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fedipine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32초

Mouse 갑상선에서 α1-adrenoceptor 자극에 의한 thyroxine 유리 억제기전 (Inhibitory mechanism of α1-adrenergic stimulation on the release of thyroxine in mouse thyroids)

  • 강형섭;김송규;강창원;김진상;이호일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712-719
    • /
    • 1998
  • Thyroid function is mainly regulated through cAMP and phophatidylinositol, and it is well known that TSH-stimulated thyroxine ($T_4$) release is inhibited by catecholamine from mouse thyroids via the ${\alpha}_1$-adrenoceptor stimulation. Previous study has established that the inhibition of $T_4$ release by ${\alpha}_1$-adrenoceptor stimulation results in activated protein kinase C (PK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ion transport systems are involved in the inhibition of $T_4$ release elicited by ${\alpha}_1$-adrenergic agonist in mouse thyroids. TSH-, IBMX- and cAMP analogue-stimulated $T_4$ release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by methoxamine, R59022 (diacylglycerol kinase inhibitor), and MDL (adenylate cyclase inhibitor). TSH-stimulated $T_4$ release could be inhibited by Bay K 8644 and cyclopiazoic acid, but not by verapamil and tetrodotoxin. The addition of nifedipine ($Ca^{2+}$ channel blocker), tetrodotoxin and lidocaine ($Na^+$ channel blockers), but not amiloride (EIPA) and ryanodine, completely blocked the inhibitory effects of methoxamine on $T_4$ release. TSH-stimulated $T_4$ release was also inhibited by benzamil ($Na^+-Ca^{2+}$ exchange inhibitor). TSH-, IBMX- and cAMP-stimulated $T_4$ release were inhibited by methoxamine or R59022, these effects were reversed by nifedipine. but not by verapamil. Furthermore, nifedipine reversed the inhibitory effects of benzamil and R59022 on TSH-stimulated $T_4$ release. These data suggest that the observed ${\alpha}_1$-adrenoceptor-mediated inhibition of $T_4$ release in mouse thyroids is the result of an increase in intracellular $Na^+$ or $Ca^{2+}$ effected via activation of fast $Na^+$ or nifedipine-sensitive $Ca^{2+}$ channels, and that $Na^+-Ca^{2+}$ exchange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thyroid hormone by increasing intracellular $Ca^{2+}$.

  • PDF

칼슘 길항제의 혈장 단백결합에 미치는 Glycyrrhizic acid의 영향

  • 박혜정;이치호;신영희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343-343
    • /
    • 1994
  • 1. 목 적 : 혈액 중에 존재하는 약물은 대부분 혈장 단백질과 결합하며, 비단백 결합성 약물만이 생체막을 통과하여 여러 조직에 분포되고, target eel1에서 약리학적 작용을 나타내며, 대사, 배설 될 수 있다. 단백결합율이 높은 약물일수록 비결합성 약물의 양은 적어지며, 따라서 비결합성 약물의 증가는 약효의 상승을 의미하게 된다. 최근 만성 질환에 한약의 병용투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단백결합율이 높은 감초의 주성분인 Glycyrrhizic acid(GA)와 고혈압 치료제로 많이 사용되는 칼슘 길항제를 병용 투여할 경우, 칼슘 길항제의 혈장 단백결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았다. 2. 방 법 : Diltiazem hydrochloride, Verapamil hydrochloride, Nifedipine 와 GA를 model 약물로 하여 평형 투석법과 한외 여과법을 이용하여 fatty acid free human serum albumin(HSA), Low density lipoprotein( LDL ), of-Acid glycoprotein(AAG), plasma 각각에 대한 결합율을 HPLC로 분석하였으며 또한 Scatchard plot를 이용하여 binding parameter를 구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 GA는 Diltiazem의 HSA와 plasma의 결합율에 영향을 미쳤으며, Verapamil의 HSA, LDL, AAG, Plasma 결합율에, 그리고 Nifedipine의 HSA, LDL, Plasma의 단백 결합율에 영향을 주었으며, 각각 n과 Ka값에 변화를 주었다.

  • PDF

Preventive effects of imperatorin on perfluorohexanesulfonate-induced neuronal apoptosis via inhibition of intracellular calcium-mediated ERK pathway

  • Lee, Eunkyung;Choi, So-Young;Yang, Jae-Ho;Lee, Youn Ju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0권4호
    • /
    • pp.399-406
    • /
    • 2016
  • Early life neuronal exposure to environmental toxicants has been suggested to be an important etiology of neurodegenerative disease development. Perfluorohexanesulfonate (PFHxS), one of the major perfluoroalkyl compounds, is widely distributed environmental contaminants. We have reported that PFHxS induces neuronal apoptosis via ERK-mediated pathway. Imperatorin is a furanocoumarin found in various edible plants and has a wide range of pharmacological effects including neuroprotection.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imperatorin on PFHxS-induced neuronal apoptosis and the underlying mechanisms are examined using cerebellar granule cells (CGC). CGC were isolated from seven-day old rats and were grown in culture for seven days. Caspase-3 activity and TUNEL staining were used to determine neuronal apoptosis. PFHxS-induced apoptosis of CGC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imperatorin and PD98059, an ERK pathway inhibitor. PFHxS induced a persistent increase in intracellular calcium, which was significantly blocked by imperatorin, NMDA receptor antagonist, MK801 and the L-type voltage-dependent calcium channel blockers, diltiazem and nifedipine. The activation of caspase-3 by PFHxS was also inhibited by MK801, diltiazem and nifedipine. PFHxS-increased ERK activation was inhibited by imperatorin, MK801, diltiazem and nifedipine. Taken together, imperatorin protects CGC against PFHxS-induced apoptosis via inhibition of NMDA receptor/intracellular calcium-mediated ERK pathway.

Poly(ε-caprolactone) Microcapsule with Encapsulated Nifedipine Prepared by Magnetic Stirrer

  • Lee, Hyeran;Lee, Deuk Yong;Song, Yo-Seung;Kim, Bae-Yeon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14
    • /
    • 2019
  • The microencapsulation of nifedipine (NF) with 4 wt% of poly(${\varepsilon}-caprolactone$) (PCL)/polyvinylpyrollidone (PVP) or PCL/polyethylene glycol (PEG) was carried out by solvent evaporation method in oil in water emulsion system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VP and PEG addition on drug release behavior of the microcapsules. The PVA (emulsifier) concentration of 1.0 wt% was chosen for the formation of PCL capsule having an average size of $154{\pm}25{\mu}m$ due to nearly spherical shape with a narrow size distribution. As PCL/PVP and PCL/PEG ratios were raised from 10/0 to 6/4, the capsule size increased gradually from $154{\pm}25{\mu}m$ to $236{\pm}32{\mu}m$ and $248{\pm}56{\mu}m$, respectively. The drug release rate of PCL/PVP and PCL/PEG capsules increased dramatically from 0 to 4 h at the beginning and then reached the plateau region from 20 h. As the concentration of PVP or PEG increased, the amount of drug release increased, suggesting that the larger capsule size was attributed to the higher drug content. However, the drug release behavior remained almost constant. The PCL capsules exhibited no evidence of causing cell lysis or toxicity regardless of NF loading, implying that the microcapsules are clinically suitable for use as drug delivery systems.

혈관 수축제의 뇌혈관 수축반응에 대한 혈관근 내피세포의 역할 (Modification of Endothelium on Contractile Response of Brain Vessels to Contracting Agents)

  • 국영종;백영홍;김종근;최봉규;최수형;김연인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03-216
    • /
    • 1988
  • 돼지, 가표 및 가토의 뇌동맥에서 기저동맥 (basilar artery, BA)과 circle of willis동맥 (WC)의 동맥환을 만들어 혈관수축제와 calcium 길항제의 효과 그리고 내피세포의 역할은 검토하였다. 돼지 BA와 WC에 서 norepinephrine (NE), phenylephrine (PE)및 epinephrine (EP)은 propranolol $10^{-6}M$ 전처리하에서 그리고 KCI, histamine, 5-hydroxytryptamine (5-HT) 및 angiotensin은 모두 용량의존성 수축반응을 일으켰다. 그 최대수축력은 angiotensin에서 가장 적었고, 5-HT에서 가장 강력하였다. KCI 35 mM수축반응은 calcium 길항제로 용량의존성으로 억제되었고, 그 효력은 nifedipine > > diltiazem > flunarizine > oxybutynin > isosorbide dinitrate (ISDN) > glycerl trinitrate의 순서였다. 5-HT $10^{-5}M$의 수축반응은 nifedipine으로는 용량의존성으로 억제 되었으나 diltiazem과 ISDN으로는 경미한 억제만을 일으켰다. 내피세포동맥환에서 KCI 35 mM의 수축반응은 acetylcholine (ACh)으로 거의 영향받지 않았으나 $PGF_{2{\alpha}}\;10^{-5}M$의 수축반응은 ACh과 adenosine으로 용량의존성으로 억제되었고, 이 내피세포 의존성억제는 nifedipine $10^{-6}M$로는 영향받지 않으나 methylene blue $50\;{\mu}M$로는 현저히 억제되었다. 네피제거동맥환에의 $PGF_{2{\alpha}}$의 수축반응은 ACh의 영향이 없거나 더욱 수축되었다. 내피세포를 제거하지 않은 가토흉부대동맥편을 bath에 함께 넣어주면 ACh의 용량의존성 이완반응이 나타났고 이 이완반응도methylene blue로 억제되었다. 가묘 BA와 WC에서 5-HT와 NE는 용량의존성 수축반응을 일으켰고 ACh도 내피세포 존재유무와 관계없이 강력한 용량의존성 수축반응을 일으켰으며 그 최대수축력은 ACh에서 가장 강력하였다. 내피세포동맥환에서 5-HT $10^{-5}M$의 수축반응은 ACh에 의하여 이완반응없이 더욱 수측되었다. 가토 BA에서 5-HT와 NE는 응량의존성 수축반응을 일으졌고5-HT의 수축반응이 더욱 현저하였다. 내피세포동맥환에서 5-HT $10^{-5}M$의 수축반응은 ACh $10^{-5}M$로 현저하게 이완되있고 이 내피세포의존성 이완반응은 atropine $10^{-7}M$로는 억제되었으나 diltiazem $10^{-6}M$로는 거의 억제되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성적은 돼지와 가토의 뇌동맥에서 ACh은 내피세포-의존성 이완반응을 일으키며그 이완반응은 muscarinic receptor를 통해 나타났고, 가묘뇌동맥에서 ACh은 혈관수축제의 역할을 갖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니페디핀을 포함한 삼투성펠렛의 제조와 다공성막을 통한 약물방출제어 (Controlled Release of Nifedipine from Osmotic Pellet Based on Porous Membrane)

  • 윤주용;구정;김병수;김문석;이봉;강길선;이해방
    • 폴리머
    • /
    • 제32권4호
    • /
    • pp.328-333
    • /
    • 2008
  • 삼투압을 이용한 약물전달시스템은 소화관내의 물이 다공성막을 통하여 시스템 내부로 침투하면 시스템 내부에 있던 삼투압물질과 섞여 삼투압을 발생시키고, 이 삼투압의 힘으로 시스템 내부에 있는 약물을 시스템 외부로 일정한 속도로 방출하는 제제기술이다. 이러한 삼투압을 이용하여 상용화된 대표적인 제품으로 니페디핀을 모델약물로 한 타블렛제형인 Procadia $XL^{(R)}$(Pfizer)과 $Adalat^{(R)}$(Bayer)가 널리 상용화되어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타블렛 형태의 삼투압정을 유동층코팅 기술을 이용하여 삼투성펠렛으로 제조하였다. 삼투성펠렛은 수팽윤성 고분자와 삼투염을 포함한 시드층, 모델약물인 니페디핀을 포함하는 약물층 그리고 약물의 방출을 조절할 수 있는 다공성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막으로 사용되는 초산셀룰로오스(CA)와 $Eudragit^{(R)}$ RS의 구성비와 코팅두께에 따른 약물방출 거동을 확인하였으며, 다공성막의 구성물질인 CA의 비가 증가할수록 또한 다공성막의 코팅두께가 증가할수록 같은 측정시간 때에 약물의 방출이 낮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약물방출 전후의 펠렛의 형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SEM을 측정하였다.

α2-Adrenoceptor Agonists의 흰쥐 대동맥 이완 작용 (Relaxant Actions of α2-Adrenoceptor Agonists in Rat Aorta)

  • 조인국;이상우;강형섭;서형석;김진상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61-371
    • /
    • 2003
  • The vasorelaxant actions and blood pressure lowering of the ${\alpha}_2$-adrenoceptor agonists (${\alpha}_2$-AAs) clonidine and xylazine were investigated in rat isolated aortic rings and anesthesized rats. Both clonidine and xylazine produced a concentration-dependent inhibition of the sustained contraction induced by norepinephrine (NE), but not by KCl. NE-induced contractions were attenuated partly by nifedipine or verapamil, voltage dependent $Ca^{2+}$ channel blockers. These $Ca^{2+}$ channel blockers-resistant contractions were abolished by clonidine or xylazine. Inhibitory effects of a ${\alpha}_2$-AAs on contractions could be reversed by ryanodine, an intracellular $Ca^{2+}$, transport blocker, and tetrabutylammonium (TBA), a $Ca^{2+}$ activated $K^+$ channel blocker, but not by nifedipine, glibenclamide or removal of extracellular $Ca^{2+}$ and endothelium. Moreover, ${\alpha}_2$-AAs produced relaxation in NE-precontracted isolated intact aortic ring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but not in KCl-precontracted rings. The relaxant effects of ${\alpha}_2$-AAs were inhibited by ryanodine and TBA, but not by nifedipine, glibenclamide, N (G)-nitro-L-arginine (L-NNA), N(omega)-nitro-L-arginine methyl ester (L-NAME), aminoguanidine (AG), 2-nitro-4-carboxyphenyl N,N-diphenylcarhurnte (NCDC), lithium sulfate, staurosporine or removal of extracellular $Ca^{2+}$ and endothelium. In vivo, infusion of xylazine elicited significant decrease in anerial blood pressure. This xylazinelowered blood pressure was completely inhibited by the intravenous injection of TBA, but not by the intravenous injection of glibenclamide, L-NNA, L-NAME, AG, nifedipine, lithium sulfate or saponin.. These findings showed that the receptor-mediated and ${\alpha}_2$-adrenoceptor A-stimulated endothelium-independent vasorelaxant effect may be explained by decreasing intracellular $Ca^{2+}$ release and activation of $Ca^{2+}$-activated $K^+$ channels, which may contribute to the hypotensive effects of ${\alpha}_2$-AAs in rats.

니페디핀의 삼투정 과립 시스템에서 과립의 크기와 약물의 용해도가 약물의 방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ead Size and Drug Solubility on Drug Release from Osmotic Granule Delivery System for Nifedipine)

  • 정성찬;전세강;조영호;김문석;이봉;강길선;이해방
    • 폴리머
    • /
    • 제29권3호
    • /
    • pp.288-293
    • /
    • 2005
  • 약물을 전달하기 위한 많은 방법들 중의 하나인 삼투압을 이용한 과립화는 타블렛 제형의 단점인 제조공정의 복잡함과 여러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유동층 코팅기로 제조된 삼투압을 이용한 과립은 물을 흡수하면 팽윤하는 시드층과 모델 약물인 니페디핀을 포함하는 약물층, 그리고 약물의 방출을 조절할 수 있는 반투막으로 구성되었다. 서로 다른 크기와 반투막의 두께는 각기 다른 양의 시드와 반투막 코팅액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었다. 얻어진 과립은 각 코팅 단계에 따라서 서로 다른 모폴로지는 코팅되는 용액의 형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과립의 크기가 클수록 방출은 지연되며, 이는 과립이 가지는 비표면적의 차이로 인한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반투막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약물의 방출이 지연되는데 이는 반투막이 두꺼울수록 물의 흡수가 늦어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용출액의 약물 용해도는 약물의 방출에 큰 영향을 미쳐 용출액 선택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이 실험을 통해 삼투압을 이용한 과립은 유동층 코팅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었으며, 과립의 크기와 반투막의 두께, 돗출액에 따라 약물의 방출을 조절할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