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non-waxy barley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1초

Characteristics of high β-glucan resources quality of Barley

  • Seul-Gi Park;Young-Mi Yoon;Jin-Cheon Park;Chang-Hyun Lee;Tae-Il Park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08-308
    • /
    • 2022
  • β-glucan, a nonstarch polysaccharide, is one of the main functional component in the cell wall of barley. This study was quality characteristics to use a korean variety with a high β-glucan as an original material for developing functional food. The high β-glucan 'Jeonju528, and 'Betaone' were compared with 'Hyeyang', 'Dahyang', 'Hwanggeumchal' and 'Glacier AC38' total 6 varieties. Seed section dyed to classify of Waxy/non-waxy type, starch granule was tested and moisture, protein, amylose, and β-glucan of whole grains and pearl barleys were experiment. Whole grains were the average protein of 13.2% and were the average starch 50.1%. β-glucan of whole grains were 5.3-10.0%, and amylose were 3.0-23.4%. Pearl barleys were the average protein of 11.7% and were the average starch of 65.0%. β-glucan of pearl barleys were 6.5-12.3%, and amylose were 3.6-31.1%. As a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were recognized significance among varieties for protein, starch and β-glucan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other traits. It was concluded that amylos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tarch and β-gluca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mylose.

  • PD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β-Glucan from Acid Hydrolyzed Barley

  • Lee, Sang Hoon;Jang, Gwi Yeong;Hwang, In Guk;Kim, Hyun Young;Woo, Koan Sik;Kim, Kee Jong;Lee, Mi Ja;Kim, Tae Jip;Lee, Junsoo;Jeong, Heon Sa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0권2호
    • /
    • pp.110-118
    • /
    • 201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content and purity, as well as physical characteristics of ${\beta}$-glucan extracted from acid hydrolyzed whole grain barleys. Waxy and non-waxy barleys (Hordeum vulgare) were hydrolyz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HCl (0.1~0.5 N) for 1 h. As the HCl concentration increased, the contents of total and soluble ${\beta}$-glucan from acid hydrolyzed barley decreased. However the ratio of soluble/total ${\beta}$-glucan content and purities of ${\beta}$-gluca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atio of ${\beta}-(1{\rightarrow}4)/{\beta}-(1{\rightarrow}3)$ linkages, molecular weight, and viscosity of soluble ${\beta}$-glucan of raw barleys were 2.28~2.52, $6.0{\sim}7.0{\times}10^5g/mol$, and 12.8~32.8 centipoise (cP). Those of isolated soluble ${\beta}$-gluca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o 2.05~2.15, $6.6{\sim}7.8{\times}10^3g/mol$, and 3.6~4.2 cP, respectively, with increasing acid concentration. The re-solubility of raw barley ${\beta}$-glucan was about 50%, but increased to 97% with increasing acid concentration. Acid hydrolysis was shown to be an effective method to produce ${\beta}$-glucan with high ratio of soluble ${\beta}$-glucan content, purity, water solubility, and low viscosity.

보릿가루 첨가 복합분의 반죽 물성 및 빵의 품질 특성 (Dough Proper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s added with Barley Flour)

  • 하용밍;박양균;강정화;김명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44-353
    • /
    • 2012
  • 보리를 제빵에 이용하기 위하여 새쌀보리와 새찰보리가루를 첨가한 복합분의 반죽물성과 제빵 특성을 조사하였다. 호화특성의 최고점도는 새쌀보리 복합분에서는 증가하였지만 새찰보리 복합분의 경우는 감소하였다. 반죽의 안정도는 10% 복합분에서는 대조구와 동일하였으나 30% 복합분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크게 감소하였다. Extensograph 특성 조사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복합분의 신장도는 감소한 반면 저항도는 증가하였다. 빵의 무게와 부피는 보릿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무게는 증가하고 부피는 감소하였다. 새쌀보리 첨가구보다 새찰보리 첨가구, 무발아보리 첨가구보다 발아보리 첨가구의 비용적이 더 컸다. 빵 속살의 L값은 10%, 20% 첨가구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조직감 특성은 새쌀보리의 경우 10% 첨가구는 경도의 증가를 제외하고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고, 새찰보리의 경우 10% 첨가구는 모든 항목에서, 20% 무발아새찰보리 첨가구는 응집성을 제외한 탄력성, 점착성, 파쇄성 및 경도에서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관능평가 결과 10% 첨가구는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20% 첨가구도 제빵품질에 큰 영향을 주지 않고 첨가할 수 있는 수준이라 판단 되었다. 반죽의 물성과 빵의 품질 특성 조사 결과 메성보리인 새쌀보리는 발아시킴으로써 제빵적성이 좋아졌으나 찰성보리인 새찰보리는 발아시킴으로써 제빵적성이 감소되었다.

1400년대~1600년대 고문헌에 기록된 술의 고찰 - 순곡주류 중 단양주를 중심으로 - (Review on Sools, Korean Traditional Rice Liquors of Ancient Literatures Published in 1400~1600s: Focusing on Single-Brewed Rice Liquors, Danyangju)

  • 원선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93-20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brewing methods of Danyangju, which is one of the traditional single brewed rice liquors using Korean ancient literatures publishes from the 1400's to 1600's. Total 32 Danyangju products and 55 brewing methods were found by reviewing the ancient literatures. Danyangju products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depending on type of grain used: 1) 13 Danyangju products with non-glutinous rice, 2) 14 products with waxy rice, 3) 4 products with mixture of waxy and nonwaxy rice, and 4) 2 products with barley. In this paper, not only ingredients, formula and utensils needed for preparation of Danyangju, but also brewing characteristics and terminology were reviewed. The findings on Danyangju in this study would be useful to improve the brewing methods and quality of Korean traditional liquors.

질소시용량의 차이가 과맥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ree Naked Barley Cultivars (Hordeum vulgare L.) Affected by Different Levels of Nitrogen Application)

  • 김석현;조재영;홍병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42-253
    • /
    • 1984
  • 종실의 품질특성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구명하기 위하여 라맥 품종중 찰성인 요네자와와 메성이며 대립인 백동과 소립인 영산보리를 재료로 질소시용량을 달리하여 수행한 시험에서 얻은 몇가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품질의 변화를 보면 질소증시에 의해 단백질은 증가하며 백동이 배비구(N$_1$)에서 13.7%로써 가장 높았고 출수후 성숙이 진전됨에 따라 단백질 함량은 출수 직후에 높다가 4주째에 가장 낮은 함량을 보이다가 다시 증가하였다. 단백질의 solubility fraction에서 glutelin 함량이 최고이며 질소시용량이 증가할수록 증대되었다. amino산중 lysine함량은 요네자와와 백동이 영산보리보다 높으며, 질소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모든 공시품종에서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proline은 타 amino산에 비하여 월등하며 질소수준이 증가할수록 증대됨을 알 수 있었다. 질소증시에 의하여 무기성분중 Mg, K는 감소하고 Ca는 증가하였다. 회분은 질소 증시에서 감소하고 성숙이 진전함에 따라서 감소하였다. 질소시용량이 증가할수록 맥입의 경도가 낮아지고 호분층이 연해지기 때문에 도정율을 낮추어야 하며 찰성인 요네자와는 메성인 두 품종보다 적게 도정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도정시간이 길면 가열흡수율이 높으며 도정률 60%로 기준하여 보면 찰성인 요네자와가 메성인 두 품종보다 가열흡수율이 높고 밥의 백도도 찰성인 요네자와가 메성인 두 품종보다 높고 질소시용량이 증가할수록 밥 백도가 백동, 영산보리에서는 낮아졌으나, 찰성 인요네자와에서는 높아졌다. Amylogram의 점성에서 호화온도는 찰성이 46.$0^{\circ}C$로 메성 58.$0^{\circ}C$ 보다 낮고 질소시용량과 큰 관계가 없으며 최고점도는 찰성인 요네자와가 보비구에서 2000BU, 메성인 백동은 무비구(No)에서 1020BU로서 찰성이 메성 보다 높고 질소시용량이 증가될수록 높아졌다. 찰성은 메성보다 호화온도가 낮고 최고점도는 높았다.

  • PDF

혼합곡 식이의 지구력 향상 효과 (Improving Effects of Multigrain Feed on Endurance)

  • 오홍근;박정우;강영례;김정훈;서민영;김민걸;두재균;신동화;정은수;채수완;김옥진;이학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2호
    • /
    • pp.1700-170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4주간 혼합곡 식이를 공급하여 treadmill을 통한 운동시간과 glycogen 저장능력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지구력 개선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7주령 SD rats은 정상군 (Nor, 정상식이, n=6), 대조군(Con, 20% 정상식이+80% milled rice, n=6), GI(혼합곡 식이 I, n=6), GII(혼합곡 식이 II, n=6), GIII(혼합곡 III, n=6)와 GIV(혼합곡 식이 IV, n=6)으로 임의 군배정을 하였다. 지구력 시험은 24일간의 적응훈련과 혼합곡 식이 공급을 한 후 실시하였다. 운동 지속시간과 glycogen 저장능력은 혼합곡 식이 공급에 의해서 증가하였다. 더욱이 25 min 운동 그리고/또는 탈진 시까지의 운동 후에서 혈액 내 무기질 인, CPK와 lactate의 농도는 혼합곡 투여에 의하여 감소하였으나, GOP, GTP, lactate LDH의 농도는 군간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4주간의 혼합곡 식이가 운동 지속 시간과 glycogen 장 능력이 증가되었으며, 피로물질인 무기질 인, CPK와 lactate의 농도가 감소시킴으로써 지구력 개선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