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ogenous constituents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38초

한국 근해산 주요 게 종류의 함질소엑스분에 관한 연구 (Nitrogenous Constituents in the Extract of Crabs caught in the Korean adjacent Sea)

  • 한영실;이동수;김순임;변재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69-480
    • /
    • 1996
  • 한국 연근해산 대표적 인 3종 게(대게, 털게, 꽃게)의 육과 장기가 함유하는 함질소 엑스분의 분포를 성별, 부위조직별(몸통살, 다리살, 내장)과 생시료 및 열수추 출시료로 구분하여 분석하고,그 조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3종의 게는 모두 육중에 함질소 엑스분을 약 3%이 상으로 함유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의 분포를 보면, 대게의 육에는 arginine, proline, glycine을, 털게와 꽃게 의 육에는 공통적으로 arginine, taurine, glycine을 많이 함유하였으며, 종류에 따라 그 조성에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3종 게의 내장에는 arginine과 taurine을 많은 비율로 함유하였다. 유리아미노산과 유기 염기류의 양은 자숙하므로써 많은 증가를 보였으나, nucleotides는 그 양이 감소하였다. 유기 염기류 중 slycine betaine과trimethylaminoxide의 양은 조직별로 총 함질소 엑스분에 대하여 평균 30%이상의 많은 양을 함유하는 것이 특기할 점이었다. 본 연구에서 다룬 3종 게의 맛에 영향을 미치는 주 요 함질소 엑스성분은 육과 내장에 많은 양으로 분포하는 arginine, proline, glycine, taurine 등의 유리아미 노산과 glycine betaine과 trimethylaminoxide 등의 유기 염기류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Comparison of Extractive Nitrogenous Constituents between the Diploid and the Triploid of Oyster Crassostrea gigas Whole Body

  • Park Choon-Kyu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권2호
    • /
    • pp.135-141
    • /
    • 1999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mposition of extractive nitrogenous components in the diploid and the triploid oysters, Crassostrea gigas, cultured at the south coast of Korea, the whole edible part (whole body) was analyzed into extractive nitrogen, free amino acids, oligopeptides, ATP and its related compounds, quaternary ammonium bases, and guanidino compounds using specimens collected from April to May of 1992. The major free amino acids in the diploid and the triploid were taurine, proline, alanine, glycine, glutamic acid hypotaurine, glutamine, arginine, aspartic acid, and $\beta-alanine$. There was no conspicuous difference in the constituents of free amino acids between the diploid and the triploid. A lot of hypotaurine was detected in the diploid and the triploid of oyster and the contents of them were 107 mg and 123 mg/100g, respectively. The compounds, glycinebetaine, homarine and trigonelline were found in both the diploid and the triploid. Among them, glycinebetaine was the most prominent in all the samples. The amount of protein, glycogen, extractive nitrogen, oligopeptides, ATP and its related compounds, and free amino acids in the triploid was higher than that of the diploid (p<0.10)

  • PDF

EFFECTS OF UREA NITROGEN ON THE METABOLISM OF PLANTS (1) Studies on Nitrogen Absorption and Metabolism in Sunflower Leavessprayed with Urea Solution

  • KIM, Joon Ho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4권2호
    • /
    • pp.51-61
    • /
    • 1961
  • In order to detect the way of absorption and metaboism of the urea it is sprayed on the surface of the leaves of sunflower. The sunflowers used in this study are grown in different conditions such that the one in nittogen aboundant and the other in nitrogen deficient soil, respectively. The urea-N, ammonia-N, amide-N, and 80% alcohol soluble-N in the leaves were quantitatively determined. All of the nitrogenous components measured are generally tended to increased with rising the concentration of urea except only amide-N at 24 hours after sprayed, and these were highly significances. It seemed that hydrolizing of urea into ammonia and carbon dixide and the assimilation of ammonia into other organic nitrogenous constituents were rapid in the young leaves than in the mature. It is interest that the amide content, in the young leaves and nitrogen defieient one were enhanced with the increasing concentration of urea, although in the mature leaves it did not show any change in the urea treatment. It is presumed that the assimilation rate of ammonia and the urease activity were lower in the matture leaves than in the young and nitrogen deficient leaves. No significance at 5% level showed all of the nitrogenous components except total nitrogen between nitrogen abundant and deficent leaves. Urea content was a high peak at first 12 hours, ammonia at 48 hours, and amide and alcohol soluble nitrogen at 96 hours, whence decrease4d the content of these constituents gradually. The total nitrogen content is not incrased obviously by only one time of urea spray in this study. When the concentration of urea was relatively high there appeared the wilting spots on t도 edge of leaves. As a whole, it seemed that sprayed urea was rapidly absorbed and taken part in nitrogen metabolism within relatively short period.

  • PDF

토하(土蝦) 및 젓새우의 함질소(含窒素) 엑스성분(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Extractive Nitrogenous Constituents of Toha (Caridina denticulata denticulata, Freshwater Shrimp) and Jeotsaeu (Acetes japonicus , Seawater Shrimp))

  • 박춘규;박정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111-1118
    • /
    • 1996
  • 본 연구는 토하(Caridina denticulata denticulata)의 식품학적인 우수성을 밝히기 위하여 식품성분 중 맛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함질소 엑스성분을 상세히 분석한 후 그 성분조정을 파악하는 한편, 이와 비교하기 위하여 바다에서 어획되는 젓새우(Acetes japonicus)에 대해서도 동일한 이화학 성분들을 분석하여 그 성분 차이를 검토함으로써 토하에 대한 맛의 특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토하는 1994년 12월부터 1995년 11월 사이에 전남 나주군에서 양식된 것을, 그리고 젓새우는 1994년 12월과 1995년 11월 전남 신안군에서 어획된 것을 시료로하여 엑스분질소, 유리아미노산, oligopeptide류, 핵산관련물질, betaine류, 4급 암모늄염기, 구아니시노화합물 등을 분석하였다. 토하는 젓새우보다 엑스분질소, 유리아미노산, oligopeptide류, 핵산관련물질의 함량이 높은 편이었고, 젓새우는 토하보다 homarine, trimethylamine oxide, trimethylamine이 높은 편이었으며, creatine과 creatinine은 토하와 젓새우에서 미량으로서 큰 차이가 없었다. 토하의 중요한 유리아미노산으로는 arginine, lysine, glutamine, glutamic acid, pheylalanine, leucine, alanine, asparagine, glycine 등이었고, 젓새우의 중요한 유리아미노산은 arginine, glutamic acid, proline, glutamine, lysine, leucine, glycine, alanine, taurine 등이었다. 그리고 methionine, glutamine, valine 등은 토하와 젓새우에서 그 함량이 같은 수준이었다. 토하에서 가장 함량이 많은 핵산관련물질은 AMP였으며, 젓새우에서는 inosine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토하는 맛을 나타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대부분의 함질소 엑스성분들의 함량이 젓새우보다 높았기 때문에 식품학적으로 더 우수한 가공원료라고 판단되었다.

  • PDF

Compositions of Extractive Nitrogenous Constituents and Their Monthly Variation for Fresh Capsosiphon fulvescens

  • Jung, Kyoo-Jin;Park, Jung-Nim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5권2호
    • /
    • pp.120-129
    • /
    • 2010
  • To elucidate the composition of extractive nitrogenous components in the fresh Capsosiphons fulvescens cultured off the southern coast of Korea, and to determine the monthly variation of these nitrogenous components, extract samples collected monthly from December to March at Jangheung-gun, Jeonnam Province were analyzed for total nitrogen, free and combined amino acids, ATP and related compounds, betaines, trimethylamine oxide (TMAO) and trimethylamine (TMA). The content of extractive nitrogen was 1,090~1,233 mg/100 g on dry basis. The number of 21~25 ninhydrin-positive substances was detected in the analysis of free amino acids, and their total amount was 3,710~4,788 mg/100 g on dry basis. Among them, free proline, asparagine, glutamic acid, alanine, taurine and glutamine were found to be abundant. The combined amino acids amounted to 1,573~2,121 mg/100 g in total and the total amount of ATP and related compound was 33.8~84.0 mg/100 g ($1.06{\sim}2.46\;{\mu}mol/g$) on dry basis. Betaine, glycinebetaine, $\beta$-alaninebetaine, $\gamma$-butyrobetaine, homarine and trigonelline were detected in most of samples. Levels of free and combined amino acids, ATP and related compounds fluctuated from sample to sample, with their contents higher in December and January and lower in March.

시판(市販) 토하(土蝦)젓의 함질소(含窒素) 엑스성분(成分) 조성(組成) 및 품질지표(品質指標)에 관(關)한 연구(硏究) (Extractive Nitrogenous Constituents in Commercial Tohajeot, a Salted and Fermented Freshwater Shrimp (Caridina denticulata denticulata), and their Quality Index)

  • 박춘규;박정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30-239
    • /
    • 1997
  • 본 연구는 시판되고 있는 일반토하젓과 양념토하젓의 맛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함질소엑스성분 조성을 분석하여 품질실태를 파악하는 한편 품질개선과 품질지표에 관한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시료로 사용한 일반토하젓 2종과 양념토하젓 4종의 엑스성분을 추출하여 엑스분질소, 유리아미노산, oligopeptide류, 핵산관련물질, betaine류, 4급암모늄염기, 구아니시노화합물 등을 분석하였다. 일반토하젓의 염분함량은 $23.6{\sim}25.1%$로서 저염화에 의한 품질개선이 필요하며, 양념토하젓에서는 $8.4{\sim}11.4%$로서 일반토하젓과는 차이가 많았다. 일반토하젓의 엑스분질소 함량은 고형물과 액즙에서 각각 $503{\sim}531\;mg$$311{\sim}493\;mg$이었으며, 양념토하젓은 $256{\sim}429\;mg$으로서 일반토하젓의 72.6% 수준이었다. 일반토하젓에서는 23종의 유리아미노산이 검출되었고 그 총량은 $1,159{\sim}2,584\;mg$으로서 바다새우젓의 $1,509{\sim}2,131\;mg$보다 높았다. 시판되고 있는 일반토하젓의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토하원료에서와 유사한 수준으로서 함량증가가 미약하였다. 일반토하젓에서 함량이 많은 유리아미노산으로서는 glutamic acid, leucine, lysine, histidine, alanine, ornithine, tyrosine 등이었다. 양념토하젓에서는 34종의 유리아미노산이 검출되어 일반토하젓에서 보다 다양한 조성을 갖고 있었으나 그 총량은 $1,012{\sim}1,672\;mg$으로서 일반토하젓의 70% 수준이었다. 양념토하젓에서 함량이 많은 유리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 lysine, arginine, aspartic acid, histidine, leucine, alanine 등으로서 일반토하젓에서의 조성과 상이하였다. 양념토하젓은 glutamic acid를 제외한 대부분의 유리아미노산이 일반토하젓에서보다 낮았다. 일반토하젓과 양념토하젓의 핵산관련물질함량은 각각 $2.64{\sim}4.82\;{\mu}mol$$1.08{\sim}1.93\;{\mu}mol$로서 제품에 따른 차이가 많았다. 일반토하젓에서는 homarine이 $18{\sim}86\;mg$ 검출되었으나 바다새우젓의 30.7%였고 trigonelline은 비슷한 수준이었다. 양념토하젓은 homarine이 흔적${\sim}39\;mg$, trigonelline $0{\sim}5\;mg$으로서 일반토하젓보다 낮았다. 일반토하젓과 양념토하젓의 TMAO와 TMA 함량은 미량으로서 바다새우젓의 20.9%와 27.7% 수준이었다. 일반토하젓과 양념토하젓에서 분석된 각성분들에 대한 질소분포는 모두 유리아미노산이 가장 중요한 함질소성분으로서 평균 65.7%와 60.8%였고, 다음은 oligopeptide류로서 17.8%와 16.6%였다. 핵산관련물질은 3.9%와 2.2%, betaine류는 1.1%와 0.4%, TMAO와 TMA는 1.2%와 1.8%, 그리고 creatine은 0.4%와 9.6%로서 엑스분질소의 회수율은 90.3%와 91.2%였다. 이상에서 분석된 토하젓의 엑스분질소와 함질소 엑스성분들을 상관분석한 결과 엑스분 질소, betaine 총량, 유리아미노산 총량 및 유리아미노산의 일종인 phenylalanine 이 토하젓의 품질지표로 활용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개불의 함질소 엑스성분 (Extractive Nitrogenous constituents of Echiuroid Urechis unichinctus)

  • 박춘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3-19
    • /
    • 1999
  • 신선한 개불 U. unicinctus의 맛 성분 조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1988년 4월 어시장에서 살아있는 시료를 구입하여 체중에 따라 중형과 대형으로 나누고 가식부의 엑스분질소, 유리아미노산, oligopeptide류, 핵산관련물질, betaine류, TMAO, TMA, creatine 및 creatinine 등 함 질소 엑스성분을 분석하였다. 엑스분질소는 $601{\sim}610\;mg100g$이었고, 유리아미노산은 32종이 검출되었으며 총량은 $2,437{\sim}2,609mg/100g$이었다. 함량이 많고 중요한 유리아미노산으로는 glycine, alanine, taurine, serine 등이었다. Oligopeptide에서 유래한 아미노산은 유리아미노산 총량의 $28.6{\sim}30.4%$ 수준이었다. 핵산관련물질로서 ATP 관련물질 총량은 $3.04{\sim}3.12\;{\mu}mol/g$이었으며 그 중 AMP가 $87.2{\sim}89.4%$로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개불 중에는 adenine nucleotides 이외에도 GTP, UTP, CTP 관련물질 등 11종의 핵산성분이 검출되었으며 그 총량도 ATP 관련물질에 버금가는 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Betaine류로서는 Homarine과 trigonelline이 미량검출되었다. 그리고, TMAO, TMA, creatine도 함량이 낮았다. 개불 엑스분 중의 질소분포 특징은 glycine함량이 $1,075{\sim}1,171\;mg$에 달하여 단일 성분으로 유리아미노산 총량의 $50.6{\sim}51.6%$, 그리고 엑스분질소의 $33.4{\sim}35.9%$를 차지하여 단맛의 중요한 성분으로 판단되었다. 분석된 성분에 의한 엑스분질소의 회수율은 $92.3{\sim}96.4%$ 범위였다. 체중에 따른 맛 성분의 차이는 발견 할 수 없었다.

  • PDF

시판 수산조미건제품의 함질소 엑스성분 조성 (Extractive Nitrogenous Constituents in the Commercial Marine Seasoned-dried Products and Seasoned-dried and Roasted Products)

  • 박춘규;박정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70-379
    • /
    • 2002
  • 수산 조미건제품의 함질소 엑스성분 조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판되고 있는 일반꽃포류 4종과 구운꽃포류 5종을 구입하여 맛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엑스분질소, 유리아미노산, 결합아미노산, ATP관련화합물, 4급암모늄염기, guanidino화합물 등을 분석하였다. 일반꽃포류의 엑스분질소 함량은 $688{\sim}\;1,124mg/100g$(평균 900 mg)이었으며, 구운꽃포류에서는 $756{\sim}1,099\;mg/100g$(평균 897 mg)이었다. 일반꽃포류에서 유리아미노산은 $22{\sim}27$종이 분석되었으며, 그 총량은 $2,992{\sim}4,034\;mg$평균 3,739)이었고, 함량이 많은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taurine, arginine, proline, alanine, glycine, histidine 등이었다. 구운꽃포류에서는 $19{\sim}24$종의 유리아미노산이 검출되었으며, 그 총량은 $2,678{\sim}5,196\;mg/100g$(평균 3,933 mg)이었고, 함량이 많은 유리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taurine, proline, alanine, histidine, arginine, lysine 등으로 나타났다. 결합아미노산 총량은 일반 꽃포류와 구운꽃포류에서 각각 $662{\sim}2,248\;mg$$1,146{\sim}1,821\;mg/100g$으로서 $20.2{\sim}55.7%$(평균 34.5%)와 $22.1{\sim}68.0%$(평균 42.5%) 수준이었다. ATP관련화합물 총량은 일반 꽃포류와 구운꽃포류에서 각각 $3.69{\sim}7.37\;{\mu}mol/g$(평균 $5.23\;{\mu}mol/g$)과 $2.17{\sim}8.45\;{\mu}mol/g$(평균 $4.51\;{\mu}mol/g$) 범위였다. Betain류로서는 일반꽃포류 모든 제품에서 homarine이 검출되었고, 일부 제품에서 glycinebeatine과 trigonelline이 확인되었으나 미량이었다. 구운꽃포류 일부 제품에서 glycinebeatine, ${\beta}-alaninebetaine$, ${\gamma}-butyrobetaine$, homarine, trigoneline이 확인되었으나 미량이었다. TMAO는 일반꽃포류와 구운꽃포류에서 각각 $1{\sim}364\;mg/100g$$1{\sim}144\;mg$이었으며, TMA는 각각 $11{\sim}47\;mg$$7{\sim}56\;mg$으로서 제품에 따른 차이가 많았다. Creatine 함량은 일반꽃포류와 구운꽃포류에서 각각 $4{\sim}43\;mg$$18{\sim}74\;mg$이었다. t-검정 결과 일반꽃포류와 구운꽃포류 함량간에는 수분, glutamic acid, creatinine 등에서 유의차가 있었으나, 그 이외에 대부분의 성분간에는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RENAL REGULATION OF UREA EXCRETION DURING UREA INFUSION IN ACUTE HEAT EXPOSED BUFFALOES

  • Chaiyabutr, N.;Buranakarl, C.;Loypetjra, 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5권1호
    • /
    • pp.81-90
    • /
    • 1992
  • Five buffaloes kept in normal ambient temperature ($30^{\circ}C$)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heart rate, respiratory rate, packed cell volume, plasma constituents and renal hemodymics during intravenous infusion of urea for 4 h. The rate of urine flow, fractional urea excretion, urinary potassium excretion and osmolar clearance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the renal urea reabsorption markedly increased during urea infusion. The decrease of fractional potassium excretion was concomitant with the reduction of the rate of urine flow and urine pH. In animals exposed to heat ($40^{\circ}C$) the rectal temperature heart rate and respiratory rate significantly increased while no significant changes in GFR and ERPF were observed. An intravenous infusion of urea in heat exposed animals caused the reduction of the rate of urine flow with no changes in renal urea reabsorption, urine pH and fractional electrolyte excretions. During heat exposure, there were marked increases in concentrations of total plasma protein and plasma creatinine whereas plasma inorganic phosphorus concentr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It is concluded that an increase in renal urea reabsorption during urea infusion in buffaloes kept in normal ambient temperature depends on the rate of urine flow which affect by an osmotic diuretic effect of electrolytes. The limitation of renal urea reabsorption in heat stressed animals would be attributed to an increases in either plasma pool size of nitrogenous substance or body metabo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