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de deployment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27초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작업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A Monitoring System for Working Environments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s)

  • 정상준;정연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1478-1485
    • /
    • 2009
  • 주변 환경을 감시하도록 구축된 센서 네트워크는 다양한 감지 작업을 수행하는 센서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센서 네트워크는 가정 자동화, 화재감지 및 보안 분야 등기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적절한 기능을 가지는 센서의 개발과 적합한 응용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가 많은 작업현장에 센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각종 설비 현황을 모니터링 하도록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작업환경을 모니터링 하는 센서는 온도, 습도 데이터를 수집하여 싱크 노드에게 전송하고, 싱크노드와 연결된 서버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작업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작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디지털 데이터는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센서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전달된다. 제안하는 센서 네트워크는 음식물 폐기업체에 적용되어 음식 폐기물의 온도와 습도를 모니터링하고 업체에 출입하는 트럭의 중량 정보를 전송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한다.

  • PDF

근접노드와 거리변화량분석기법을 이용한 선내 위치인식 개선 알고리즘 (An improvement algorithm for localization using adjacent node and distance variation analysis techniques in a ship)

  • 성주현;임태우;김종수;박상국;서동환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7권2호
    • /
    • pp.213-219
    • /
    • 2013
  • 최근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GPS를 이용한 실외 위치 기반 서비스와 더불어 정밀한 위치추적이 필요한 실내 위치 기반 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철골 구조로 이루어진 선박은 전파의 회절 및 굴절에 의한 레인징 오차로 인하여 정확한 위치 측정이 어렵다. 이러한 실내 환경에서 발생하는 위치측정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다중경로에 강인하고 자유공간에서 수 센티미터의 오차를 가지는 UWB(Ultra-wide-band)를 이용하여 어떠한 부가적인 센서 없이도 선내 복도와 같은 좁은 통로에 적합한 거리 개선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개선 방법은 고정노드 배치로 인한 거리 오차는 피타고라스 이론과 근접노드기법으로 해결하고 복도의 코너 구역에서 크게 발생하는 레인징 오차는 거리변화량분석기법을 적용하여 보정하였다. 실험결과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CSS(Chirp spread spectrum) 방법과 비교할 때 노드 수와 거리오차를 각각 66%와 57.41%로 줄였다.

RRA : 무선센서 네트워크에서 노드의 통신영역을 고려한 랜덤 배치 고정형 라우팅 알고리즘 (RRA : Ripple Routing Algorithm Considering the RF-Coverage of the node in WSN)

  • 이두완;김민제;장경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20-823
    • /
    • 2011
  •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제한적인 H/W의 자원을 가지고 동작되는 작은 센서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무선 센서노드들은 초기에 대량으로 랜덤하게 배치되어 스스로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각 클러스터의 헤드노드를 선출하여 정상적인 통신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을 무선 센서노드 설치시 관리자가 직접적으로 관여할 수 없기 때문에 자가 구성 라우팅 기능이 가능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네트워크 구성 알고리즘은 베이스 스테이션이 전체 네트워크를 통제하는 계층형 클러스터링 구조로, 초기 네트워크 구성시 노드의 통신영역내에 있는 노드를 검색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초기 노드 배치시 구성될 수 있는 가장 빠른 네트워크 연결 구조로 네트워크 트래픽의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 PDF

노드의 밀도를 이용한 상호 협력 위치 측정 시스템 (Cooperative Positioning System Using Density of Nodes)

  • 손철수;유남현;김원중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98-205
    • /
    • 2007
  • 유비쿼터스 환경에 있는 사용자는 현재 자신의 위치, 시간 그리고 주변의 상태에 기반한 상황 인식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 인식 컴퓨팅에서 위치 기반서비스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위치를 측정하기 위하여 전용 장비를 설치하고 운영하는 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기존의 WLAN(Wirless Local Area Netowork) 인프라스트럭처가 구축된 환경에서 무선 장비만을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이미 위치가 알려지고 고정된 AP(Access Point)와 노드간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만을 이용하는 비콘 기반의 위치 측정 시스템 보다 무선 장비들 간의 RSSI 까지도 이용하는 상호 협력 위치 측정 시스템(Cooperative Positioning System)은 정확성이 높기 때문에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호 협력 위치 측정 시스템 중의 하나인 기존의 WiPS(wireless LAM based indoor Positioning System)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웃하는 노드간의 영향 관계를 밝히고, 노드의 밀도에 따라 위치 수렴 조정 계수를 결정하여 성능을 개선한 WiCOPS-d(Wireless Cooperative Positioning System using node density)를 제안한다.

보로노이 다이어그램 기반 센서 노드 배치 (Voronoi diagram-based sensor node deployment)

  • 전승우;홍봉희;권준호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A)
    • /
    • pp.411-413
    • /
    • 2012
  • 생강, 양파와 같은 농산물은 재배지에서 우리 식탁에 놓일 때까지 신선도 유지를 위하여 저장고에 넣어 관리한다. 하지만, 현재 설치되어 사용 중에 있는 저장고는 내부에 온/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부착하고 측정함에도 불구하고, 농산물이 얼거나 부패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것은 저장고 내부 센서의 부착이 그만큼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는 것이다. 이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이용한 센서 배치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저장고 내부의 공간을 평면 분할하고, 분할된 공간에 센서 배치를 함으로서, 저장고 내부의 온도를 정확히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치된 센서 개수의 최소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이동 센서 네트워크에서 관심영역내의 균일한 분포와 이탈 방지를 위한 노드 배치알고리즘 (Node Deployment Algorithm for Uniform Distribution within Area of Interest in Mobile Sensor Networks)

  • 안효진;김유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255-1258
    • /
    • 2007
  • 이동센서 네트워크에서 관심영역 내로부터 최소의 노드 개수로 중복 없이 최대의 센싱 값을 얻기 위해서는 관심영역 내에 노드를 균일하게 그리고 이탈 없이 배치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 배치 알고리즘들은 관심영역 내 균일하지 못한 분포와 노드이탈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많은 에너지소모를 야기하는 부적절한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동 센서네트워크 환경에서 관심영역 내 노드를 균일하게 분포시키며 노드 이탈을 최소화하는 배치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관심영역에 대한 크기 정보를 바탕으로 노드가 이동하여 배치할 수 있는 방향을 여섯 방향으로 분할하여 각 단일 방향영역 파티션에 따라 배치에 필요한 최소 노드의 개수를 예측한다. 각 방향에 대한 파티션별 노드 집단들은 독립적으로 동시에 배치된다. 본 알고리즘은 중심 루트노드를 기준으로 시작하여 각 여섯 방향에 대하여 노드의 수를 미리 예측하고 배치되기 때문에 노드의 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균일한 배치뿐만 아니라 배치시간 및 이동거리 단축시킬 수 있는 에너지 효율적인 배치알고리즘의 특성을 갖는다.

  • PDF

WiSeMote: a novel high fidelity wireless sensor network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 Hoover, Davis P.;Bilbao, Argenis;Rice, Jennifer A.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10권3호
    • /
    • pp.271-298
    • /
    • 2012
  • Researchers have made significant progress in recent years towards realizing effective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HM) utilizing wireless smart sensor networks (WSSNs). These efforts have focused on improving the performance and robustness of such networks to achieve high quality data acquisition and distributed, in-network processing. One of the primary challenges still facing the use of smart sensors for long-term monitoring deployments is their limited power resources. Periodically accessing the sensor nodes to change batteries is not feasible or economical in many deployment cases. While energy harvesting techniques show promise for prolonging unattended network life, low power design and operation are still critically important. This research presents the WiSeMote: a new, fully integrated ultra-low power wireless smart sensor node and a flexible base station, both designed for long-term SHM deployment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ensor nodes and base station has been minimized through careful hardware selec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power-aware network software, without sacrificing flexibility and functionality.

Probabilistic Support Vector Machine Localiz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Samadian, Reza;Noorhosseini, Seyed Majid
    • ETRI Journal
    • /
    • 제33권6호
    • /
    • pp.924-934
    • /
    • 2011
  • Sensor networks play an important role in making the dream of ubiquitous computing a reality. With a variety of applications, sensor networks have the potential to influence everyone's life in the near future. However, there are a number of issues in deployment and exploitation of these networks that must be dealt with for sensor network applications to realize such potential. Localization of the sensor nodes,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paper, is one of the basic problems that must be solved for sensor networks to be effectively used. This paper proposes a probabilistic support vector machine (SVM)-based method to gain a fairly accurate localization of sensor nodes. As opposed to many existing methods, our method assumes almost no extra equipment on the sensor nodes. Our experiments demonstrate that the probabilistic SVM method (PSVM) provides a significant improvement over existing localization methods, particularly in sparse networks and rough environments. In addition, a post processing step for PSVM, called attractive/repulsive potential field localization, is proposed, which provides even more improvement on the accuracy of the sensor node locations.

센서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안전한 데이터 전송 기법 (A Secure Data Transmission Mechanism for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 도인실;채기준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4C권5호
    • /
    • pp.403-410
    • /
    • 2007
  • 효율적인 센서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보안을 제공하는 라우팅 메커니즘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안전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위해 센서 네트워크 필드를 육각형의 클러스터로 사전에 나누고 가우시안 분포에 따라 각 클러스터에 노드를 배치한 다음 각 클러스터의 클러스터헤드와 게이트웨이 노드를 통해 센서 노드가 감지한 정보를 클러스터헤드론 통해 모아서 보안 정보와 함께 베이스 스테이션에 전달하는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제안 메커니즘은 전체적인 오버헤드를 효과적으로 줄이면서 효율성을 보장할 뿐 아니라 다양한 라우팅 공격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다.

Mobility Management Survey for Home-eNB Based 3GPP LTE Systems

  • Kwak, Hyoung-Won;Lee, Poong-Up;Kim, Yo-Han;Saxena, Navrati;Shin, Ji-Tae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4권4호
    • /
    • pp.145-152
    • /
    • 2008
  • The specification of the Home Evolved NodeB (Home-eNB), which is a small base station designed for use in residential or small business environment, is currently ongoing in 3GPP LTE (Long Term Evolution) systems. One of the key requirements for its feasibility in the LTE system is the mobility management in the deployment of the numerous Home-eNBs and other 3GPP network. In this paper, we overview the characteristic of Home-eNB and also describe the mobility management issues and the related approaches in 3GPP LTE based Home-eNB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