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ght illumination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9초

특징점 추적을 이용한 실시간 끼어들기 위반차량 검지 시스템 (Real-time Lane Violation Detection System using Feature Tracking)

  • 이희신;정성환;이준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8B권4호
    • /
    • pp.201-212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특징점 추적을 이용한 끼어들기 위반차량 검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끼어들기 위반차량 검지 시스템의 전체적인 알고리즘은 영상 변환 및 전처리, 특징 추출, 추적대상 차량의 특징점 등록 및 추적, 끼어들기 위반차량 검지 등의 단계로 구성된다. 특히 형태학적 기울기 영상을 이용하여 특징점을 추출하므로 써 주간 및 야간 영상에 대해 동일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그림자, 기상 조건, 차량 전조등 및 조명 등에 강인한 영상 검지 시스템을 구성 한다. 제안한 시스템을 끼어들기 금지구간에서 주간, 야간, 비 오는 날 야간에 취득한 영상을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정인식률 99.49%와 오류율 0.51%를 보였다. 또한 실시간처리에 문제가 없는 평균 91.34frame/s의 빠른 처리속도를 나타냈다.

야간 자율주행 안전성 향상을 위한 조명반사광 감소에 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Reduction of Illuminated Reflection for improving the Safety of Self-driving at Night)

  • 박창민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60-68
    • /
    • 2022
  • AI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자율주행의 안전성에 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최근, 자율주행의 차량이 증가하고 있지만 그에 대한 부작용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은 다소 부진한 실정이다. 특히, 야간에 운행되는 자율주행 차량은 더욱 많은 문제들을 안고 있다. 운행의 다양한 환경에서 야간 주행의 환경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야간 자율주행 차량에서 핵심적인 문제점으로 부상하고 있는 반대 차량의 전조등 또는 주위 다양한 조명에 의해 발생되는 반사광을 감소시키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야간 주행 중에 센서에 의해 획득한 영상에서 반사광 특성 정보를 활용하여 조명 반사광을 추출한 후, 반사계수를 활용한 각 픽셀의 색상을 찾아 specular 영역을 감소한다. 그 후 영역의 밝기성분만을 이용한 새로운 영역을 찾아 최종적으로 이를 감소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조명 반사광을 완벽히 감소할 수는 없지만 대체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가 있었다. 따라서 제안된 연구 방법이 야간에서의 자율주행에서 다양한 단점 및 문제들을 해결하고 사고를 줄이는 방법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Image Enhancement Technology for Improved Object Recognition in Car Black Box Night

  • Lee, Kyedoo;Paik, Joonki
    • IEIE Transactions on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 /
    • 제6권3호
    • /
    • pp.168-174
    • /
    • 2017
  • Videos recorded on surveillance cameras or by car black boxes at night have distorted images due to illumination variation.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nalyz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objects, and it is limiting to use such distorted images as evidence in traffic accidents. Image restoration is performed by amplifying the brightness of nighttime images using linearized gamma correction to increase their contrast (which destroys visual information) and by minimizing degradation factors caused by irregular traveling.

카메라 기반 야간 차선 인식율 개선을 위한 영상처리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mage Processing Algorithms for Improving Lane Detectability at Night Based on Camera)

  • 김흥룡;이선봉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51-60
    • /
    • 2013
  • In this paper, to control the existing headlamp control system using steering wheel angle more efficiently and more actively, image processing algorithm which improved the detection rate of lane at night based on camera was suggested. And to recognize road lane more clearly in the conditions of low illumination, new algorithms were developed in the aspects of improving brightness, extracting clear lane edge and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lane. Through this research, it turned out that lane detection ability by using the normalized stretching, angular mask and expected-area scan have good performance in the night compare to existing algorithms.

공동주택단지 외부공간 유형별 야간 빛 환경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Night Lighting Environment by Outdoor Space Types of an Apartment Complex)

  • 한정원;안지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164-17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urrent condition of night lighting plan for the outdoor space in an apartment complex and to examine how residents perceive that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considerations and standards for safe and agreeable night lighting environment were examined through literature study. And a field study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e of the night lighting environment was conducted, and finally a survey was executed to find out residents' satisfaction, requirements and consciousness on that lighting environment of apartment complex.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most standards for night lighting environment focus on the urban environment as a whole, so they have very few clear standards exclusive for the outdoor space of the apartment complex. Secondly, most of outdoor spaces surveyed in this study have met the basic illumination standard, but some spaces had parts where lights were off or out of order forming dark zones, and in some parts lights were screened by trees causing shades, poor safety and a narrowed sight. Thirdly, residents had interest in the night lighting environment of the outdoor space, but they were not fully satisfied with that environment. Fourthly, residents were negative about such factors of the environment as safety, convenience, recognition and aesthetics. These factors should be reflected in planning and improving the night lighting.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provides basic information necessary to plan safer and more agreeable night lighting, and to satisfy the residents' need for liveable apartment complex.

백색광에 대한 쥐노래미의 반응 (Response of Rock Trout to the White Lights)

  • 양용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2권4호
    • /
    • pp.56-60
    • /
    • 198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light intensity which induced maximum gathering rate and to observe the variation of the gathering rate both in daytime and at night by using rock trout, He.'~agrammos otakii (Jordan et starks). An experimental tank (360L x SOW x 55H cm) was set up in a dark room. An illumination system was attached to the end of one side of the tank to control horizontal light intensity. Six artificial light sources were prepared by combination of two light bulbs (5 W, 150 W) and seven filters. During the experiment water depth was maintained 50 em level in the tank. The tank was marked into six longitudinal sections each being 60 em long to observe the distribution of fish. The fish were acclimatized in dark condition for 50 minutes prior to the main experiment. Upon turning on the light, the number of fish in each section was counted 40 times every 30 seconds. and the gathering rate was obtained from the average number of fish in each section. The light intensity inducing maximum gathering rate was O. 7 lux (0. 5~1. 1 lux) in the daytime and 5. 2/ux (3.2-7.7 lux) at night. The variation of the gathering rate of fish in illumination time was sma II and showed the decreasing trend.

  • PDF

어류의 주광성에 관한 연구 (2) - 백색광에 대한 돌돔과 복섬의 반응 - (Phototaxis of Fish (2) - Response of Rook bream and Grass puffer to the white lights -)

  • 양용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16권1호
    • /
    • pp.27-35
    • /
    • 1980
  • 빛에 대한 어류의 행동을 조사하기 위항 돌돔 Oplegnathus fasciatus 과 복섬 Fugu niphobles 에 빛의 세기가 서로 다른 여섯가지 백색인공광원으로 광을 주어, 그에 대한 반응을 주야에 각각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한된 실험수내에서의 광에 대한 구간별분포는 두 어종이 모두 구간에 많이 모여 분포은 대체로 U자형이되었다. 2. 돌돔은 수중도가 어떤값보다 높아지거나 낮아지면 광원쪽에 더 많이 모이는 경향을 보였으며, 주야간에 비슷하였다. 복섬은 수중도가 어떤 값보다 높아지거나 낮아지면 광원에서 멀리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주야간에 다소의 차이가 있었다. 3.집어솔이 최대가 되는 평균수중조도(적정조도)는 돌돔이 162.0 lux (104.3-238.1 lux)로서 주야간에 같았으며, 복섬은 주간에 16.6 lux (10.6-24.5 lux), 야간에 1.9 lux (1.2-2.9 lux)로서 주간에 더 높았다. 4. 조명시간에 따른 집어솔은 돌돔의 경우 점등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야간보다 주간에 그 변화가 심했다. 복섬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완만하게 증가하였으며, 야간보다 주간에 그 변화가 다소 심했다.

  • PDF

암기간과 야간조파에 따른 벼와 콩의 출수ㆍ개화 반응 (Flowering Responses of Rice and Soybean to Nyctoperiod and Night Break)

  • 김충국;서종호;최성호;최경진;이진모;변종영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08-212
    • /
    • 2003
  • 가로등과 보안등의 증가로 인한 야간조명의 확대와 야간 이동차량의 증가로 전조등 등 농경지 주변에 간헐적으로 조명이 이루어지고 있어 2000년부터 2001년까지 2년 동안 암기간과 야간조파가 벼와 콩의 출수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2시간 암기 중 3시간마다 10분간 백열등(50∼60 lux)으로 조명한 야간조파 처리에 의하여 벼 생육은 두 품종 모두 암기처리 12시간에 비해 간장은 증가되었으며, 수당립수는 감소되었다. 벼의 출수는 야간조파시 암기처리 12시간에 비하여 일품벼 9일, 화성벼는 26일 지연되었으며, 12시간의 암기처리에 비하여 9시간 암기처리시 일품벼 47일, 화성벼는 41일 지연되었다. 야간조파에 의한 황금콩의 생육은 야간조파시 암기처리 12시간에 비해 경장파 절수가 증가되었으며, 협수는 감소되었고, 12시간의 암기처리에 비하여 9시간 암기처리시 경장 및 절수는 증가되었지만 협수는 감소되었다. 콩의 개화까지 소요일수는 야간조파시 암기처리 12시간에 비하여 4일 지연되었으며, 12시간의 암기처리에 비해 9시간 암기처리시 19일 지연되었다.

학습공간으로 이용되는 대학주변 커피전문점의 조명 실태 및 평가 (The Actual State and Evaluation of Artificial Lighting on Coffee Houses Using Study Place around University)

  • 최솔지;최윤정
    • KIEAE Journal
    • /
    • 제11권6호
    • /
    • pp.53-62
    • /
    • 2011
  • This study aimed at suggesting improvement of lighting environment of the coffee house using study place. To this end, a series of field investigation was conducted in four possible target coffee houses around university. The field measurement included measurement of general illuminance and tabletop illuminance, observing illumination condition, and status of artificial lighting. Also, on-site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rated to 80 users of field measurement targets about using characteristics of coffee house and user's subjective response on light environmen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ccording to questionnaire survey, most of users checked 'learning (study and reading)' in 'purpose of coffee house using', and 'slightly dark' was checked most in each subjective response (brightness on general space and on tabletop at daytime/night); (2) as results of measurements on general illuminance and on tabletop illuminance during daytime, only one coffee house was suitable for standard; (3) as results of measurements on illuminance during night, all target coffee houses were not met the standard; (4) as results of uniformity ratios, almost uniformities of general illuminance were not met the standard except one case. The common problems of lighting environment of coffee house were analyzed as lack of daylight illumination e.g. having low amount of sunshine from skylight, un-uniformity of insolation by floor plan and absence of window blind, and un-uniformity of artificial luminous intensity e.g. lack of the number or brightness of artificial lighting, using the indirect lighting, using only local lighting, and non-uniform arrangement of artificial lighting.

백색광에 대한 벵에돔의 반응 (Response of Rudder Fish to the White Lights)

  • 양용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5권2호
    • /
    • pp.37-43
    • /
    • 1989
  • 광에 대한 어류의 행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벵에돔 Girella punctata에 광의 세기가 서로 다른 8가지 백색인공광원으로 광자극을 주어, 그에 대한 반응을 주간과 야간으로 구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광자극에 대한 수조내의 구간별분포는 광원의 반대쪽 구간에 많이 모여 분포곡선은 L자형이 되었으나, 광의 세기에 따라 그 형태가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주야간이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2. 수중조도가 높아짐에 따라 광원쪽에 모이는 경향이 주간에는 적었으나 야간에는 더 많았다. 3. 집어율이 최대가 되는 수중조도(적정조도)는 주간에 2.98 lux(1.90~4.40 lux), 야간에 298.56 lux(188.44~444.96 lux), 야간이 더 높았으며, 최대집어율은 주간에 38.73%, 야간에 40.60%로서 야간에 더 높았다. 4. 조명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집어율은 증가한 후 감소하거나,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계속 불안정하게 변동했으며 주야간의 차이도 다소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