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ogen balance

검색결과 460건 처리시간 0.035초

꽃사슴에 있어서 육림부산물 사일리지, 칡 사일리지 및 갈잎건초 급여에 따른 건물채식량, 소화율 및 질소출납의 비교 (Comparison of Dry Matter Intake, Digestibility, and Nitrogen Balance in Spotted Deer (Cervus nippon) fed Forest by-product Silage, Arrowroot (Pueraria thunvegiana) Silage and Oak Browse (Quercus aliena) Hay)

  • 전병태;김언현;이상무;김경훈;문상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87-94
    • /
    • 2002
  • 본 실험은 육림부산물 발효사료의 사슴용 사료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꽃사슴에게 육림부산물 사일리지(FBS), 칡 사일리지(ARS) 및 수입 갈잎건초(OLH)를 급여하여 건물채식량, 소화율 및 질소출납을 상호 비교하였다. 건물소화율은 ARS가 가장 높았고 OLH가 가장 낮아 처리구간에 유의성(P$<$0.05)이 인정되었다. 조단백질 소화율의 경우는 OLH구가 FBS와 ARS구에 비해 현저히 낮은(P$<$0.05) 소화율을 나타냈다. 조섬유 소화율의 경우는 FBS가 가장 높고 OLH가 가장 낮았다. 건물채식량은 OLH가 가장 높아 ARS와의 사이에는 유의성(P$<$0.05)이 인정되었으나 FBS와의 사이에는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체내에서 이용 가능한 가소화 건물채식량으로 환산했을 경우 차이가 거의 없었다. 체내에 축적된 질소와 섭취질소에 대한 축적질소의 비율은 처리구간에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나 FBS가 가장 높아 체내 질소의 이용효율이 가장 좋았던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과적으로 육림부산물 사일리지는 다양한 사료자원으로 구성되어 사슴의 기호성이 양호하고 높은 소화율과 건물채식량 및 영양소의 체내 이용성을 나타내고 있어 사슴용 사료로서 충분한 가치를 갖고 있는 사료자원으로 평가되었다.

시용질소양이 상엽중 이온 균형 및 엽위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Rate on the Ionic Balance and the Variance with Leaf Sequance in Mulberry (Morus alba L.) Leaves)

  • 이운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43-54
    • /
    • 1983
  • 하비의 질소시비량을 달리하였을 때 뽕나무의 생육, 수엽량, 이온함량의 변동과 엽위별 이동, 균형 등을 알기 위해 요소관행구(25kg/10a)와 요소 3배증시구(75kg/10a)를 설치하고 시험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1. 요소증시는 관행양에 비해 조장, 조중을 증가시켰으며, 정엽양은 9월20일경에 생물중으로 273.6kg/10a를 증가시켰다. 2. 뽕잎중의 수분함양은 8월30일까지 73%이상을 유지하였으나, 그 후 계속 감소되어 9월20일경에는 63%내외로 떨어졌다. 증시구에서는 관행구보다 0.1~1.8%정도 높았으며 10월10일경까지도 뽕잎이 연하였다. 3. 생육초기부터 계속 증가한 뽕잎의 건물중은 9월20일경에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지조의 무게는 9월 30일까지도 계속 증가하였다. 4. 엽중의 $Ca^{2+}$는 경시적으로 함양이 현저히 증가되었으나, $K^{+}$$Mg^{2+}$은 감소되었으며, $Ca^{2+}$은 증시구에서 현저히 높았다. 5. 각종 이온의 경시적인 엽위별 이동을 보면 8월30일경에 전질소 및 수분함량이 급격히 감소함에 따라 이동성이 불량한 $Ca^{2+}$와 Cl$^{-}$는 상부로, 양호한 $K^{+}$, H$_2$PO$^{-}$$_4$ 그리고 SO$^{2-}$ $_4$ 등은 하부로 점차 이동하였다. 6. 전질소의 함양은 8월30일 이전에 3,200me/kg DM에서 9월 초순 이후에는 2,000me/kg DM으로 현저히 감소하였다. 관행구는 9월12일에, 증시구는 9월22일에 최대함량부위가 아래 엽위로 떨어지면서 10일후에는 각각 선단의 생장점이 고사ㆍ탈락하였다. 7. ∑C는 생육초기에 1,400me/kg DM에서 점차 증가하여 1,600me/kg DM 내외를, ∑A는 400me/kg DM 내외를, (C-A)는 생육초기에는 1,000me/kg DM에서 증가하여 1,200me/kg DM 내외를 각각 유지하였다. 8. ∑C, ∑A, (C-A) 등은 관행구에서 보다 증시구에서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는데 이것은 증시구에서는Ca$^{2+}$의 함량이 현저히 높았으며, NO$^{-}$$_3$, SO$^{2-}$ $_4$, H$_2$PO$^{-}$$_4$ 등이 다소 높았기 때문이다.

  • PDF

주택 실내.외 이산화질소 측정을 이용한 환기량 및 발생량 추정 (Estimation of Ventilation and Generation Rates Using Nitrogen Dioxide Measurements of Indoor and Outdoor in Houses)

  • 양원호;임성국;손부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10호
    • /
    • pp.1069-1073
    • /
    • 2008
  • Indoor air quality can be affected by indoor sources, ventilation, decay and outdoor levels. Although technologies exist to measure these factors, direct measurements are often difficul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lternative method to characterize indoor environmental factors by multiple indoor and outdoor measurements. Using a mass balance model and regression analysis, penetration factor (ventilation rate divided by the sum of ventilation rate and deposition constant) and source strength factor (source strength divided by the sum of ventilation rate and deposition constant) were calculated using multiple indoor and outdoor measurements. Subsequently, the ventilation rate and $NO_2$ generation rate were estimated. Mean of ventilation rate was 1.41 ACH in houses, assuming a residential N02 deposition constant of 0.94 $hr^{-1}$. Mean generation rate of $NO_2$ was 16.5 ppbv/hr. According to house characterization, inside smoking and family number were higher $NO_2$ generation rates, and apartment was higher than single-family house. In conclusion, indoor environmental factors were effectively characterized by this method using multiple indoor and outdoor measurements.

STUDY ON THE UTILIZATION OF RICE STRAW BY SHEEP 1. THE EFFECT OF SOYBEAN MEAL SUPPLEMENTATION ON THE VOLUNTARY INTAKE OF RICE STRAW AND RUMINAL FERMENTATION

  • Warly, L.;Matsui, T.;Harumoto, T.;Fujihara, 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5권4호
    • /
    • pp.687-693
    • /
    • 1992
  •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ybean meal (SBM) supplementation on the voluntary intake of rice straw and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Balance trials were conducted with three Hapanese Corriedale wethers fed a rice straw alone (control), rice straw supplemented with 75 and 150 g of SBM/day in a $3{\times}3$ latin square design. Voluntary intake of rice straw in sheep fed both levels of SBM supplemented diets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at in sheep fed control diet. Crude protein digestibil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but organic matter, crude fibre, neutral detergent fibre and acid detergent fibre digestibilities were not affected by SBM supplementation. Nitrogen balance was positive in sheep on both levels of SBM supplemented diets, but negative in animals on the control diet. Rumen ammonia and blood urea-nitrogen concentrations increased (p<0.05) as increasing level of SBM. Total volatile fatty acids, acetate, propionate, butyrate and valerate concentrations in rumen fluid wer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p<0.01), but ruminal pH was decreased (p<0.05) by SBM supplementation.

Influence of Varying Level of Sodium Bicarbonate on Milk Yield and Its Composition in Early Lactating Nili Ravi Buffaloes

  • Sarwar, M.;Shahzad, M. Aasif;Nisa, Marhr-u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12호
    • /
    • pp.1858-1864
    • /
    • 2007
  • Influence of varying level of sodium bicarbonate (SB) supplementation on milk yield and its composition was examined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in early lactating Nili Ravi buffaloes during summer. Four iso-nitrogenous and iso-caloric diets were formulated. The diet 0B contained 0 while LB, MB and HB diets contained 0.50, 1.0 and 1.50% SB levels, respectively. The diets were randomly allotted to twenty buffaloes, five in each group. A linear increase in nutrient and water intake was recorded with increasing SB level. Buffaloes fed MB and HB diets showed higher nitrogen balance than those fed 0B and LB diets. A significant increase in blood pH and serum bicarbonate was noticed with increasing SB level. Urine pH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ed SB level. A linear increase in milk yield was also noticed with increasing SB level. Milk fat% increased significantly in buffaloes fed MB and HB diets compared with those fed 0B and LB diets. Buffaloes fed HB diet had higher conception rate and less services per conception than those fed 0B diet. This study indicated that a high SB diet not only increased dry matter and water intake, milk yield, milk fat% but also increased conception rate in early lactating buffaloes during summer.

양수장 지구 광역논으로부터 영농기간 영양물질의 유출 및 물질수지 (Water and Nutrient Balance of Paddy Field Irrigated from a Pumping Station during Cropping Period)

  • 윤광식;한국헌;조재영;최창현;손재권;최진규
    • 농촌계획
    • /
    • 제8권1호
    • /
    • pp.15-25
    • /
    • 2002
  •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water balance and losses of nutrients from paddy fields during cropping period. The size of paddy fields was 95 ha and the fields were irrigated from a pumping station. The runoff loading was the highest in June because of the high concentrations of nutrients due to applied fertilizer, When the runoff Bosses of nutrients were compared to applied chemical fertilizer, it was found that 39.1 % to 42.5 % of nitrogen lost via runoff while runoff losses of phosphorus account for 14.5 % to 17 % of the total applied amount during cropping period. When the ratio was calculated between nutrients losses by infiltration and the applied of chemical fertilizer, two year results showed 9.1% to 10.8% for nitrogen and 0.5% for phosphorus, respectively.

꽃사슴에 있어서 육림부산물 발효사료의 체내이용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nternal Availability of Forest by-product Silage in Spotted deer (Cervus nippon))

  • 문상호;김명화;이상무;전병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69-176
    • /
    • 2002
  • 육림지에서 생산되는 육림부산물 전체 혼합 물과 개별 수엽류의 사슴용 사료화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육림부산물 혼합 사일리지, 칡사일리지, 졸참나무 사일리지 및 갈참나무 사일리지를 급여한 꽃사슴에 있어서 건물 채식량,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출납을 비교하였다. 건물섭취량은 WOS가 가장 높았고 ARS가 가장 낮았으나, 그 차이에 대한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가소화 건물섭취량의 경우는 건물 소화율이 높았던 FBS와 ARS가 건물소화율이 낮은 BOS와 WOS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p>0.05). 건물소화율은 ARS가 가장 높았고 BOS가 가장 낮았으며(P<0.05), 조단백질 소화율도 건물소화율과 동일한 결과를 나타냈다. 조섬유 소화율은 FBS와 ARS가 BOS와 WOS에 비해 높았다(P>0.05). 실험사료별 일당증체량은 WOS가 나머지 세 처리구에 비해 약간 많았으나 모든 처리구가 거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P>0.05). 질소섭취량은 ARS가 가장 많았고 BOS가 가장 낮았으며(P<0.05), 분 중 질소의 배출량은 질소섭취량과는 반대로 BOS가 가장 많았고 ARS가 가장 적었다(P<0.05). 뇨 중질소의 배출량은 질소섭취량이 많았던 ARS가 가장 높았고 BOS가 가장 낮아 처리간에 유의성(P<0.05)이 인정되었다. 체내 축적된 질소의 양은 FBS가 많았고 BOS가 가장 적었다(P>0.05). 질소섭취량에 대한 체내 축적질소량의 비율은 처리간에 유의적 차이가 인정되지는 않았으나 FBS가 43.9%로 이용효율이 가장 높았고 BOS는 24.7%로 이용효율이 가장 낮았다. 이상에서 육림지에서 배출되는 부산물들은 높은 채식성과 체내이용성을 나타내어 사슴용 사료자원으로서 충분한 가치가 인정된다고 평가되었다.

Nutritional efficiency of feed restricted F1 Holstein/Zebu cows during the middle third of lactation

  • Santana, Pedro Felipe;Junior, Vicente Ribeiro Rocha;Ruas, Jose Reinaldo Mendes;Moncao, Flavio Pinto;Borges, Luana Alcantara;Sousa, Thais Eleonora Santos;Silva, Fredson Vieira e;Rabelo, Walber de Oliveira;Carvalho, Cinara da Cunha Siqueira;Sales, Eleuza Clarete Junqueira de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2호
    • /
    • pp.236-244
    • /
    • 2020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quantitative feed restriction on nutrient intake and digestibility, nitrogen balance, efficiency and feeding behavior, and productive performance in F1 Holstein/Zebu cows during the middle third of their lactation. Methods: Sixty F1 Holstein/Zebu cows with 111.5±11.75 days of lactation and an initial body weight (BW) of 499±30 kg (mean±standard error of the mean) were used. The experimental design was completely randomized with the following diet levels of feed restriction: 3.39%, 2.75%, 2.50%, 2.25%, and 2.00% of BW, with 12 replications for each level. The experiment lasted for 63 days, of which each period lasted 21 days with the first 16 days for diet adaptation followed by 5 days for collection of data and samples. Results: For each 1% of BW diet restriction, there was a decrease in dry matter intake of 5.26 kg/d (p<0.01). There was no difference in daily milk production (p = 0.09) under the restriction levels of 3.39% to 2.0% of BW. When corrected for 3.5% fat, milk production declined (p = 0.05) 3.46 kg/d for each percentage unit of feed restriction. Conclusion: Restricting the feed supply for F1 Holstein/Zebu cows in the middle third of their lactation period altered nutrient intake, nitrogen balance and ingestive behavior but did not affect milk production or feed efficiency. However, considering the observed BW loss and decrease in milk production corrected for 3.5% fat, restriction of no less than 2.5% BW is recommended.

벼농사에서 질소유출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평가 (Assessment of Nitrogen Impaction on Watershed by Rice Cultivation)

  • 노기안;김민경;이병모;이남종;서명철;고문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70-279
    • /
    • 2005
  • 벼농사에 의한 질소가 하천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공급 질소의 유입량과 유출 및 이용되는 양은 동일하다는 질소 balance 개념 평가기법을 개발하였다. 유입량과 유출량 결정에 영향을 주는 시비량, 관개수 수질, 관개량과 물이용 수지, 토양유기물 함량, 토양질소공급량, 유기물 시용여부, 이앙방법, 물관리 방법, 수확량, 암모니아 휘산 및 탈질량, 토양잔류량 등 관련요인들과 요인상호간의 관계를 자료 분석, 현지포장 및 실내실험을 통해 지수화하였으며 사용된 지수들을 종합하여 벼농사의 수질영향평가법으로 제시하였다. 질소의 총 공급량에서 대기유출, 작물이용, 토양 잔류 부분을 제외한 차이를 벼농사에서 질소의 잠재유출량으로 산정하여 벼농사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으로 평가하였으며, 개발된 방법으로 평가한 우리나라의 평균적인 환경 및 재배 조건에서 벼농사는 수계를 통한 질소의 유입량과 유출량이 거의 균형을 이루어 주변수질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하지만 관개수중의 질소농도가 1.0 mg $L^{-1}$ 이하로 깨끗한 지역에서의 벼농사는 수질의 오염원으로 작용하였으며, 관개수중의 질소농도가 2.0 mg $L^{-1}$이고 시비량이 110 kg $ha^{-1}$인 조건에서는 간단관개를 할 경우는 벼농사는 수질을 정화하는 기능이 있었으나 반대로 상시담수를 할 경우는 오염원으로 작용하였다. 질소농도가 3.0 mg $L^{-1}$인 경우는 시비량 110 kg $ha^{-1}$의 조건에서는 벼농사는 수질정화의 기능이 있었지만 시비량이 120 kg $ha^{-1}$로 증가하면 오염원으로 작용하였으며, 관개수중의 질소농도가 6.0 mg $L^{-1}$ 이상으로 비교적 오염된 지역에서는 시비량 120 kg $ha^{-1}$ 까지도 벼농사는 수질을 정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하지만 이 같은 평가 방법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자료보완과, 요인분석의 세분화를 통해 더욱 정밀한 평가가 가능하도록 추가적인 연구가 추진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인삼품질에 있어 체형과 화합물과의 관계 (Shape and Compound Relationship in Ginseng Quality)

  • 박훈;이미경;조병구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88년도 학술대회지
    • /
    • pp.133-138
    • /
    • 1988
  • 인삼품질에 대한 전통개념을 역사적 경험, 전통적 품질관리방법 및 분석적 방법과 관련하여 조사하였다. 전통개념은 생명과 우주가 하나라는 한국의 기본사상에 근거한 것으로 보인다. 전통품질관리법에서 모양과 크기는 특정한 조직, 세포 및 세포내의 생리적 활성물질을 규정하기 때문에 전통품질관리법은 분석방법이 활성물질을 찾아가는 지도가 될 것이다. 전통법은 생물활성 물질간의 균형이 한 물질의 함량보다 중요하며 인체의 항샹성을 위한 활성물질의 작용양식도 여러 화합물, 여러 목표체계인 것으로 보인다. 인삼이 클 수록 중심부가 더 빨리 크고 중심부에는 질소화합물이 많기 때문에 전통법은 질소 화합물 특히, 수용성 단백질과 열안정단백질들이 활성물질의 균형에 있어 중요함을 강력히 시사한다. 생물활성물질의 균형은 삼속의 종간 사용방법의 차이와 의미있게 관계를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