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ght eater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Nutritional aspects of night eating and its association with weight status among Korean adolescents

  • Hernandez, Emely;Kim, Meeyoung;Kim, Won Gyoung;Yoon, Jihyu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0권4호
    • /
    • pp.448-455
    • /
    • 2016
  • BACKGROUND/OBJECTIVES: A growing body of research has indicated that night eating could be associated with poor diet quality and negative health outcomes. This study examined the nutritional aspects of night eating, its related factors, and the association between night eating and body weight among Korean adolescents. SUBJECTS/METHODS: This study analysed the data from a one day 24-hour dietary recall as well as a demographic survey of 1,738 Korean adolescents aged 12 to 18-years-old obtained from the 2010-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ight eating' was defined as consuming 25% or more of one's daily energy intake between 21:00 and 06:00. Subjects complying with the preceding condition were classified as 'night eaters', whereas the rest were considered 'non-night eater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examined factors related to night eat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night eating and BMI z-scores, whereas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night eating and weight status. RESULTS: About 21% of Korean adolescents appeared to be night eaters. Night eaters showed increased breakfast skipping (P = 0.001), higher energy intake from snacks (P < 0.001), greater proportion of energy intake from fat (P = 0.029), and lower Dietary Diversity Scores (P = 0.008) than non-night eaters. Male adolescents presented 1.9 times higher odds of being night eaters than females. Adolescents whose both parents were night eaters were 4.4 times as likely to be night eaters as those whose neither parents were. Female adolescents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night eating and BMI z-scores (${\beta}=0.28$, P = 0.004). However, night eating did not increase odds of being overweight or obese in adolescents. CONCLUSIONS: Night eating in Korean adolescents was related to undesirable dietary behaviours and low diet quality in general as well as higher BMI z-scores in females. Male gender and parental night eating appeared to be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increased odds of night eat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night eating should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nutrition education or intervention programs targeting adolescents.

한국 성인의 야식의 에너지 수준에 따른 영양상태 비교: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Comparison of nutritional status by energy level of night snack in Korean adults: using the data from 200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서윤석;이은경;정영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5호
    • /
    • pp.479-488
    • /
    • 2012
  • 야간에 고열량 식품 섭취는 그대로 체지방으로 축적되어 비만을 유발한다고 한다. 본 연구는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20세 이상의 성인 3,903명 (남자 41.6%, 여자 58.4%)을 대상으로 야식의 에너지 수준을 야식 비섭취군, 500 kcal 미만 야식군, 500 kcal 이상 야식군의 3군으로 분류하여 체위, 혈압 및 혈청성분, 식습관, 식품 및 영양소의 섭취상태를 비교하였다. 1) 전체대상자 중 야식을 섭취하는 사람은 34.0%이었고, 500 kcal 미만 야식군은 28.4%로 500 kcal 이상 야식군의 5.6%에 비해 약 5배 정도 많았다. 500 kcal 미만 야식군은 여자가 남자보다 많은 반면, 500 kcal 이상 야식군은 남자가 여자 보다 약 3.9배 정도 많았고 젊은 연령대와 대졸 이상의 학력자 및 소득 수준이 높은 사람이 많았으며, 자가진단한 건강상태가 좋지 않다고 답한 사람이 적었다. 2) 평균 체질량지수는 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평균 허리둘레는 500 kcal 이상 야식군에서 다른 두 군보다 높게 나타났고, 성과 연령을 보정한 후에도 허리둘레와 야식의 에너지 섭취량 간에 약한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3) 이완기 혈압, 공복 혈당, 혈청 중성지방, 혈청 GPT, 혈청 크레아티닌의 농도는 500 kcal 이상 야식군에서 다른 두 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야식의 에너지 섭취량과의 상관분석 결과 공복혈당과 경구당부하 2시간 후 혈당만이 야식 에너지 섭취량과 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4) 500 kcal 이상 야식군에서 아침 결식자가 많았고, 외식 횟수가 하루 3회 이상인 사람이 다른 두 군에 비해 약 2배 정도 높게 나타난 반면, 야식 비섭취군에서 간식을 안하는 비율이 높았다. 5) 500 kcal 이상 야식군에서 육 난류, 음료류, 주류, 패스트푸드류의 섭취 빈도가 다른 두 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영양소 섭취량을 섭취 에너지 1,000 kcal당으로 환산한 결과는 지방과 알코올의 섭취량이 높게 나타난 반면 탄수화물, 조섬유, 칼슘, 인, 철, 나트륨의 섭취량이 낮았다. 식품군 섭취량과의 상관분석 결과에서 육 난류, 음료류, 주류, 과일류, 우유 및 유제품류가 야식 에너지 섭취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영양소 섭취량에서 칼슘, 인, 철, 칼륨, 조섬유와 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6) 500 kcal 이상 야식군은 다른 두 군에 비해 탄수화물 섭취 비율이 낮은 반면 지방의 섭취 비율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부터 야식의 에너지 수준이 500 kcal 이상인 경우 주로 동물성 식품, 고지방 식품, 주류 및 음료류 등 고열량 식품군의 섭취가 높고, 허리둘레, 공복 혈당, 경구 당부하 2시간 후 혈당이 높아 야식의 빈번한 섭취가 한국 성인, 특히 젊은 층의 남성에서 복부비만과 당뇨병을 야기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조현병 외래 환자에서 야간식이증후군의 유병률과 관련요인 (Prevalence and Its Correlates of Night Eating Syndrome in Schizophrenic Outpatients)

  • 남석현;윤보현;시영화;송제헌;박수희;박형종;이지선
    • 정신신체의학
    • /
    • 제22권2호
    • /
    • pp.93-103
    • /
    • 2014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조현병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야간식이증후군(night eating syndrome : NES)의 유병률과 이와 관련된 임상적 요인들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방 법 정신건강의학과 외래를 방문한 201명의 조현병 환자들을 14 문항의 자기보고 형식인 야간식이증후군 설문지(Night Eating Questionnaire : NEQ)로 평가하였다. 인구학적, 임상적 특징과 체 질량 지수(BMI)을 조사하였고, 주관적인 기분과 수면, 폭식과 체중 관련 삶의 질에 대해서는 각각 Beck's Depression Inventory(BDI),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Binge Eating Scale(BES)와 Korean version of Obesity-Related Quality of Life Scale(KOQoL)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 과 조현병 외래 환자에서 야간 식이 증후군의 유병률은 10.4%(201명 중 21명)이었다. NES 군과 non-NES 군간에 나이를 제외하면 인구사회학적 및 임상적 특성, BMI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NES 군이 Non-NES 군에 비해 보다 우울했고, 수면과 폭식 양상, 체중 관련 삶의 질에 있어서 의미 있는 장애를 나타냈다. '아침 식욕부진'과 '지연된 아침식사'(NEQ에서 NES 핵심 항목 5개 중 2개)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야간 섭식', '야간 식욕항진' 그리고 '기분/수면'은 NES 군에서 더 손상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본 연구는 조현병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NES의 유병률과 관련 요인에 대해 기술한 최초의시도이다. 비록 NES와 비만과의 연관성은 밝히지 못했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NES가 정신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향후 이러한 결과를 뒷받침할 수 있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여대생들의 신체상과 다이어트가 섭식장애, 식이섭취량 및 사회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ody Image and Restrained Eating on Eating Disorder, Dietary Intakes, Self Esteem and Sex Role Identity in College Women)

  • 주은정;박숙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99-411
    • /
    • 1998
  • Thinness has become a symbol for beauty, acceptance and competence for women in our society, and pressure to diet because of this unrealistic standard is one factor reponsible for the increasing incidence of eating disorder. Three hundred fifty college women in the Chonbuk area were surveyed from May to June 1998,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body image, eating disorder, dietary intakes, self esteem and sex role identity. This study identified a subgroup of women who were relatively satisfied with their body weight and who did not diet. This group was compared with subgroups of women who were dissatisfied with their bodies and either were or were not restrained eaters. The dissatisfied/dieting women had the highest BMI, binge eating disorder and night eating syndrom, had significantly lower calorie, protein, iron, vitamin B$_1$, and vitamin B$_2$ intake compared with the satisfied/non-dieting women. The dissatisfied /dieting women, who had lower self-esteem compared with the satisfied/non-dieting women, but the frequency of sex role identity was similga among the groups of women. BMI and binge eating disorder were positively correlated(r=0.157, p<.01), but BMI and self esteem were negatively correlated(r=-0.202, p<0.01). Especially, binge eating disorder and self esteem were negatively correlated (r=-0.126, p<0.05).

  • PDF

양극성 장애 외래환자에서 야간식이증후군의 임상적 특성 (Clinical Characteristics of Night Eating Syndrome in Out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 정하란;윤보현;시영화;송제헌;박수희;구본기;김경민;남석현
    • 정신신체의학
    • /
    • 제22권2호
    • /
    • pp.112-120
    • /
    • 2014
  •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양극성 장애로 진단받은 정신과 외래 환자에서 야간 식이습관의 임상적 특성을 조사하는데 있다. 방 법 정신건강의학과 외래를 방문한 84명의 양극성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14개 항목의 야간 식이증후군 설문지(NEQ)를 자가 보고로 실시하였다. 이들의 인구학적, 임상적 특성을 조사하고 신체 질량 지수(BMI), 주관석 기분과 수면, 폭식과 체중에 관련된 삶의 질에 대한 평가를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Binge Eating Scale(BES), Korean version of Obesity-related Quality of Life scale(KOQoL), Pittsburg Sleep Quality Index(PSQI) 등을 포함한 설문을 통해 얻었다. 결 과 양극성 장애 외래 환자 중 야간 식이증후군의 유병률은 14.3%(84명 중 12명)이었다. NES와 Non-NES군 사이에서는 경제적 상태와 동반되는 내과 질환을 제외한 성별, 나이, 교육 년 수, 결혼 및 직업 상태, 흡연, 음주 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하지만, Non-NES 군에 비해 NES군에서 폭식이 많았고 비만으로 인한 삶의 질 저하가 나타났다. 결 론 이번 연구는 야간식이를 보이는 양극성 장애 외래환자의 임상적 특성을 처음으로 기술하였다. 비록 양극성 장애 외래 환자의NES군에서 뚜렷한 상관 관계를 보이는 특성이 많지는 않았지만, 상대적으로 NES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볼 때 임상에서 양극성 장애 환자 평가 시 비만 여부에 관계 없이 NES를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 PDF

남자 대학생의 동거 유무에 따른 에너지 섭취와 식습관의 비교 (The Caloric Intake Status and the Eating Habits in College Male Students Living Alone or Sharing Accommodation with Friends)

  • 박영숙;이보경;이보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80-287
    • /
    • 2003
  • To investigate effects of the shared living on nutrient intakes,250 college male students who were living alone (104 men) or sharing accommodation with friends (134 men) were participated. Their average age was 22.6 years, their average height was 171.8 cm, their average weight was 65.6 kg and their average Body Mass Index (BMI) was 22.2. The caloric intakes of the men living alone or sharing accommodation were 55.9% and 72.5% of the Korean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RDA), respectively. The decreased caloric level of the group living alone seemed to be due to their decreased protein and fat consumption as compared to that of the group sharing accommodation. The group living alone consumed increased amounts of fiber for breakfast and half the carbohydrates, but more fat (p < 0.05) in snacks than the group sharing accommodation. The daily carbohydrate : protein : fat (C : P : F) ratio averaged 58.6 14.1 27.3, which is a lower carbohydrate and a higher fat ratio than the Korean recommended ratio. However, the group living alone was closer to the Korean recommended ratio than the group sharing accommodation. The food intake habits were evaluated as being poorer in the group living alone as compared to the group sharing accommodation, less frequent consumption of fried / pan-fried dishes, and fruits / juices, but more frequent consumption of instant / processed foods. In comparing the eating patterns of the two groups, the group living alone showed better eating habits, such as more“breakfast eating”and less“snacking in the morning, afternoon or late at night”whereas the group sharing accommodation showed better eating habits such as less“picky eaters”and less “eating out”. In the group living alone, their lower caloric intake was assumably due to their fewer side dishes, however they showed higher eating frequencies of instant i processed foods. Since the lifestyle of living alone seems to grow gradually among young men, we strongly recommend dietary education for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