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ile rubber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7초

Characteristics of Complex Foaming Composites' Normal Pressure Foaming of Using Rubber and Bio-Degradable Materials

  • Dong Hun Han;Young Min Kim;Dan Bi Lee;Kyu Hwan Lee;Han-Seong Kim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323-329
    • /
    • 2023
  • There are many types of foam molding methods.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s are the pressure foaming method, in which foam resin is mixed with a foaming agent at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and the normal pressure foaming method, which foams at high temperature without pressure. The polymer resins used for foaming have different viscosities. For foaming under normal pressure, they need to be designed and analyzed for optimal foaming conditions, to obtain resins with low melt-viscosity or a narrow optimal viscosity range. This study investigated how changes in viscosity, molding temperature, and cross-link foaming conditions affe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lded foam, prepared by blending rubber polymer with biodegradable resin. The morphologies of cross sections and the cell structures of the normal pressure foam were investigated by SEM analysis. Properties were also studied according to cross-link/foaming conditions and torque.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foaming characteristics was studied by analyzing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which are mechanical properties of foaming composites.

상용화제가 포함된 나일론 6/Poly(acrylonitrile-co-styrene-co-acrylic rubber) 블렌드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Nylon 6/Poly(acrylonitrile-co-styrene-co-acrylic rubber) Blends Containing Compatibilizer)

  • 김량욱;유선화;김창근
    • 폴리머
    • /
    • 제31권1호
    • /
    • pp.8-13
    • /
    • 2007
  • 나일론 6/poly(acrylonitrile-co-butadiene-co--styrene) (ABS) 블렌드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ABS의 고무상인 폴리부타디엔 대신 폴리(부틸 아크릴레이트)를 고무상으로 포함하고 있는 poly(acrylonitrile-co-styrene-co-acrylic rubber) (ASA)를 사용하여 새로운 나일론/ASA 블렌드를 실험하였다. 고충격성을 갖는 블렌드 제조를 위하여 상용화제로 무수 말레산을 25 wt% 포함한 poly(styrene-co-maleic anhydride) (SMA)와 이를 3 wt% 이하 포함한 poly(styrene-co-acrylonitrile-co-maleic anhydride) (SANMA)를 사용하여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나일론/ASA 블렌드에서 상용화제의 함량에 따른 물성 변화는 나일론/ABS 블렌드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블렌드 내의 고무 함량이 20 wt% 이상일 때 안정된 물성의 고충격 블렌드가 제조되었다. 블렌드를 사출 성형 온도에서 사출 성형기 내에 체류시킨 후 제조한 시편의 충격 강도를 시험한 결과 SMA를 상용화제로 사용한 경우 충격 강도의 감소가 관찰된 반면 SANMA를 상용화제로 사용한 블렌드에서는 충격 강도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고온전단분쇄기술을 이용한 재생/신재 니트릴고무(NBR) 블렌드물의 가황거동 및 물리적 특성 (Cure Behaviors and Physical Properties of Recycled/Virgin Nitrile Rubber (NBR) Blends by High Temperature Shear-Crushing Technique)

  • 박현호;김준형;이창섭;나성택
    • 공업화학
    • /
    • 제16권6호
    • /
    • pp.842-847
    • /
    • 2005
  • 니트릴고무(NBR) 신재와 작업현장에서 나온 스크랩을 고온 전단분쇄기술로 분말화한 재료(재생 NBR)를 다양한 혼합비로 블렌드물을 제조하고, 재생재료의 함량에 따른 블렌드물의 가황 거동, 물리적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열 및 각종 유체에 대한 각 블렌드물의 저항성을 물리적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신재 NBR에 고온 전단 분쇄기술로 제조한 재생NBR을 0~50 phr의 함량으로 블렌드하여 가황거동 및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가황 거동은 점도가 증가하고 스코치 시간은 감소하였으며, 내열 및 유체특성은 향상되었다.

LPG 충전노즐용 O-링과 패킹의 응력거동해석에 관한 연구 (Stress Behavior Analysis of O-rings and Packing for a LPG Filling Nozzle)

  • 김청균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22권1호
    • /
    • pp.20-25
    • /
    • 2006
  • The stress behavior analysis of a-rings and packing for a LPG filling unit has been presented using a finite element analysis technique by non-linear MSC/MARC program. The sealing performance and endurance of a-rings and packing are affected by working conditions such as filling pressure, friction coefficient, compression ratio, and material properties. The elastomeric polymers of O-rings and packing are nitrile butadiene rubber (NBR) and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which are selected as proper materials of a-rings and packing based on the stress analysis results. The calculated FEM results showed that the proper material of O-ring is NBR as a secondary sealing component and the recommended material of packing is PTFE as a primary sealing unit during a LPG filling process.

리튬이온 전지용 가스켓 고무의 특성에 미치는 충전제의 영향 (The Effect of Fillers on Rubber Characteristics for Gasket to Lithium Ion Battery)

  • 서관호;조광수;윤인섭;최우혁;허병기;강동국
    • 폴리머
    • /
    • 제34권5호
    • /
    • pp.430-433
    • /
    • 2010
  • 리튬이온 전지에 사용되는 가스켓 재료는 내전해액성, 전기절연성, 압축 영구 줄음률, 비오염성, 저온성이 요구된다. 가스켓 고무에 적용되는 충전제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NBR(nitrile butadiene), FKM(fluoro elastomers)에 카본블랙 및 실리카계 충전제의 함량을 조정하여 compoud를 만들었다. 이렇게 배합된 compound를 리튬이온 전지의 작동 환경을 고려하여 전해액에 대한 장기평가 및 압축 영구 줄음률, 저온성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카본블랙 및 실리카계 충전제를 사용하여 각 충전제에 따른 고무재료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리튬 이온 전지 씰링에의 응용을 위한 EPDM, NBR, FKM, VMQ 및 FVMQ 특성연구 (The Study of Characteristics on EPDM, NBR, FKM, VMQ and FVMQ for Sealing Applications to Lithium Ion Battery)

  • 서관호;조광수;윤인섭;최우혁;허병기;강동국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5권3호
    • /
    • pp.212-216
    • /
    • 2010
  • 리튬 이온 전지의 가스켓 재료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내전해액성, 전기절연성, 낮은 압축 영구 줄음률, 비오염성, 내열성이 요구된다. Perfluoroalkoxy (PFA)보다 압축 영구 줄음률이 우수한 고무의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EPDM), Nitrile Butadiene(NBR), Fluoro Elastomers(FKM), Methyl-Vinyl Silicone Rubber (VMQ), Fluorosilicone(FVMQ)을 이용하여 최적상태의 compound를 제작하고 특성을 살펴보았다. 시험편을 $80^{\circ}C$의 propylene carbonate액에 침적하여 경도 및 체적변화를 1,000시간까지 시간별로 측정하였다. EPDM과 VMQ가 내전해액성이 우수하였으며, 전기절연성에서도 체적저항 기준 $10^{10}{\Omega}cm$이상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EPDM과 VMQ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고온 엔진오일용 내열성 발포부표 제조 기술 (Preparation Technique of Thermostable Foam-Floater for High Temperature Engine Oil)

  • 김병식;홍주희;정용재;허광범
    • 공업화학
    • /
    • 제17권1호
    • /
    • pp.82-86
    • /
    • 2006
  • 일반 휘발유 및 LPG용 자동차와 각종 유량계기 등에 사용되는 국산 부표는 $150^{\circ}C$ 이상의 엔진오일에 장시간 띄워 놓으면 연료의 침투로 인하여 중량과 부피의 변화로 외관이 팽창하거나 조직이 이완된다. 본 연구에서는 고온에서도 중량 및 부피의 변화(3% 이내)가 적으며 내유성 및 내열성을 갖는 고온 엔진 오일용 발포부표 제조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부표의 기본 재료인 NBR을 HNBR로 대체하여 제조한 TROF II-3은 고온($150^{\circ}C$)의 오일에 100 h 동안 띄워 놓은 경우에 2.90%의 중량 변화율과 2.56%의 부피 변화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무게와 부피 변화는 NBR을 사용한 경우(TROF I-3)보다 $150^{\circ}C$에서 각각 10.81%, 3.08%로 더 작은 변화율을 나타내었다. TROF II-3은 고온의 오일에서 중량과 부피에 대한 변화가 작고 제품의 외관과 비중도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고온의 엔진오일용 부표로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유리분말 및 고무 충진 페놀수지의 열안정성 및 Glass Braid/페놀수지 복합재료의 동역학적 열특성 (Thermal Stability of Glass Powder and Rubber-Filled Phenolic Resins and Dynamic Mechanical Properties of Glass Braid/Phenolic Composites)

  • 윤성봉;조동환;이건웅
    • 접착 및 계면
    • /
    • 제8권4호
    • /
    • pp.14-2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페놀수지의 열안정성 그리고 glass braid/페놀수지 복합재료의 동역학적 열특성에 미치는 유리분말 및 액상 니트릴고무(NBR)의 영향을 열중량분석기와 동역학적 열분석기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용성 페놀수지에 충진된 유리분말과 NBR은 페놀수지의 열안정성과 복합재료의 저장탄성률 그리고 tan ${\delta}$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유리분말의 충진은 페놀수지의 열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반면, NBR의 존재는 특정 온도영역에서 페놀수지의 중량감소를 초래하였다. 충진제의 유 무에 따른 페놀수지의 열안정성은 경화온도뿐만 아니라 경화시간에도 의존하였다. 스트립형태의 glass braid/페놀수지 복합재료의 저장탄성률과 tan ${\delta}$의 변화는 유리분말과 NBR이 혼합된 매트릭스의 도입과 경화조건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았다.

  • PDF

기만기 적용 고무 O-ring의 온도에 따른 가속수명시험을 통한 수명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fe-time Prediction for the Rubber O-ring applied to decoy through the Accelerated Life Test)

  • 조희진;김민우;곽혜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182-188
    • /
    • 2016
  • 어뢰회피용 기만기는 수중에서 적 어뢰의 공격으로부터 자함을 보호하는 무기체계로 유사 시 우리 군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운용 간 고장없이 정상적으로 임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기만기는 운영 특성 상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면 정상적인 임무 수행이 불가하기 때문에 운용환경을 고려하여 외부로부터 해수유입 방지를 위한 완벽한 기밀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기만기의 수밀성능 확보를 위해 고무재질의 오링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고무재질의 제품들은 시간의 경과와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아 노화되어 고무 초기 특성이 상실되어진다. 따라서 요구되는 수밀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오링에 대한 정비 또는 교체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만기에 사용되는 오링의 대표적인 물성 지표인 경도와 신장률 값을 기준으로 오링의 가속수명시험 수행을 통한 시험데이터를 바탕으로 적합한 정비주기를 선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만기 수밀성능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오링의 재질은 NBR(Nitrile Butadiene Rubber)로써, 선행 연구 자료를 참고하여 주요 고장 환경 인자를 온도로 선정하였으며, 고장의 기준은 대상 제품이 가지는 물성 값 중 경도와 신장률이 초기 대비 50%까지 저하되는 시점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시험에 사용되는 시편 준비 및 물성 값 측정방법은 KS M 6518 규격을 참고하여 진행하였다. 시험결과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기만기에 적용되는 오링의 수명을 예측하였으며, 이를 통해 오링에 대한 정비주기를 산출하였다.

분리층의 상대 변위를 이용한 고분자 미끄럼 촉각 센서 개발 (Development of Polymer Slip Tactile Sensor Using Relative Displacement of Separation Layer)

  • 김성준;최재영;문형필;최혁렬;구자춘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00-107
    • /
    • 2016
  • To realize a robot hand interacting like a human hand, there are many tactile sensors sensing normal force, shear force, torque, shape, roughness and temperature. This sensing signal is essential to manipulate object accurately with robot hand. In particular, slip sensors make manipulation more accurate and breakless to object. Up to now several slip sensors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robot hand. Many of them used complicate algorithm and signal processing with vibration data. In this paper, we developed novel principle slip sensor using separation layer. These two layers are moved from each other when slip occur. Developed sensor can sense slip signal by measuring this relative displacement between two layers. Also our principle makes slip signal decoupled from normal force and shear force without other sensors. The sensor was fabricated using the NBR(acrylo-nitrile butadiene rubber) and the Ecoflex as substrate and a paper as dielectric. To verify our sensor, slip experiment and normal force decoupling test were condu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