡음, AWGN(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및 두 잡음이 혼합된 복합잡음이 대표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복합잡음 환경에서 훼손된 영상을 복원하기 위해, 잡음 판단을 통해 국부 마스크의 중심화소가 salt and pepper 잡음인 경우, 2차원 스플라인 보간법 및 메디안 필터로 처리하고, AWGN인 경우, 화소변화에 따른 가중치 필터로 처리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 PDF

Enhanced Controller Topology for Photovoltaic Sourced Grid Connected Inverters under Unbalanced Nonlinear Loading

  • Sivakumar, P.;Arutchelvi, Meenakshi Sundaram
    •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 /
    • 제14권2호
    • /
    • pp.369-382
    • /
    • 2014
  • A growing dynamic electrical demand has created an increasing interest in utilizing nonconventional energy sources like Photovoltaic (PV), wind power, etc. In this context, this paper focuses on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a composite power controller (CPC) in the decoupled double synchronous reference frame (DDSRF) combining the advantages of direct power control (DPC) and voltage oriented control (VOC) for a PV sourced grid connected inverter. In addition, a controller with the inherent active filter configuration is tested with nonlinear and unbalanced loads at the point of common coupling in both grid connected and autonomous modes of operation. Furthermore, the loss and reactive power compensation due to a non-fundamental component is also incorporated in the design, and the developed DDSRF model subsequently allows independent active and reactive power control. The proposed developed model of the controller is also implemented using MATLAB-Simulink-ISE and a Xilinx system generator which evaluate both the simulated and experimental setups. The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confirm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model. Further, simulation results for the DPC are also presented and compared with the proposed CPC to further bring out the salient features of the proposed work.

대청복합댐 접합면에 대한 토압 및 간극수압의 변동분석 (Analysis of the Variation of Earth Pressures and Pore Pressures on the Interfaces of Taechong Composite Dam.)

  • 임희대;김상규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4권2호
    • /
    • pp.33-44
    • /
    • 1988
  • 1980년에 완공된 대청댐은 콘크리트댐과 석괴댐으로 혼합된 복슴댐으로서 결합부에는 제체에서 가장 취약한 곳인 원합면이 존재하므로 댐 건설시 계측기를 매설하여 토려 및 간극수려을 계속 측 정하고 있다. 본연구에서는 해석적 방법으로 평면변형하에서 건설단계를 하중증분형태로 보는 비선형증가 유한 요소해석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심벽재료의 파라미터들은 토취장에서 채취한 점토를 현장 밀도 및 함수비로 다진후 삼축압축시험을 실시하여 추정하였고 휠터 및 제각부의 파라미터들은 관계 문헌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비교분석결과 심벽부의 토압은 대체적으로 예측치와 실측치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제설부에서는 다소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간선수압 모델은 심압부의 간선수압예측에 좋은 결과를 보여 주었다.

  • PDF

적응필터를 이용한 적층 복합재료에서의 역산란 X-Ray 신호처리 및 복원 (Reconstruction and Deconvolution of X-Ray Backscatter Data Using Adaptive Filter)

  • 김노유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45-554
    • /
    • 2000
  • 충격에 의해 복합 재료 내에 발생하는 층간 박리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비파괴 방법중에서 Compton X-ray 역산란 기술은 초음파에 비해 비접촉식이며 박리 층간의 상호간섭이 없어 복합재료 판면의 박리 층의 위치와 크기를 검사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X-ray역산란 기술에 있어서 복합재료의 박리 층과 같은 미세한 결함의 측정을 위해 측정 정도를 높이면 역산란 양의 감소로 인해 신호 대 잡음 비(SNR)가 급격히 감소하여 결함검출 가능성이 크게 저하된다. 본 논문에서는 복합재료의 특성을 고려한 X-ray 역산란 모델을 기초로 적응필터를 사용하여 결함신호를 비선형 감쇄, 빔 경화(X-ray hardening), 비균질 특성과 같은 잡음 신호로부터 분리,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결함신호로부터 정량적인 결함(박리)의 위치와 크기를 수학적 산란 모델과의 비교를 통해 최소 자승법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 PDF

X-ray 후방산란 기술을 이용한 항공기용 복합재료의 다중 층간 박리 평가 (Assessment of Multiple Delamination in Laminated Composites for Aircrafts using X-ray Backscattering)

  • 김노유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6-53
    • /
    • 2010
  • 항공기용 복합재료 내부 여러 층에서 발생하는 박리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X-ray 후방산란 검사장치를 개발하였다. 복합재료 두께방향으로의 역산란 밀도변화로부터 층간 박리를 검사하는 슬릿 방식의 카메라와 컴퓨터로 제어되는 X-ray 선원, 그리고 센서로 구성되는 X-ray 후방산란장치를 제작하여 그 성능을 충격하중에 의해 만들어진 인공결함시편을 이용해 검증하였다. 결함평가를 위해 복합재료내 산란장의 크기를 이론적으로 계산하는 수학적 해석 모델을 볼츠만 방정식을 이용하여 제안하였으며 적응필터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산란 노이즈를 최소화 하였다. 다중 박리 결함을 X-ray 후방산란장치를 통해 효과적으로 검출하였으며, 박리 위치와 박리 상태를 모두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