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 timber forest plant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Role of NTFPs in Rural Livelihood of Lao PDR

  • Xayvongsa, Lamphoune;Bae, Young-Soo;Choi, Yong-Eui;Yi, Jae-Seo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5권2호
    • /
    • pp.85-91
    • /
    • 2009
  • About 83% of the total population of Lao PDR lives in rural areas. People living near forest are highly dependent on the forest resources closed to their villages. Especially non-timber forest products (NTFPs) provide a wide range of subsistence needs and are the main source of their cash income. They also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country economy. The annual export value of NTFPs is considerably high. 708 edible NTFP species (238 edible plants and 470 animals) have been recorded so far, and about 400 plants have been reported and used as medicinal plants by Lao people. One hundred NTFP species are considered as commercial forest products. The striking trend in NTFP resources is the decline of some commercial species due to increased demand on them for commercialization, and the loss of forest by rapid population growth. To sustainablely manage the NTFPs resources, a number of new management systems are under development and support in progress by the government.

  • PDF

In Vitro Propagation of Commonly Used Medicinal Trees in Korea

  • An, Chanhoo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5권4호
    • /
    • pp.272-280
    • /
    • 2019
  • Forest medicinal resources, which constitute one of the non-timber forest products, have been regarded as healthy and highly valued products. To meet the increasing demand of the medicinal resourc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ropagation methods of medicinal plants. In vitro propagation not only allows an opportunity for propagating plants in large numbers but also allows for enhancing the quality and quantity of the desired functional component of a plant by altering the growth factors, such as medium, carbon source, and plant growth regulators influence plant.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of in vitro propagation methods, such as axillary bud culture, shooting, and embryogenesis, on Kalopanax septemlobus, 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Hovenia dulcis, and Schisandra chinensis in Korea between from 2000 through 2010. Furthermore, there have been attempts to proliferate callus and plantlets for producing useful natural compounds by using bioreactors. Here, we provide an account of the in vitro propagation methods of medicinal trees in Korea based on a review of several micropropagation studies.

산림과학분야의 산림특용자원식물의 연구 - 한국임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Research on Non-Timber Forest Plants - Based on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from 1962 to 2013 -)

  • 이현석;이재선;안찬훈;이정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3호
    • /
    • pp.337-351
    • /
    • 2015
  • 한국임학회지(1962년의 1권부터 2013년 102권 4호)에 게재된 산림특용자원식물 논문에서 대상식물을 식 음용식물, 약용식물, 사료식물, 조경식물, 섬유식물, 산업용 식물, 밀원식물, 바이오에너지/환경정화 식물, 염료/도료 및 희귀 멸종위기 특산식물로 분류하고, 그 연구내용에 따라 입지환경, 생태, 생리, 번식, 조림(무육과 재배 포함), 유전 육종, 분류(또는 식별), 병 충해와 방제, 동물피해와 방제, 성분분석과 추출물, 식생 또는 자생지 정보, 생물공학, 경영과 경제, 휴양 및 산림치유 및 총설로 구분하였다. 총 2,433편의 논문 중에서 특용자원식물 관련 논문은 611편으로 25.1%를 나타내었다. 연구내용에서 보면, 조림분야의 논문이 14.9%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다음으로는 생리, 번식, 분류 및 유전 육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식물의 이용 목적에 따라서는 식 음용으로 이용된 식물이 26.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산업용, 바이오에너지/환경정화, 조경, 약용과 희귀 멸종위기 특산식물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게재된 식물 중 연구빈도가 가장 높은 식물은 포플러류(62편)였으며, 밤나무, 잣나무, 아까시나무, 은행나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분야, 내용 및 대상식물 결과 등을 종합하여 보면, 1) 산림 내 생물자원에 대한 자원적 가치 인식 제고, 2) 산림과학분야 다양한 영역에서의 생산, 경영 및 이용에 관한 연구, 3) 식물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타 과학 및 산업 분야의 흐름에 부응 및 4) 전통 식물 발굴 등이 산림특용자원식물 분야의 연구에서 깊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Diversity and Utilisation of Floral Non Timber Forest Products by the Communities in Rural Meghalaya, North-East India

  • Lynser, Marvellous B.;Tiwari, Brajesh Kumar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2권1호
    • /
    • pp.39-54
    • /
    • 2016
  •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diversity and usage of NTFPs and evaluates their importance in the day to day life of the people of rural Meghalaya. People use 172 NTFPs belonging to 139 plant species mainly for food, medicine and fuelwood and to a lesser extent for construction, handicrafts and ornamental purpose. These 139 plants belonged to 117 genera and 70 families with Rosaceae, Poaceae and Fagaceae families as the dominant NTFP yielding families. Fruits from shrubs and trees are most commonly harvested by people. Collection and availability of NTFPs for use as food are more during the summer season, which is also the period with least availability of job. NTFPs for subsistence use are greater in number than those having commercial value. The most commonly harvested plant parts are fruits and leaves. Roots, rhizomes and whole plants are extracted in lesser quantity which is a positive approach from sustainability point of view. NTFPs and other forest products also form a vital part of the rural household's income generation activities.

산채(산나물)에 대한 소비자 의향 및 수요 분석: 소비자 의향 조사와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An Analysis of Consumer Preference and Demand for Wild Vegetables: Through a Consumer Preference Survey and Social Big Data Analysis)

  • 변승연;석현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1호
    • /
    • pp.116-126
    • /
    • 2019
  • 최근 5년간 단기소득임산물 생산량 및 생산액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그 중에서도 산채(산나물) 생산액은 2017년 기준 약 4천억 원으로 전체의 14 %를 차지하고 있다. 산채 중에서도 특히 고사리, 취나물, 곤드레 등의 생산량 및 생산액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산나물의 특성상 값 싼 수입산과의 가격경쟁이 심하고, 소비패턴의 변화가 거의 없는 점들로 인해 국내산 산채류 가격에 악영향을 미치고 이는 결국 산채 소비시장의 전반적인 소비 위축 현상을 불러일으킬 위험이 있다. 하지만 최근 소득수준의 향상과 건강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도가 증가함에 따라 건강에 좋은 웰빙 식품 선호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지금이 산채 소비시장에서는 매우 중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채 소비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전략 및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되기 위하여 소비자조사를 통한 산채에 대한 소비자들의 구매행태 및 소비행태를 분석하였고, 이와 더불어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산채에 대한 소비자 인식 및 의향을 파악하였다.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설문조사뿐만 아니라 SNS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소비자 인식 및 의향 조사도 실시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으며, 본 연구 결과가 향후 산채 소비 증진을 위한 전략 및 정책 마련에 있어 우선순위를 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