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ate content

검색결과 496건 처리시간 0.021초

점봉산 참나물 자생지의 환경 및 생육 특성 (Environmental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Pimpinella brachycarpa Habitat in Mt. Jeombong, Korea)

  • 박윤미;김만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4호
    • /
    • pp.687-692
    • /
    • 2011
  • 참나물(Pimpinella brachycarpa)은 전국의 숲속 반음지의 습한 환경에서 자라는 다년생 식물이다. 본 연구는 중부지방 강원도의 점봉산에서 이루어졌으며, 참나물 자생지의 환경적인 특징과 미소환경에 따른 생육 특성을 조사하였다. 참나물 개체군은 해발 978~1016 m의 평균 공중 습도가 80%에 달하는 곳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자생지의 토양 특성을 분석한 결과, 토양수분은 평균 26.7%로 상당히 높았으며, 유기물 함량은 11.1~11.7%, 전질소 함량은 0.60%, 유효인산은 19.5~39.0 ppm, 양이온 치환용량은 $20.8{\sim}21.3cmolckg^{-1}$, 평균 산도는 pH 5.1~5.4로 나타났다. 미소환경 별로는 상층부의 개체목 밀도가 낮아 상대적으로 빛이 많이 들어오는 임상에서 자라는 개체들의 줄기의 높이가 수관이 울폐된 곳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큰 값을 보였다. 이를 통해, 점봉산의 참나물 자생지는 공중습도와 토양 수분이 상당히 높은 곳에 위치하며, 임상내로 들어오는 빛의 양이 증가할수록 생장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리지질 특성을 고려한 제주도 서부 해안지역 용천의 유형 분류 (Classification of Spring Types in the Western Coastal Area of Jeju Island, Korea, Based on the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 고창성;고은희;박원배;고기원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8권5호
    • /
    • pp.25-35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classify spring types based on the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rings in Yongsu-ri~Hamo-ri coastal area in western part of Jeju Island. The springs in study area can be broadly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perched groundwatrer springs (soil type), perched groundwater springs (sediment type), and basal groundwater springs. The perched groundwater springs of soil type correspond to springs where groundwater seeps out from the perched aquifer formed in the soil layer due to the development of clayey Kosan Formation beneath the surface. Because of the low hydraulic conductivity of soil layer, the average of spring discharge is less than 1 m3/day. The quality of spring water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agricultural activities, resulting in high nitrate nitrogen concentrations and electrical conductivity. While the perched groundwater springs (sediment type) of the Suwolbong Tuff, which are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Kosan Formation, exhibited relatively higher discharge rates, their water quality was similar to soil-type springs. Basal groundwater springs are located in the zone of basal groundwater, mostly near the coastline. This type of spring appears to discharge of up to 3,707 m3, and the salinity content varies with the tidal fluctuations, especially increasing significantly during dry seasons.

Development of semi-dried goat meat jerky using tenderizers considering the preferences of the elderly

  • Shine Htet Aung;Md. Altaf Hossain;Ji-Young Park;Young-Sun Choi;Ki-Chang Nam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6권4호
    • /
    • pp.807-833
    • /
    • 2024
  • Elderly people avoid eating red meat and dried meat product due to its texture and stiffness; they deprive them of rich sources of nutrients. In addition, food-related diseases are exponentially increasing due to using synthetic additives in food products. Therefore, this research aimed to develop semi-dried goat meat jerky considering geriatric preferences by using natural tenderizers and nitrate. Four treatments were formulated negative control (NC [synthetic nitrite without tenderizers]), positive control (PC [Swiss chard without tenderizers]), T1 (Swiss chard with pineapple powder), and T2 (Swiss chard with pineapple and tomato powder). T1 and T2 had higher processing yield, and rehydration capacity compared with NC and PC. The fat content of T1 and T2 was lower than the control groups. Moistu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1, NC, and T2 than in PC (p < 0.05). T2 showed the lowest water activity (0.87), lowest shear force (4.82 kgf), and lowest total plate count (TPC). The lowest pH an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were observed in T1 and T2. T1 showed the lowest lightness and the maximum redness (p < 0.05) while PC showed the lowest yellowness. During the storage period, moisture and pH decreased, and TPC and TBARS significantly increased whereas water activity is stable regardless of the treatment. The results of the myofibrillar fragmentation index (MFI) and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revealed that T1 and T2 more effectively converted protein to polypeptides. In addition, tenderizers positively affected thrombogenicity, atherogenicity, and hypocholesterolemic/hypercholesterolemic indices. T2 observed the highest overall sensory acceptance by reducing goaty flavor. Overall, jerky treated with tenderizers is easily chewable and digestible for the elderly due to its tenderness and essential fatty acids that would be senior-friendly food.

Evaluating the Potential of Vegetable Powders as Nitrite Replacements in Cured Pork Sausages: Effects of Different Processing Methods to Produce Chinese Cabbage and Radish Powders

  • Seung Hwa Gwak;Su Min Bae;Jong Youn Jeo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1040-1054
    • /
    • 202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tential of Chinese cabbage and radish powders as natural sources of nitrite in ground pork sausages. Four vegetable powders from Chinese cabbage and radish, depending on the processing method, were prepared for evaluation: filtered Chinese cabbage juice powder (FCJP), crushed Chinese cabbage powder (CCP), filtered radish juice powder (FRJP), and crushed radish powder (CRP). Both FCJP and FRJP from filtered juice of Chinese cabbages and radishes had higher total soluble solids and water soluble index compared to CCP and CRP from crushed Chinese cabbages and radishes. Additionally, FRJP and CRP showed a higher nitrate content than CCP and FCJP. The evaluation of vegetable powders against products containing sodium nitrite (control) or commercial vegetable powder in ground pork sausages showed that the use of FRJP and CRP resulted in similar levels of CIE a* compared to the control, whereas those cured with FCJP or CCP resulted in lower CIE a* values. However, regardless of the type and processing method of vegetables, all sausages treated with vegetable powders were similar in terms of cured pigment, total pigment, curing efficiency, and lipid oxida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Although lower hardness was observed in sausages treated with FRJP, no other treatments affected textural attribut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RJP and CRP have great potential as natural curing agents for replacing nitrite in cured sausages. The use of powders obtained from filtered juices may provide extended utility as vegetable-based curing methods for other meat products.

경안천 내 질소 함량의 시공간적 변화와 기원 연구 (Study of Spatiotemporal Variations and Origin of Nitrogen Content in Gyeongan Stream)

  • 박종훈;김신영;서수민;이현아;우남칠
    • 자원환경지질
    • /
    • 제56권2호
    • /
    • pp.139-153
    • /
    • 2023
  • 이 연구는 경안천 유역의 상류로부터 하류까지 본류와 하위 소유역의 배출 지점에서 관측되는 경안천 내 질소함량의 시공간적 변화를 이해하고, 이러한 질소류의 기원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2021년 11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분기별 현장 조사와 실내 수질분석, 질산염과 붕소의 환경동위원소 분석을 수행하였다. 경안천의 유량지속곡선을 도출하여, 건조 기간(2021년 12월 중순부터 2022년 6월 중순)과 습윤 기간(2022년 6월 중순부터 11월 초까지)을 설정하였다. 연구 지역에서의 총 질소(T-N) 농도는 월단위 시간적 변동을 기준으로 할 때, 건조 기간에 속하는 1~2월에 농도가 가장 높았다가 5~6월까지 지속적으로 낮아진다. 홍수기인 7~9월 이후 T-N의 농도가 낮아지는 소유역 단위 최상류 지점들(Group 1: MS-0, OS-0, GS-0)과, 반대로 높아지는 경안천 본류와 소유역 하류 지점들(Group 2: MS-1~8, OS-1, GS-1)이 분리된다. 공간적으로, 경안천 본류의 T-N 농도는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이지만, 소유역인 오산천과 곤지암천이 각각 합류되는 지점에서는 이들의 유입에 의해 본류의 T-N 농도 값에 의해 본류의 농도가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영향을 받고 있다. 환경동위원소비를 통해 모든 시료의 질소가 분뇨(manure) 기원으로 규명되었고, 수리화학적 특성의 변화와 T-N 농도의 변화에서 경안천으로 분뇨 기원의 질소가 유입될 수 있는 기작으로, (1) 축산단지의 분뇨, 폐수의 강우에 의한 유입, (2) 환경기초시설 방류수를 통한 유입, (3) 농업 활동 과정에서 축적된 질소류의 지하수 기저유출을 통한 유입 등이 제시되었다. 궁극적으로 경안천 유역의 수질관리는, 공간적 관점에서 지류를 포함하는 소유역 단위의 오염원 관리가 필요하며, 오염총량 관리 측면에서는 하천 유량의 수문성분을 구분하고, 각각 성분의 유량과 수질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과 운용이 선결되어야 한다.

지질생산 및 유전자 조작의 잠재적 자원으로서의 토착 미세조류 Chlamydomonas reinhardtii K01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Indigenous Microalgae Chlamydomonas reinhardtii K01 as a Potential Resource for Lipid Production and Genetic Modification)

  • 김은경;조대현;서상익;이창준;김희식;서현효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02-209
    • /
    • 2022
  • 반수체 단세포 진핵생물인 녹조류 Chlamydomonas reinhardtii는 미세조류와 유전자 변형을 이용하여 고부가가치 물질을 생산하는 세포 공장으로 연구자와 산업계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현재 대부분의 기초 및 산업 연구에 사용되는 외래종인 C. reinhardtii를 대체하기 위하여 충청과 전라지역 12개의 담수에서 채취한 시료에서 Chlamydomonas로 추정되는 미세조류 K01을 분리하였다. 분리균주 K01의 형태학적 분석과 18S rDNA 유전자 서열(NCBI 수탁번호 KC166137)의 계통발생학적 분석을 통하여 분리균주 K01는 Chlamydomonas reinhardtii로 동정 되었다. 분리균주 C. reinhardtii K01의 성장 및 지질 함량은 TAP 배지에서 3개의 야생 균주 및 4개의 돌연변이 균주와 비교하였다. 이들 균주 중 C. reinhardtii K01 균주가 배양 3일째 1.74×107 cells/ml개의 세포수가 관찰되었다. 이는 비교 균주 중 가장 높은 세포 수(1.20×107 cells/ml)를 나타내어 UTEX2244와 비교했을 때 1.5배 빠른 성장속도를 보였다. 분리균주 C. reinhardtii K01의 지질함량(20.67%)은 야생형 균주의 지질함량과 유사하였다. 분리균주 Chlamydomonas reinhardtii K01의 지방산 성분은 7종의 분양 균주에서 확인된 지방산 중 oleate (C18:1)가 검출되지 않았다. 분리균주 C. reinhardtii K01은 nitrate (NaNO3)를 질소원으로 포함하는 BG11배지에서 배양 6일 동안 0.87 g/l까지 세포밀도가 증가하였으나, 분양균주인 7종의 Chlamydomonas의 경우 모든 균주에서 세포증식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대마참나물(Tilingia tsusimensis (Yabe) Kitagawa) 개체군의 식생구조와 토양특성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Properties of the Tilingia tsusimensis Population)

  • 김무열;송호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03-310
    • /
    • 2007
  • 금오산과 가야산 지역에 분포하는 대마참나물 개체군이 발견되었으며, 이 개체군의 생태학적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식생구조와 토양을 분석하였다. 대마참나물 개체군은 대마참나물 전형 우점개체군과 자주꿩의다리 우점개체군으로 분류되었다. 대마참나물 개체군 분포 지역의 유기물 함량은 $25.0{\sim}32.3%$, 전질소 함량은 $0.83{\sim}1.04%$, 유효인산 함량은 $5.58{\sim}20.76ppm$, 양이온치환용량(CEC)은 $46.3{\sim}62.9$이고, 토양 PH는 $4.5{\sim}5.1$로 나타났다. 대마참나물 개체군과 환경 요인들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전형 우점개체군은 양료 중 치환성 K, Ca, Mg와 양이온치환용량이 다소 많고 해발고가 비교적 낮은 입지에 분포하고 있으며, 자주꿩의다리 우점개체군은 전형우점개체군보다 해발고가 다소 높고, 양료 중 치환성 K, Ca, Mg와 양이온치환용량이 다소 적은 입지에 분포하고 있었다.

서부경남지역 음용 지하수의 수질특성에 관한 고찰 (The Study of Water Characteristics of Drinking Underground Water in the West Gyeong-Nam)

  • 박현건;정윤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92-197
    • /
    • 2014
  • 본 연구는 2007년 01월부터 2010년 07월까지 서부 경남 내륙지역 및 해안지역의 음용 지하수 1,525건에 대한 지역별 부적합율, 항목별 수질특성, 수질항목 간 상관관계 등의 수질 현황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역별 부적합율을 조사한 결과 지하수 음용수 수질기준을 초과한 부적합율은 내륙지역이 18.2%, 해안지역이 24.5%로 나타났으며, 2가지 이상의 항목이 동시에 불합격한 비율도 내륙과 해안지역이 각각 38.9%, 51.6%로 나타났다. 항목별 수질현황을 조사한 결과 내륙지역 및 해안지역의 부적합 항목 중 총대장균군이 23.8%, 26.6%, 일반세균이 16.1%, 16.0%으로 미생물 항목이 음용부적합 항목의 39.9%, 42.6%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탁도의 경우 내륙 및 해안지역이 12.6%, 11.7%로 나타났고, 알루미늄은 11.9%, 11.7% 등으로 나타났다. 내륙지역의 경우 경도는 증발잔류물과 0.910, 황산이온과 0.819의 상관계수를 보였고, 증발잔류물과 보론이 0.600으로 상관계수를 보였다. 해안지역의 경우 경도와 증발잔류물의 상관계수가 0.919로 나타났으며, 염소이온과는 0.829로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에의 고농도 Na 및 Cl 염류가 토마토의 생육 및 무기성분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igh Concentrations of Sodium or Chloride Salts in Soil on the Growth of and Mineral Uptake by Tomatoes)

  • 강경희;권기범;최영하;김회태;이한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21-126
    • /
    • 2002
  • 본 연구는 토양에의 고농도 Na 및 Cl 염류처리가 토마토의 생육과 무기성분 흡수, 광합성 속도 및 수분 포텐셜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코자 수행되었다. 초장, 생체중, 건물중 등 생육은 대조구에 비해 모든 염 처리구에서 억제되었으나, 토양의 pH와 EC와는 관계가 없었다. 토마토의 생육억제 효과는 Na계열에서는 Cl, SO$_4$, CO$_3$, PO$_4$, NO$_3$ 순으로, 그리고 Cl 계열에서는 Na, K, Mg, NH$_4$, Ca순으로 컸으며, Na 계열이 Cl 계열보다 컸다. 토마토의 수량은 대조구보다 모든 염 처리구에서 30%~10%적었으며,특히 NaCl처리구에서 더욱 적었다. 엽록소 함량, 광합성 속도, 기공전도도는 대조구에 비해 염 처리구에서 낮았다. 무기양분 함량은 대조구보다 모든 염류에서 낮았다. N 함량은 NaNO$_3$, NH$_4$Cl 및 대조구가 11% 내외로 가장 높았으나 Na 계열에서는 NaCl 및 NaHCO$_3$ 처리구가, Cl 계열에서는 KCI 처리구가 5.5~6.0% 내외로 낮았다. K 함량은 Cl 계열보다 Na 계열이 적었으며, 특히 NaCl과 $Na_2$SO$_4$ 처리구에서 더욱 낮았다. Mg 및 Ca 함량은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NaCl과 KCl 처리에서 매우 낮아 Na 및 K 이온과 상당한 길항관계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각 이온의 흡수는 KCl및 NaCl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경향이었다.

Mycorrhiza 접종이 가뭄 스트레스하의 식물성장과 질소 대사산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ycorrhizal Inoculation on Plant Growth and N Metabolites in Relation to drought-stress Tolerance)

  • 이복례;정우진;김대현;김길용;손보균;김태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14-325
    • /
    • 2002
  • 페레니얼 라이그라스의 가뭄스트레스 저항성과 관련하여 균근균(mycorrhiza) 접종이 작물생장 및 질소대사 산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균근균 접종에 의한 잎의 수분퍼텐셜, 건물량 및 인의 함량의 유의적인 증가가 인정되었다. 가뭄스트레스 상태에서 뿌리의 질산염 농도는 증가하였으며, 균근균 비접종구가 접종구에 비하여 현저하였다. 잎의 수용성 단백질 함량은 가뭄 스트레스 하에서 균근균 비접종구가 접종구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전 실험기간 동안 가뭄 스트레스 처리구의 암모니아와 proline의 농도는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균근균 접종구에서는 증가가 현저히 완화되었다. 가뭄 스트레스 하에서 잎의 건물량 감소는 암모니아(p<0.01)와 proline(p<0.001) 농도의 증가와 부의 유의적인 상관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균근균의 접종 효과는 가뭄 스트레스 하에서 작물의 성장 억제를 완화시켰으며, 인의 함량과 질소의 동화 작용을 증가 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