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glutinous rice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7초

동결 건조한 가지 분말을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Prepared with Added Freeze Dried-eggplant Powder)

  • 최상호;문숙정;이미경;안종성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21-427
    • /
    • 2013
  • The results of testing general components, physical property and physical function after having made steamed rice cake by adding eggplant, which caters to consumers' tastes are as follows. It showed that when eggplant powder content increased, the moisture content of steamed rice cake with eggplant was decreased. It also showed that the lightness value (L) of steamed rice cake with eggplant powder was the highest as 82.75 in the control group. When eggplant powder content increased, the redness (a) and yellowness (b) were increased. From the results of having measured the antioxidant potential over the steamed rice cake with freezing-drying eggplant powder by DPPH radical elimination, we figured out that it was the lowest as 48.30% in the control group. As more eggplant powder was added, its elimination increased accordingly. As per hardness of steamed rice cake with eggplant, the added group with 7% was revealed as the highest at 0.757. It showed that adhesiveness was the lowest as 30.233 in the control group, and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were on the rise as freezing-drying eggplant powder was increased. Furthermore, softness and chewiness were shown to be high in the added group with eggplant powder of 3, 5%. The evaluation over the overall preference was the highest in 5% added group. Judging from this, adding 3~5% eggplant powder against non-glutinous rice powder is considered an optimal quantity in making steamed rice cake with eggplant.

Determining the Optimal Recipe for Long-Grain Jasmine Rice with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and Its Effect on the Glycemic Index

  • Zeng, Jiting;Choi, Nam-Do;Ryu, Hong-So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7권1호
    • /
    • pp.47-57
    • /
    • 2014
  • Thai Jasmine rice (Oryza sativa, long grain Indica var.) is popular in southeastern Asia and China due to its non-glutinous, fluffy texture and fragrant smell. However it has a high starch digestibility, which leads to an increased glycemic index (GI). Therefore it may require modified cooking methods for diabetes patient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optimize the ratio of Thai Jasmine rice, sea tangle, and olive oil (CLTR) based on consumers' acceptance. The GI of plain cooked Thai Jasmine rice (CLR) was measured as a control. Sensory evaluation an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ere used to determine the optimal ratio. Texture analysis and nutritional evaluation were also performed on the optimal recipe of cooked Jasmine rice with sea tangle. A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was developed in quadratic canonical polynomial models. We used 26 trained Chinese panelists in their forties to rate color, flavor, adhesiveness, and glossiness, which we determined were highly correlated with overall acceptability. The optimal CLTR formula was 34.8% rice, 2.8% sea tangle, 61.9% water, and 0.5% olive oil. Compared to CLR, CLTR had a lower hardness, but a higher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However, CLR and CLTR had the same adhesiveness and chewiness. The addition of sea tangle and olive oil delayed retro-gradation of starch in CLTR and increased total dietary fiber, and protein and ash contents. The degree of gelatinization, and in vitro protein and starch digestibility of CLTR were lower than those of CLR. Based on Wolver' method, the GI of CLTR (52.9, incremental area under the glycemic-response curve, ignoring the area below fasting, as used for calculating the GI [Inc]) was lower compared with that of CLR (70.94, Inc), which indicates that CLTR is effective in decreasing and stabilizing blood glucose level, owing to its lower degree of gelatinization and starch digestibility. Our results show that CLTR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healthier meal for families and the fast food industry.

The Nutritional Value of Brown Rice and Maize for Growing Pigs

  • Li, X.L.;Yuan, S.L.;Piao, X.S.;Lai, C.H.;Zang, J.J.;Ding, Y.H.;Han, L.J.;Han, In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6호
    • /
    • pp.892-897
    • /
    • 2006
  • An experiment was designed to study the nutritional value of Chinese brown rice and maize for growing pigs. Six male grower pigs (Duroc${\times}$Landrace${\times}$Large White, $24.3{\pm}1.26$ kg average initial BW) were surgically fitted with a simple T-cannula at the terminal ileum and allotted within a $2{\times}2$ Latin square design. The pigs were fed either a maize or brown rice diet in a direct method to determine their digestibility. The brown rice used in this experiment was husked from one kind of early, long grain, and non-glutinous rice (ELGNR, indica rice: non-waxy rice, containing amylopectin and amylose) in southern China. Chromic oxide was used as a marker. The diets were supplied at about 4.0% of body weight in dry matter/d. Total faeces and urine were collected on days 4 and 5; digesta was collected on days 6-8 in each period. The average body weight was 24.3 kg at the start of the experiment and 27.6 kg at the e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pparent ileal digestibilities of most amino acids of brown ric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maize (p<0.01), as were the apparent ileal digestibilities of crude protein (CP), digestible energy (DE), organic matter (OM) and dry matter (DM) (p<0.05). However, the apparent ileal starch digestibilities of the two treatments were similar (p>0.05). The values of the apparent faecal digestibilities derived from the two methods, marker and total faecal-collection methods, were very similar and also correlated with each other. The difference in absolute value of the apparent faecal digestibilities between brown rice and maize was smaller compared to that of the apparent ileal digestibilities. The net protein utilization was higher (p = 0.07) and the DE metabolizable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p<0.01) for brown rice than for maize. The metabolizable energy (ME) of brown rice is similar to that of maize, while the DE of brown rice was relatively lower. It can be concluded that Chinese brown rice are better than maize not only in apparent ileal digestibilities, but also in metabolizable rate of amino acids and gross energy under the present study conditions.

근적외선분광분석에 의한 육성계통 벼 유전자원의 아밀로스 및 단백질 성분함량에 관한 통계분석 (Statistical Analysis of Amylose and Protein Content in Breeding Line Rice Germplasm Collected from East Asian Countries Based on Near-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 오세종;최유미;윤혜명;;이명철;신명재;유은애;현도윤;채병수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298-317
    • /
    • 2019
  •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근적외선 분광분석(NIRS) 예측 모델을 활용하여 측정된 국내외 육성계통 메벼 유전자원의 아밀로스 및 단백질 함량 자료를 통계처리 하여 자원의 지리적 특성과 성분 함량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정규분포분석 결과 메벼 유전자원의 아밀로스 평균은 23.6%였고, 단백질 평균은 7.9%였으며 전체 자원의 95%를 차지하는 자원들의 함량범위는 아밀로스가 15.7-31.5%, 단백질이 5.3-10.5%였다. 자원의 다양성지수는 아밀로스가 0.83, 단백질은 0.54였다. ANOVA, DMRT에 사용된 자원 수는 한국 자원이 2,386, 중국은 2,136, 일본은 1,219, 필리핀은 1,213자원이었다. 국가별 아밀로스 평균 함량은 한국 자원이 22.1%, 중국 자원은 24.5%, 일본 자원은 21.5%, 필리핀 자원은 25.2%였다. 단백질 평균함량은 한국 자원이 7.6%, 중국 자원은 7.8%, 일본 자원은 7.4%, 필리핀 자원은 8.2%였다. ANOVA 결과 벼 유전자원의 아밀로스 및 단백질 함량은 국가별 차이가 있었고 1% 유의수준에서 차이가 인정되었다. DMRT 결과 국가별 아밀로스 함량은 한국, 중국, 일본, 필리핀의 네 집단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각 집단 간 아밀로스 함량차이는 1% 유의수준에서 차이가 인정되었다. 단백질 함량은 한국, 중국, 일본, 필리핀의 네 집단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각 집단간 단백질 함량차이는 1% 유의수준에서 차이가 인정되었다. 일본 자원은 가장 낮은 아밀로스와 단백질 평균함량을 나타냈고, 필리핀 자원은 가장 높은 아밀로스와 단백질 평균함량을 나타냈다. 이러한 지리적 분포에 따른 벼 자원 간 함량차이는 각 지역별 자원 선호도와 계통 특성이 반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발아 조와 기장 첨가 밥의 호화 및 항산화 특성 (Pasting Properties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Germinated Foxtail Millet and Proso Millet with Added Cooked Rice)

  • 우관식;김미정;고지연;심은영;김현주;이석기;박혜영;조동화;오세관;전용희;이춘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82-49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발아시킨 조와 기장을 첨가한 밥의 식미와 기능성을 높이고자 하여 첨가비율과 취반방법을 달리하여 밥을 제조하고, 호화특성과 항산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발아조와 기장의 첨가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최고점도(peak viscosity), 최저점도(trough visicosity)는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아 삼다찰 첨가 밥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27.74{\sim}194.11{\mu}g\;GAE/g$$13.79{\sim}30.23{\mu}g\;CE/g$의 범위로 첨가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아 삼다메 첨가 밥은 각각 $128.20{\sim}192.56{\mu}g\;GAE/g$$14.77{\sim}25.99{\mu}g\;CE/g$의 범위로 첨가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아 이백찰 첨가 밥은 각각 $128.88{\sim}171.28{\mu}g\;GAE/g$$15.28{\sim}29.56{\mu}g\;CE/g$의 범위로 첨가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아 삼다찰 첨가 밥의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각각 3.31~5.73 및 6.31~9.69 mg TE/100 g의 범위로 첨가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아 삼다메 첨가 밥은 각각 3.14~8.58 및 6.05~10.19 mg TE/100 g의 범위로 첨가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아 이백찰 첨가 밥은 각각 3.37~7.45 및 6.27~9.27 mg TE/100 g의 범위로 첨가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아된 조와 기장의 첨가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 증가를 확인하였다.

벼 조생 고품질 내냉성 "보석" (A New Early Maturity, High Grain Quality and Cold Tolerance Rice Cultivar "Boseog")

  • 남정권;김기영;정진일;신문식;김보경;하기용;고종철;강현중;신운철;모영준;고재권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564-567
    • /
    • 2009
  • "보석"은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에서 2008년도에 육성한 조생 고품질 내냉성 품종으로 주요특성과 수량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평균 출수기가 7월 29일, 남부중산간지에서는 7월 26일로 오대벼보다 3일정도 빠른 조생종이다. 2. 오대벼에 해 주당수수와 수당립수는 많고, 등숙비율은 다소 높으나 현미천립중은 오대벼보다 가벼운 편이다. 3. 위조현상은 없고 성숙기 하엽노화가 늦고 수발아는 오대벼 보다 잘되는 편이다. 유묘기 내냉성은 오대벼와 비슷하나 내염성은 임실율이 높은 품종이다. 4. "보석"은 도열병에 강한 반응을 보이나 줄무늬잎마름병, 흰잎마름병($K_1{\sim}K_3$) 및 충에 약한 반응을 보였다. 5. "보석" 쌀은 심복백이 거의 없고 투명하며 외관 품위가 오대벼보다 양호하다. 6. 쌀수량은 5.03 MT/ha로 오대벼와 비슷하였다.

Comparison of quality property between fresh cooked rice and re-heated cooked rice

  • Sim, EunYeong;Woo, Koan Sik;Kim, Mijung;Park, Hye-Young;Oh, Sea Kwan;Lee, Chunki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87-287
    • /
    • 201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difference of quality properties of between fresh cooked rice and re-heated cooked rice after retrogradation. Nine rice varieties raised by NICS were compared the properties of physicochemical, texture, sensory evaluation, toyo glossiness value, pasting properties. Among nine rice cultivars, the changes of weight and length-width ratio of after soaking as well as cooking showed how water absorbed in each rice granule. The amount of water absorption after soaking was highest in Wolback (semi-waxy), Hiami and lowest in Samgwang, Seonpum, Ilpum. After cooking, the amount of water absorption was high in Dasan 1 and Andabyeo, however low in Ilpum. In the length-width ratio after soaking, Wolback (semi-waxy cultivar) and Anda (indica cultivar) increase their volume relatively as their shape are while others increased more in length than width. Among cooked rice, the highest value of length-width ratio shows in Anda, Dasan1, Hiami and Seonpum, the Wolbak was similar to that of non-glutinous rice. After cooking, the others stored at $10^{\circ}C$ for 16 hours for retrogradation (imitated at convenience store). Then re-heated using by microwave. Pasting properties were considerably affected by storage temperature and periods of rice. The setback showed in the following order: Wolback (-92.25 RVU, the lowest retrogradation) < Seonpum (-35.20) < Chindle (-22.08) < Jungsanggold (-21.98). Toyo glossiness value of cooked rice showed in the following order: Chindle (82.40) > Samgwang (79.43) > Hiami (79.23). Sensory evaluation of re-heated rice of Jungsanggold, Samgwang, and Chindle were 78.97, 78.36, and 77.35, respectively. Hardness, elasticity, and toughness of re-heated rice ware increased compared to cooked rice, whereas cohesiveness was decreased. Hardness and elasticity is higher in Seonpum, Dasan1 and Hiami, toughness is higher in Jungsanggold, Samgwang and Wolbak. Cohesiveness of Jungsanggold and wolbak showed higher than others.

  • PDF

아밀로스함량 차이에 따른 벼 배유전분의 이화학적 특성평가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Endosperm with Different Amylose Contents)

  • 정종민;정지웅;이상복;김명기;김보경;손재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3호
    • /
    • pp.274-282
    • /
    • 2013
  • 아밀로스 함량차이에 따른 배유전분의 이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아밀로스 함량의 차이를 보이는 찰벼, 저 아밀로스, 중간 아밀로스, 고 아밀로스 품종의 외관특성, 화학특성, 호화특성 및 기계적 식미치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료들의 아밀로스 함량은 6.3%~30.9% 범위로 아밀로스 함량차이에 따라 4개 그룹 찰벼(A), 저 아밀로스(B), 중간 아밀로스(C), 고 아밀로스(D) 품종군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각 그룹에 속한 품종들의 단백질함량은 5.8~7.5%로 품종간 차이가 있었으나 아밀로스 함량에 따라 분류된 그룹간 차이는 없었다. 2. 시험재료의 외형적 특성을 보면, 백도는 찰벼 품종군이 가장 높고 저아밀 중간아밀로스 품종군이 가장 낮았다. 현미경도는 고 아밀로스 품종 및 찰벼 품종이 메벼품종과 저 아밀로스 품종보다 대체적으로 낮았다. 알카리 붕괴도는 5.2~6.9의 분포를 보였으며 아밀로스 함량이 증가할수록 붕괴도가 커졌으며, 아밀로스 함량과 알카리 붕괴도 간 매우 높은 양의 상관($r=0.884^{**}$)을 보였다. 3. 아밀로그램 특성을 살펴보면 저 아밀로스 품종군은 호화개시온도가 중간 아밀로스 품종과 비슷한 반면 최고 점도와 강화점도는 높고 최종점도와 치반점도는 낮았다. 고 아밀로스 품종군은 호화개시온도가 다른 품종군에 비해 높고, 최고점도와 최저점도가 매우 낮았으며 최종점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서 강하점도는 낮고 치반점도는 높은 특성을 보였다. 4. 식미관련 이화학적 특성들 간 상관을 살펴보면 아밀로스 함량은 알카리 붕괴도와 상당히 높은 양의 상관($r=0.88^{**}$)을 Toyo-윤기치와는 높은 음의 상관($r=-0.89^{**}$) 나타냈고, 아밀로그램 특성 중에서는 호화개시온도, 치반점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을 보이며, 강하점도와는 음의 상관을 나타냈다.

전통 배 약주 제조용 효모의 선발 및 배 약주의 최적 발효 조건 (Screening of Yeast for Brewing of Korean Traditional Pear Yakju and Optimal Fermentation Condition)

  • 송정화;장정훈;나광출;김하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84-188
    • /
    • 2010
  • 전통 배 약주용 우수 효모를 선발하고 기호도와 생리기능성이 우수한 전통 배 약주를 개발하기 위하여 배즙에 증자 멥쌀과 누룩, 다양한 종류의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첨가하여 발효 시킨 후 에탄올 함량과 항고혈압 활성을 측정하여 전통 배 약주용 우수 효모로 S. cerevisiae K-7과 시판 S. cerevisiae C-2를 최종 선발하였다. 또한 최적 발효조건을 검토한 결과 증자 멥쌀 100 g을 배즙 600 ml에 첨가하고 발효제 g당 30 sp와 S. cerevisiae K-7를 5% 첨가하여 $25^{\circ}C$에서 7일간 발효시켰을 때 10.4%의 에탄올 함량과 항고혈압성 엔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 활성이 57.2%인, 기호도가 우수한 전통 배 약주를 제조 하였다. 항고혈압성 전분질 부원료의 첨가는 이들의 기호도와 생리기능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Comparison of Dietary Fiber and Free Sugar Content Between Raw and Cooked Cereal Grains

  • Lee, Rheeno;Kim, Yong-Suk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32-338
    • /
    • 2022
  • 곡류는 대한민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에서 주요 식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여러 형태로 섭취되고 있지만 밥 형태로 익혀 먹는 방법이 가장 흔히 알려져 있다. 쌀과 밥 형태의 국내산 현미, 백미, 보리와 귀리의 식이섬유와 유리당 함량을 분석하고 이들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해당 연구를 진행하였다. 총 식이섬유 함유량은 보리밥(11.62±1.26 에서 2.96±0.90 g/100 g)에서 가장 높은 감소율을 보였으며, 귀리 (8.1±0.34 에서 8.1±0.32 g/100 g)는 거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을 정로도 차이가 없었다. 이는 귀리의 수용성 식이섬유가 2.1 g/100 g 정도 감소하였지만 불용성 식이섬유의 함량이 2.2 g/100 g 정도 증가하여 총 식이섬유에는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미와 백미에서는 표준당 6종류 중 sucrose만 검출되었으며 현미밥의 sucrose 함량이 약 0.6 g/100 g 감소하였고, 백미밥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Fructose, sucrose와 raffinose가 보리 (0.09, 0.58, 0.22 g/100 g)와 귀리 (0.08, 0.83, 0.19 g/100 g)에서 검출되었으며, 추가로 보리에서는 maltose (0.09 g/100 g)도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조리 후에 모든 곡물에서 유리당 함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곡류를 조리할 시 식이섬유와 유리당의 함량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양한 곡류의 조리에 따른 영양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며, 일상 식단에 식이섬유 섭취량을 늘리고 싶거나 당분 조절이 필요한 소비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도움이 될 것이라고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