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ite scavenging effect

검색결과 254건 처리시간 0.031초

추출방법과 감마선 조사에 따른 귤피 추출물 생리활성의 변화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itrus Peel Extracts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and Gamma Irradiation)

  • 강호진;조철훈;김덕진;서재수;변명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88-393
    • /
    • 2003
  • 가공 과정에서 대량 발생하는 폐기물 중 하나인 귤피를 천연 기능성 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추출방법을 달리한 귤피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감마선 조사에 의한 귤피 추출물의 생리활성 변화에 관하여도 관찰하였다. 정치추출의 경우 열수추출에 비해 초기 L$^{*}$ 값이 낮은 반면 a$^{*}$ 값과 b$^{*}$ 값이 높았으나 저장기간 또는 감마선 조사에 의해 차이가 없어졌으며, 감마선 조사선량의 증가에 따라 귤피추출액의 L$^{*}$ 값과 a$^{*}$ 값은 증가하였으며, b$^{*}$ 값은 감소하였다. 전자공여능, tyrosinase 저해효과, nitrite 소거능은 감마선 조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저장기간동안 이러한 생리활성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추출방법(열수 vs 정치)에 따른 귤피 추출물의 생리활성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감마선 조사는 천연물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경제적인 추출방법을 선택한다면 감귤가공후 폐자원인 귤피를 다양한 용도의 기능성 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치자 추출물이 돈육 패티의 아질산염 잔류량과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Residual Nitrite Content and Storage Properties of Pork Patties Added with Gardenia Fructus Extract)

  • 전미란;최성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41-747
    • /
    • 2011
  • 예로부터 옷감의 염료 및 식용색소로 사용되어 온 치자는 혈당 저하, 항 종양, 항 혈전, 혈관신생 억제, 항산화, 항균 등 다양한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치자의 아질산염 소거 작용이나 육제품에의 이용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치자의 아질산염 대체 효과와 항균활성 등 기능성을 살펴보아 치자의 다양한 생리 기능성이 부여된 건강 지향적 육제품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아질산염(50, 100, 150 ppm)과 치자 추출물(0, 0.25, 0.5%)의 첨가량에 따른 돈육 패티의 물리 화학적 품질특성을 평가하고 아질산염 잔류량과 저장성을 살펴보았다. 패티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치자 추출물의 첨가에 따라 명도(CIE $L^*$)와 적색도(CIE $a^*$)가 감소되는 반면 황색도(CIE $b^*$)가 증가하였다. 돈육 패티를 가열한 결과 치자추출물이 첨가되지 않은 control 군에서는 아질산 첨가량이 많을수록 가열감량이 작았으나, 치자 추출물 첨가에 의한 가열감량의 변화는 명확히 관찰되지 않았다. $4^{\circ}C$에서 6주간 저장 후 패티의 pH, TBARS 및 VBN을 살펴본 결과 치자 추출물 첨가량이 많을수록 pH가 낮은 경향이었으나, TBARS와 VBN은 변화가 없었다. 돈육 패티의 아질산염 잔류량은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으며, 치자 추출물 첨가량이 많을수록 잔류량이 낮았다. 저장 중 미생물 오염을 살펴본 결과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일반세균은 치자 추출물 첨가에 따라 감소하여 항균 작용을 위한 아질산염 사용의 대체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돈육 패티 제조 시 치자 추출물의 첨가는 아질산염 잔류량을 감소시킴과 함께 저장시 항균성을 증가시켜 건강 향상 기능성 천연 소재로서 치자의 이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시설재배 오이의 품종별, 생육단계별 항산화능 비교 (Comparison of the Antioxidative Abilities of Greenhouse-Grown Cucumber According to Cultivars and Growth Stages)

  • 양승렬;김홍기;이숙재;차원미;안철현;부희옥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48-556
    • /
    • 2013
  • 시설오이로 많이 재배되고 있는 4 품종을 선발하여 생육단계별로 DPPH radical 소거활성, 아질산염 소거활성, ABTS 소거활성 그리고 항산화효소 활성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장죽청장 품종이 모든 생육단계에서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 품종들 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또한 생육단계별로는 수확기에 못 미친 미성숙단계에서 DPPH radical 소거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pH가 1.2일 경우 모든 품종과 생육단계에서 40% 이상 분해시켰으며, 특히 장형낙합과 신조은백다다기 품종이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pH 4.0에서는 추출물 모두에서 30% 이상의 아질산염 소거활성을 나타냈으며, pH 6.0에서는 대부분 활성이 없었다. ABTS 소거활성은 장죽청장과 늘푸른 청장 품종이 다른 품종보다 상대적으로 다소 높은 소거능을 나타냈고, 생육단계별로는 대부분의 품종에서 ABTS 소거능에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SOD 활성은 모든 품종과 전 생육단계에서 95% 이상의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품종 간에 거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CAT 활성은 전체적으로 장죽청장과 늘푸른청장 품종이 그리고 APX 활성은 늘푸른청장, 장형낙합 품종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고, POX 활성은 생육단계별로 뚜렷한 경향을 보여 수확기에 이를수록 활성이 현저히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본 실험의 결과, 오이의 높은 항산화능을 확인함으로서 향후 향장소재 및 식품소재로서의 이용 가치성을 증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Drying Condition Affects Total 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Hizikia fusiformis

  • Lee, Jin-Man;Kang, Bok-Hee;Kim, Yoo-Kyeo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5권3호
    • /
    • pp.244-247
    • /
    • 201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rying methods on the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Hizikia fusiformis. The seaweed was dried using four different conditions: vacuum drying (VD) at $20^{\circ}C$ and $30^{\circ}C$ and hot-air drying (HD) at $40^{\circ}C$ and $60^{\circ}C$. After drying, the total phenol content, DPPH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water extracts were determined. The total phenol content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the vacuum dried samples than the hot-air dried samples. DPPH radical was scavenged 82.67% and 83.45% by VD-20 and VD-30, and 70.44% and 71.23% by HD-40 and HD-60, respectively. At pH 1.2, Hizikia fusiformis scavenged 87.43%, 88.45%, 72.14% and 73.45% of nitrite by the treatment VD-20, VD-30, HD-40 and HD-60, respectively. Interestingly, the nitrite scavenging activity was much more reduced at pH 3.0 than at pH 1.2. Through these experiments, we were able to show that the drying conditions affect the total 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capacities of Hizikia fusiformis.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the Biological Activities and Color Changes of Ethanol Extracts Lonicera japonica

  • Jeon, Tae-Woog;Cheorun Jo;Shin, Myung-Gon;Cha, Bo-Sook;Kim, Mi-Jung;Byun, Myung-Wo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1호
    • /
    • pp.85-88
    • /
    • 2003
  • Effects of irradiation on color removal, tyrosinase inhibition, xanthine oxidase inhibition and nitrite scavenging capacity of Lonicera japonica extracts were evaluated. Lonicera japonica extracts were irradiated at 10, 20, and 30 kGy. Hunter color $L^{*}$- and $a^{*}$-values increased but $b^{*}$-values decreased dose-dependently following irradiation. The extracts were potent inhibitors of tyrosinase and xanthine oxidase. Tyrosinase inhibition was higher in the irradiated sample than non-irradiated, and subseque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irradiation doses. The extracts had a higher inhibitory effect against xanthine oxidase, and the effect was not changed by irradiation. Nitrite scavenging capacity was the highest in the extract at pH 1.2, and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irradi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amma irradiation may not influence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Lonicera japonica extracts when irradiated up to 30 kGy. Furthermore, color of the extracts can be improved to have improved applicability for the food and cosmetic industries without any adverse change in biological functions.ons.s.

미숙사과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성 (Antioxidant Properties of Unripened Apple Extracts)

  • 원향례;박미원;최무영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1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unripened apple extracts. The amount of total flavonoids in the peel and 5/30 samples were 2.7times and 5.0 times higher than the flesh and 6/30 samples, respectively. The degree of angintensin I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ion activity in hot water extracts was higher than the other extracts. In the 5/30 sample, a $0.1\%$ concentration of unripened apple powder showed almost the same electron-donating ability with a $0.5\%$ concentration of the 6/30 sample. More than $90\%$ of the electron-donating ability was observed from the peel extracts regardless of solvents used for extraction. The nitrite-scavenging effects of acetone and methanol extracts of the 5/30 sample were the strongest at pH 1.2, and especially the $80\%$ methanol extracts exhibited a powerful scavenging effect of more than $90\%$ at pH 3.0.

  • PDF

식물유래 천연색소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According to Each Kind of Natural Plant Pigments)

  • 부희옥;황성진;배춘식;박수현;송원섭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5-112
    • /
    • 2011
  • 선발된 13종의 천연색소 추출물에 대하여 free radical 소거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활성, 그리고 항산화효소 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천연색소 종류별 free radical 소거 활성을 보면 적양배추(red cabbage), 양파껍질(onion peel), 레드비트(redbeet), 흑미(black rice), 오디(mulberry) 색소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청치자(blue gardenia) 및 황치자(yellow gardenia), 완숙여주(mature bitter melon) 색소 등에서는 비교적 낮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아질산염에 대한 소거능을 조사한 결과, 반응용액 pH 1.2의 경우 양파껍질, 레드비트, 치자황, 지황(chinese foxglove), 치자청 색소에서 높은 소거 활성을 나타냈으며, 적양배추와 오디 색소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소거활성을 보였다. 그리고 반응용액 pH 6.0에서는 대부분의 색소 추출물에서 아질산염 소거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리고 항산화효소활성 결과를 보면, SOD 활성의 경우 여주, 흑미, 포도과피 등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냈고, 자색고구마, 지황에서도 비교적 높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APX 활성은 뽕잎, 오디, 지황의 순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CAT 활성도 APX 결과와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천연색소에 있어 항산화 효소의 종류에 따라 그 활성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니고 있는 천연식물색소에 대해 높은 항산화 기능성을 확인함으로서 향후 고부가가치의 향장소재 및 식품소재로서의 개발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닭 쓸개 methanol 추출물의 생리기능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hysiolog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Methanol Extract from Chicken Bile)

  • 이남혁;김현덕;양승용;성기승;한동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631-636
    • /
    • 2004
  • 닭 쓸개의 생리기능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TLC 및 HPLC를 이용하여 쓸개내 성분을 정성 및 정량 분석을 하였고, 항균활성,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및 ACE 저해능을 비교 검토하였다. TLC 및 HPLC에 의해서 분석한 결과 닭 쓸개의 담즙산 중에는 taurochenodeoxycholic acid와 taurocholic acid로 추정되는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이들의 함량은 taurochenodeoxycholic acid 가 5,893mg/100g, taurocholic acid는 385mg/100g이었다. 이들 추출물은 Bacillus cereus에 대하여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creus 및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해서도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Escherichia coli에 대해서는 항균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쓸개의 냉동 건조물 및 methanol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시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pH 1,2에서 측정한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있어서도 농도가 높을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methanol 추출물이 냉동 건조물 보다 높게 나타났다.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ACE) 저해 작용에서도 methanol 추출물과 냉동건조물 모두에서 나타났으며, 첨가량을 증가시켰을 때 methanol 추출물의 작용이 냉동건조물의 경우보다 상승폭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닭 쓸개는 항균활성, 전자공여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 그리고 ACE 저해능 등의 다양한 생리기능적 특성을 지니고 있어 기능성 식품 등의 소재로서의 활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oots Extracts from Calystegia japonica

  • Lee, Yang-Suk;Choi, Bok-Dong;Joo, Eun-Young;Kim, Nam-Woo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35-342
    • /
    • 2009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evaluate the contents of polyphenols and flavonoid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various extracts from Calystegia japonica roots for making good use of their functional materials. The roots of C. japonica were extracted with water (WE), ethanol (EE) and hot water (HWE) by different methods. Among these extracts, the highest extracting yield was 30.30% of HWE, while the highest contents of total polyphenols and flavonoids were 40.85% and 6.40% of WE, respectively.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were ranged from 31.31% (HWE) to 37.46% (EE) at pH 1.2 and 1.0 mg/ml concentration. In the measurements of electron donating abilities, EE showed the highest effect as 91.83% at 0.3 mg/ml assay concentration, and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was decreased as the extract concentration was increased. In the results of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HWE showed the highest effect as 7.15% at 1.0 mg/ml. The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ies of WE and EE were 15.28% and 14.97%, respectively. The xanthine oxidase inhibitory effects were ranged from 97.50 to 99.28% at 1.0 mg/m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 japonica extract has a good antioxidant effects and could be useful for developing functional products.

  • PDF

육두구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Functional Properties of Nutmeg)

  • 복진흥;죽전보지;안등공일;손종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1호통권97호
    • /
    • pp.33-40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nutmeg (water, ethanol extract and essential oil). The total phenol contents of water, ethanol extract and essential oil were 3.4%, 16.9%, and 3.2%, respectively. Hydrogen donating abilities of water, ethanol extract and essential oil at 1,000 ppm were 4.9%, 41.8% and 6.8%, respectively.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in linoleic acid substrates were in the order of BHT > ethanol > extract > ${\alpha}$-tocopherol > essential oil > water extract.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in linoleic acid emulsion substrates were in the order of BHT > water extract > essential oil > ethanol extract > ${\alpha}$-tocopherol. In antimicrobial activity, ethanol extract showed growth inhibition effect against Micrococcus luteus, Bacillus cereus and Salmonella enteritidis, and the essential oil showed growth inhibition effect against Micrococcus luteus. However, no antimicrobial activity of water extract was observed. The nitrite-scavenging abilities of water, ethanol extract and essential oil at 1,000 ppm were 4.5%, 28.8% and 98.8%, respectively, and the ACE inhibitory activities were 0.2%, 11.0% and 10.0%,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