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reducing sugar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3초

Microbial,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Quality Grade 2 Beef Enhanced by Injection of Pineapple Concentrate and Honey

  • Yoon, Ji Won;Lee, Da Gyeom;Lee, Hyun Jung;Choe, Juhui;Jung, Samooel;Jo, Cheoru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94-501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injecting pineapple concentrate and honey into low marbled beef in order to enhance its sensory qualities, particularly tenderness and flavor, without compromising its fresh appearance. Beef loin was injected with a solution of 6.0% pineapple concentrate, 2.5% honey, 0.5% monosodium L-glutamate, 0.5% phosphate, and 0.3% salt (w/w) to 120% (w/w) of initial meat weight and stored for 14 d. Non-injected beef loin served as a control. Total aerobic bacterial counts, surface meat color, shear force, reducing sugar content, and sensory evaluation of the beef were analyzed at 0.5, 7, and 14 d of storage. Injection did not affect the total aerobic bacterial counts or color of the beef. However, injection increased the stability of meat color,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during storage. The shear force valu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injected beef than that in the control. The injected beef had a significantly higher reducing sugar content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In sensory evaluation, tenderness, juiciness, flavor, and overall acceptance of the injected beef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at 0.5 d. In conclusion, injection of pineapple concentrate and honey can improve the sensory qualities of low marbled beef, during short storage periods, without changing the fresh appearance of the beef.

발효 미생물에 따른 누에동충하초 발효산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Fermentation products of Paecilomyces tenuipes Fermented Using Different Microorganisms)

  • 조유영;권해용;김현복;지상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37-243
    • /
    • 2017
  • 누에동충하초의 유효성분 증가 및 흡수력 향상을 위한 발효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유산균, 고초균, 낫토균, 효모 등 4종의 미생물을 이용하여 각 미생물을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조합으로 단 발효와 복합 발효를 시도한 15가지의 모든 경우의 수를 미생물 접종 조건으로 하여 발효산물을 제조하였다. 각 조건의 발효산물의 당도, 환원당, 단백질 함량 등 기본 성분의 함량 변화와 총폴리페놀, 총플라보노이드, 항산화 활성, tyrosinase 저해활성, 혈전 용해 활성 등 건강식품 개발에 요구되는 항목들의 활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발효산물에서 환원당과 단백질 등 함량은 다소 낮아졌으나 효모를 이용하여 발효한 발효산물에서는 당도가 높아져 단맛이 증가하였으며, 총 폴리페놀과 항산화 활성은 발효 전 누에동충하초에 비해 발효산물에서 증가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총플라보노이드와 tyrosinase 저해활성 및 혈전용해 활성에서는 발효에 의해 증가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효모를 이용한 복합 발효균에서 대부분 활성의 증가를 나타냈으나 효모만을 이용한 단 발효에서는 그 활성의 증가를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유산균과 효모를 이용한 복합 발효 조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더욱 탁월한 건강기능효과를 가지는 누에동충하초 발효식품을 개발한다면 국민 건강 증진 및 양잠농가의 소득증대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연초피복재배(煙草被覆栽培)에서 작토시(作土尸)의 이화학성(理化學性) 변화(變化)와 연초생장반응(煙草生長反應)에 관(關)한 연구(硏究) -3. 피복조건(被覆條件)이 연초생장(煙草生長)과 양분흡수(養分吸收)에 미치는 영향(影響) (A Study on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low Layer Soil and its Response of Tobacco Growth under Polyethylene Film Mulching Condition -3. Effect of Poly Ethylene Film Mulch on the Growth and Nutrients Uptake of Tobacco Plant)

  • 홍순달;이윤환;김재정;조성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12-317
    • /
    • 1985
  • 재배방법(栽培方法)을 P.E film피복(被覆)과 무피복재배(無被覆栽培)로 하여 재배기간(栽培期間)동안 연초(煙草)의 생장반응(生長反應)과 양분흡수량(養分吸收量) 등에 대(對)하여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지상부건물중(地上部乾物重) 150g/주(株)에 도달하는 기간(期間)은 피복조건(被覆條件)이 무피복조건(無被覆條件)보다 약 10일(日) 빨라서 재배기간(栽培其間)이 무피복재배(無被覆栽培)보다 약 25일(日)정도 앞당겨졌으며, 생육단계별(生育段階別) 상대생장율(相對生長率)도 피복조건(被覆條件)인 경우 이식후(移植後) 55일(日)째이후(以後)부터 생장(生長)이 둔화되었으나 무피복조건(無被覆條件)에서는 이식후(移植後) 70일(日)째 이후(以後)부터 생장(生長)이 둔화되었다. 2. 피복재배(被覆栽培)에서 엽중(葉中)의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은 생육후기(生育後期)에 이르러 급격히 둔화되었으나 무피복(無被覆) 재배(栽培)에서는 생육후기(生育後期)까지 질소흡수(窒素吸收)가 계속되었고 엽중(葉中)의 질산태질소흡수량(窒酸態窒素吸收量)에서 그 경향이 더욱 뚜렷하였다. 건조후(乾燥後)의 잎담배중에서도 전질소(全窒素)와 질산태질소(窒酸態窒素) 함량(含量)이 무피복재배구(無被覆栽培區)에서 현저하게 높았다. 3. 무피복재배(無被覆栽培)에서 잎담배중의 환원당 함량은 피복재배(被覆栽培)의 경우보다 낮았으며 그 차이(差異)는 질산태질소(窒酸態窒素)가 가장 많이 함유(含有)된 하위엽(下位葉)에서 현저하였다. 4. 무피복재배(無被覆栽培)는 잎담배중의 함질소화합물(含窒素化合物)이 증가(增加)되고 환원당이 감소(減少)되어 잎담배 품질(品質)을 저하(低下)시켰다. 5. 엽위별(葉位別) 질산태질소(窒酸態窒素)와 칼륨함량(含量)의 분포(分布)는 서로 유사하여 두 성분(成分)은 흡수이동과정(吸收移動過程)에서 서로 Counter-ion으로 작용(作用)하는 것을 암시하였다.

  • PDF

저온저장한 수삼의 가공 중 성분변화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Freeze-Dryed Ginsengs and Red Ginseng Processed from the Fresh Ginseng Stored at Low Temperature)

  • 장진규;이종원;심기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7권2호
    • /
    • pp.72-77
    • /
    • 2003
  • 10월 초에 채굴한 6년근 수삼을 4$^{\circ}C$$\pm$1$^{\circ}C$, RH 87∼92%에 10주간 저장하면서 1주 간격으로 시료 채취하여 동결건조 인삼과 홍삼을 제조하여 성분변화를 비교조사 하였다. 총당은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홍삼은 약간 감소하였고, 환원당은 증가하여 저장전 1.48%에서 10주째는 23.33%였다. 유리당은 홍삼에서 fructose는 증가하였으나 glucose와 sucrose 는 증가후 감소하였고 maltose는 6.62%에서 점차 감소하였으며, 동결건조인삼은 fructose, glucose, sucrose 모두 증가하여 특히 sucrose는 저장전 10.96%에서 7주째는 24.38%로 증가하였고 maltose는 검출되지 않았다. 물추출물의 수율은 7 $.$ 8주째가 약간 높았고, pH는 3 $.$ 4주째가 약간 높았으며. 탁도는 동결건조인삼은 변화가 없으나 홍삼은 감소하였다. 비수용성 단백질은 홍삼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며 동결건조인삼은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비수용성단백질은 감소하고 수용성단백질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페놀화합물은 홍삼과 동결건조인삼에서 각각 저장 7주와 9째 가장 높았으나 그 양은 홍삼이 높았다. 비휘발성유기산은 동결건조인삼과 홍삼 모두 citric acid는 감소하였고, glutamic acid와 pyruvic acid는 동결건조인삼에서 미량이었으나 홍삼은 최고 37 $\mu$g/g과 592 $\mu$g/g이 검출되었다.

시판 생막걸리의 이화학 성분과 관능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Properties in Makgeolli)

  • 김재운;강지은;최한석;김찬우;정석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491-499
    • /
    • 2017
  • 본 연구에서 시판 생막걸리의 이화학 성분과 관능적 특성을 살펴보고, 특히 휘발성 성분과 향미 묘사용어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화학 성분은 우리술 품평회에서 입상한 생막걸리의 알코올, 환원당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색도가 낮게 나타났다(p<0.05). 또한 휘발성 성분에서 입상한 생막걸리의 ethyl myristate의 함량이 2.4배 낮게 나타났다(p<0.05). 전체 15종 생막걸리의 묘사용어는 총 24개(외관2개, 향 10개, 맛 8개, 질감 4개)의 용어가 개발되었다. 입상주의 관능적 특성은 단내, 배향, 요구르트향, 알코올향, 알코올 향미, 탄산감이 주로 발현되었으며, 구수한 향/향미, 누룩향은 적게 나타났다. 생막걸리에 함유된 휘발성 성분과 묘사 용어 중 향에 관한 항목과의 상관분석 결과, ethyl lactate가 복분자향(r=0.840), 배향(r=0.723)과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본 연구에서 도출된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이화학 특성과 관능적 특성(단내, 복분자향, 배향, 요구르트향 등)이 생막걸리의 품질특성에 잘 반영된다면 막걸리의 소비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분쇄방법에 따른 고려홍삼분말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Ginseng Powder on Pulverizing Methods)

  • 이종원;서창훈;장규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63-369
    • /
    • 2003
  • 홍삼 분쇄의 신 가공 기술로서 비충격 분쇄방식인 cell cracker의 공장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홍삼분말의 품질고급화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기존의 충격 분쇄방식 인 hammer mill과 cell cracker에 의한 분쇄방식으로 홍삼분말을 제조한 후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수분함량의 경우 hammer mill로 분쇄한 홍삼분말은 3.16%로 cell cracker로 분쇄한 홍삼분말 6.30%보다 현저하게 낮게 나타나 현행 식품 공전에서는 홍삼분말의 수분함량을 8%이하로 규정하고 있어 cell cracker에 의한 분쇄가 수율제고라는 측면에서는 보다 경제적인 분쇄방법으로 판단된다. 그 외 cell cracker로 분쇄한 경우 조단백질, 총당, 산성다당체가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큰차는 없었으며, 조지방, 환원당, 조섬유, 회분함량은 hammer mill로 분쇄했을시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총 지방산 함량을 비교해볼 때 hammer mill로 분쇄한 시료는 87.90%이고 cell cracker로 분쇄한 시료는 87.50%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 아미노산 함량을 조사한 결과 hammer mill로 분쇄한 시료는 670.96mg%이고 cell cracker로 분쇄한 시료는 676.50mg%이었으며, 필수아미노산의 경우도 각각 212.25 mg%와 206.25 mg%로 조사되어 거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Total ginsenosides 경우 hammer mill로 분쇄한 시료는 1.263%였으나 cell cracker로 분쇄한 시료는 1.311%로 약간 높게 나타났다. 그 외에 유리당 및 무기성분 등에서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례주(醴酒)의 제조와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Brewing of Li)

  • 김선재;정순택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71-377
    • /
    • 2001
  • Li was a sweet beverage containing $2{\sim}3$ percents ethyl alcohol made from malt by spontaneous fermentation from ancient custom to fifteenth century. Li was changed to the rice wine being a sweet beverage of low alcohol content using nuruk as starter and the sikhae which is non-alcoholic fermented beverage. Li was made for drinking and ceremony in Korea, China and Japan. It disappeared from the beverage items along with its method of manufacture from malt, but in Korean had made Li using nuruk until recent. We made Li according to Book of Imwon-Keongjae Ji (The book of country economy) methods for reappearance of Li.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for the production of Li with Saccharomyces cerevisiae, Saccharomyces bayanus and Saccharomyces sake were investigated. Among the yeast strains tested, Li fermented with S. sake showed higher alcohol production. Total sugar decreased considerably during the whole period of fermentation(30 hours), while ethyl alcohol content increased at $2.98{\sim}3.52%$. As the fermentation progressed, the pH decreased until the 30 hours of fermentation, while total acid increased during the same period. In fermentation of 36 hours, Li consisted of about $2.98{\sim}3.52%$ of alcohol content, $5.3{\sim}6.0%$ of total sugar, $1.45{\sim}2.21mg%$ of reducing sugar and total acidity were reached up to $24.4{\sim}29.5mg%$ for Li manufactured with S. cerevisiea sake, S. bayanus and S. sake.

  • PDF

국내 시판 생막걸리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Non-sterilized Commercial Makgeolli)

  • 강지은;최한석;최지호;여수환;정석태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63-372
    • /
    • 2014
  • This study was examin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20 types of non-sterilized commercial Makgeolli. These sampl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firm size, enterprise Makgeolli(4 samples), prize-winning Makgeolli(6) and local Makgeolli(10). The alcohol contents of Makgeolli was determinded as follows: enterprise Makgeolli(6.18%), local Makgeolli(7.11%), and award-winning( 7.87%). Enterprise Makgeolli(0.24%) showed higher total acidity than award-winning and local Makgeolli(0.21%). In addition, pH levels were as follows: local Makgeolli(3.75), award-winning Makgeolli(3.77), and enterprise Makgeolli(4.09). Enterprise Makgeolli had the lowest sugar content. According to the sensory evaluation, three grades were identified based on balance and taste(5 points). The upper grade(more than 3 points) showed a higher pH, reducing sugar, higher aminoacidity, more soluble solids, and larger color differences than other grad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cidity across the grades. The alcohol and volatile acid contents of the upper grade were lower than the middle(2.0-2.9 points) and lower(under 2.0 points) grades. Further research should provide a quality analysis of leavening agents and fermentation conditions, and a sensory evaluation.

The Significance of Pyrazine Formation in Flavor Generation during the Maillard Reaction

  • Yoo, Seung-Seo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권4호
    • /
    • pp.360-367
    • /
    • 1997
  • The chemistry background of the Maillard reaction focused on pyrazines and factors affecting the reaction products were reviewed. The Maillard reaction, also called a non-enzymatic browning reaction, is quite complex and generates numerous reaction products. In processed foods, it is generally accepted as a key reaction to produce flavor components. Specially, pyrazines possess an important impact character on the roasted foods with other heterocyclic compounds. The Maillard reaction is initiated by condensation between reducing sugar and amino group, and N-glycosylamines are produced via Schiff base with dehydration of water. After the rearrangement of the N-glycosylamines, they follow transformation into deoxyhexosones which are reactive intermediates. Degradation and fragmentation are facilitated by rearranged compounds. By condensation, pyrazine, one of the final Maillard products, is generated as a relatively stable form to provide specific aromas. During the processes of the reaction, chemical or physical environmental parameters affect the formation of the products.

  • PDF

맥문동 열수 추출물의 일반성분과 관능평가 (General Components and Sensory Evaluation of Hot Water Extract from Liriopis Tuber)

  • 김순동;구연수;이인자;김일두;윤광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0-24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general components and to investigate sensory evaluation of hot water extract prepared by boiling at 10$0^{\circ}C$ for 3 hr with 4-fold water. The contents of total soluble soild, non-reducing sugar, total saponin, ash and total protein were 15.95%, 6.54%, 1.735, 0.33% and 0.40%,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succinic, malic and acetic acid in the extracts were 111.48 mg%, 23.67mg% and 18.36mg%, respectively. The major free amino acids and minerlas of the extract were hydroxyproline 1,290.0 $\mu\textrm{g}$%, glutamic acid 456.2$\mu\textrm{g}$% and potassium 151.35 mg%, respectively. Bitter taste in the extract was not observed, whereas sweet, sour and astringent taste were observ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