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검색결과 277건 처리시간 0.032초

창의·융합형 중등예비교사 양성을 위한 수업 혁신 요소를 중심으로 프로젝트 기반 학습(Project-Based Learning:PBL)에서 중등예비교사의 성찰일지 분석 (An Analysis of Self-reflection Journal of Pre-service Teachers' in PBL by focusing on Teaching Innovation Components for Pre-service Teachers' Creativity-convergence)

  • 김은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481-490
    • /
    • 2020
  • 본 연구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Project-Based learning: PBL)에서 중등예비교사들의 성찰일지를 분석하여 인식변화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등예비교사 30명이 계절학기 4주간의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참여하였으며, ATLAS.ti 8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성찰일지 내용에서 한국교육평가원에서 개발한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수업 혁신 지원 방안' 연구보고서의 수업 혁신 요소의 의미가 도출되는지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등예비교사들은 교사의 시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수업지도안 작성부터 시연까지의 과정을 통해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 교수방법의 중요성 인식, 새로운 경험, 상호작용 등에 관한 인식의 변화를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창의·융합형 중등예비교사 양성을 위한 수업 혁신 연구의 필요함을 시사한다.

119구급대원 대상 환자평가 교육과정에서 교육내용, 교수법, 평가 방법의 상대적 중요도 비교 (Comparison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educational content,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in the patient assessment curriculum for 119 EMTs)

  • 서아람;문준동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97-112
    • /
    • 2024
  •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educational content,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in the patient assessment curricula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EMTs). Methods: First, we identified the educational content, training hours, and teaching and evaluation methods of the existing patient assessment curriculum based o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learning module. Second, we surveyed 30 EMTs affiliated with 119 services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method. Subsequently, we compar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urrent curriculum and the AHP analysis results. Results: Currently in operation, the "Advanced EMT Course" comprises three learning modules: assessment of patient status, scene size-up and triage, and assessment using monitoring devices. Among these, content related to the assessment of patient status received the most allocated time and was deemed the most important according to the AHP survey results. Conversely, while less time was allocated to scene size and triage compared with assessment using monitoring devices, the former was assessed as more important than the latter in the AHP results. Furthermore, scenario-based team training and procedure-focused individual practice were evaluated as relatively important teaching methods, while practical examination using a checklist was deemed the most appropriate evaluation method for all learning content. Conclusion: To improve the patient assessment curriculum, we propose adjusting teaching hours and introducing new teaching and evaluation methods based on the results of relative importance. The proposed improvement plan will contribute to enhancing the competency of 119 EMTs.

Observer-Teacher-Learner-Based Optimization: An enhanced meta-heuristic for structural sizing design

  • Shahrouzi, Mohsen;Aghabaglou, Mahdi;Rafiee, Fataneh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62권5호
    • /
    • pp.537-550
    • /
    • 2017
  • Structural sizing is a rewarding task due to its non-convex constrained nature in the design space. In order to provide both global exploration and proper search refinement, a hybrid method is developed here based on outstanding features of Evolutionary Computing and Teaching-Learning-Based Optimization. The new method introduces an observer phase for memory exploitation in addition to vector-sum movements in the original teacher and learner phases. Proper integer coding is suited and applied for structural size optimization together with a fly-to-boundary technique and an elitism strategy.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s further evaluated treating a number of truss examples compared with teaching-learning-based optimization. The results show enhanced capability of the method in efficient and stable convergence toward the optimum and effective capturing of high quality solutions in discrete structural sizing problems.

English Predicate Inversion: Towards Data-driven Learning

  • Kim, Jong-Bok;Kim, Jin-Young
    • 영어영문학
    • /
    • 제56권6호
    • /
    • pp.1047-1065
    • /
    • 2010
  • English inversion constructions are not only hard for non-native speakers to learn but also difficult to teach mainly because of their intriguing grammatical and discourse properties. This paper addresses grammatical issues in learning or teaching the so-called 'predicate inversion (PI)' construction (e.g., Equally important in terms of forest depletion is the continuous logging of the forests). In particular, we chart the grammatical (distributional, syntactic, semantic, pragmatic) properties of the PI construction, and argue for adata-driven teaching for English grammar. To depart from the arm-chaired style of grammar teaching (relying on author-made simple sentences), our teaching method introduces a datadriven teaching. With total 25 university students in a grammar-related class, students together have analyzed the British Component of the International Corpus of English (ICE-GB), containing about one million words distributed across a variety of textual categories. We have identified total 290 PI sentences (206 from spoken and 87 from written texts). The preposed syntactic categories of the PI involve five main types: AdvP, PP, VP(ed/ing), NP, AP, and so, all of which function as the complement of the copula. In terms of discourse, we have observed, supporting Birner and Ward's (1998) observation that these preposed phrases represent more familiar information than the postposed subject. The corpus examples gave us the three possible types: The preposed element is discourse-old whereas the postposed one is discourse-new as in Putting wire mesh over a few bricks is a good idea. Both preposed and postposed elements can also be discourse new as in But a fly in the ointment is inflation. These two elements can also be discourse old as in Racing with him on the near-side is Rinus. The dominant occurrence of the PI in the spoken texts also supports the view that the balance (or scene-setting) in information structure is the main trigger for the use of the PI construction. After being exposed to the real data and in-depth syntactic as well as informationstructure analysis of the PI construction, it is proved that the class students have had a farmore clear understanding of the construction in question and have realized that grammar does not mean to live on by itself but tightly interacts with other important grammatical components such as information structure. The study directs us toward both a datadriven and interactive grammar teaching.

학습 동기에 따른 학습자의 개념 변화 효과 (Effects of Students' Learning Motivations on Concept Change)

  • 백성혜;김혜경;채우기;권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1-99
    • /
    • 1999
  • 화학 변화에 대한 학습자의 선개념과 이를 근거로 개발한 개념변화 수업 지도안을 학생들에게 투입하였을 때, 학습자의 학습 동기에 따라 개념변화 수업 모형의 효과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학습자의 흥미나 태도, 동기 등 정의적인 측면을 고려하지 않고 단지 학습자의 인 지구조에만 초점을 맞춘 기존의 개념변화 수업 모형들을 재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 전 학습동기가 높았던 학생들의 경우에는 교과서 중심의 전통적인 수업을 받은 학생들보다, 개념변화 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화학 변화' 개념을 이해하는 정도가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업 전 학습 동기가 낮았던 학생들의 경우에는 개념변화 수업을 받은 학생들과 전통적인 수업을 받은 학생들의 '화학 변화' 개념에 대한 이해도에는 별다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전 학습동기와 사후 학습동기, 그리고 개념 이해도 사이의 상관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사전, 사후 학습동기와 개념이해도는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수업을 통해 유발된 사후 학습동기는 개념 이해도를 23.30% 정도 설명하였으며, 특히 사후 학습동기의 하위 요소 중에서 '자신감' 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념변화 이론에서는 잠정적으로 전제하고 있는 학습자의 학습동기가 실제로 개념변화 수업이 이루어져 개념 획득이 일어나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이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것이다. 특히 학습 동기의 여러 하위 요소 중에서 '수업을 통한 학습자의 자신감 획득'은 '개념 획득'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사후 학습동기 검사를 통하여 전통적인 수업과 개념변화 수업이 학습자의 학습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결과, 교과서 중심의 전통적인 수업과 개념변화 수업은 모두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유발하는데 효율적이지 못함이 밝혀졌다.

  • PDF

삼각형의 내.외심 지도방법 연구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Incenter and Circumcenter of Triangle)

  • 강윤수;서은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171-188
    • /
    • 2009
  • 이 연구는 현행 삼각형의 내 외심 교수-학습 방법의 문제점을 개선한 지도방법을 고안하여 시행함으로써 이러한 대안적 방법이 학생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의도로 설계되었다. 이를 위해, 이미 삼각형의 내 외심을 학습한 학생들과 수학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내 외심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와 교사들의 지도방법을 파악하였다. 그런 다음, 설문조사에서 드러난 결과적 접근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한 분석적 내 외심 지도방법을 고안하여 활용한 후에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 PDF

인공지능 채팅로봇인 채터봇을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채팅수업방법과 컴퓨터 흥미도의 교수-학습적 영향 분석 (The Effects of Computer Interest Levels and Chatting Method (with AI Chatting robot: Chatterbot) on Teaching and Learning)

  • 김태웅
    • 공학교육연구
    • /
    • 제11권4호
    • /
    • pp.19-33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 채팅로봇 수업방법과 컴퓨터 흥미도가 교수-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으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지능 채팅로봇 수업방법과 컴퓨터 흥미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컴퓨터 흥미도 수준이 집단간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는 없었다. 둘째, 인공지능 채팅로봇 수업방법과 컴퓨터 흥미도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컴퓨터 흥미도가 집단간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사후 피드백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인공지능 채터봇 채팅수업(방법)의 장점은 '새로움(신선함), '시공초월', '반복학습'이었고, 단점은 '답변고정', '정서성 부족'이었다. 그리고 제안점으로는 '문제해결중심'이 도출되었다. 넷째, 학업성취도, 학습동기, 피드백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학업성취도, 학습동기, 피드백 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런 점들은 인공지능 채터봇에 대한 다각적 교수설계전략의 필요성을 제시해준다.

상보적 수업에 대한 웹기반 적용의 효과 (The Effect of Application of Web-based for Reciprocal Teaching)

  • 김선영;한규정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321-332
    • /
    • 2004
  • 최근 학습하는 방법에 관한 학습은 교육학자들의 많은 관심을 끌고 있으며, 학교 교육의 중요한 내용으로 등장하고 있다. 그 이유는 학습자들 중에서 잠재적 능력과 학습에 투자하는 노력에 비하여 학습성과를 얻지 못하는 학습자들이 많을 뿐 아니라, 정보화 사회에서 학습자 스스로가 새로운 정보와 기술을 획득하도록 도와주는 학습전략을 가르쳐 줌으로써, 독립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학습자로 교육시켜야 할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 학습전략을 사용하여 학습자 중심의 자기주도적인 사회과 수업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고, 학습자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 학습전략으로써 상보적 수업을 사용하였으며, 웹의 특성을 상보적 수업과 접목시켜 사회과 수업에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취지에 따라 본 연구는 세 단계의 과정으로 전개되었다. 첫 번째 단계로 프로그램에 적용할 교수-학습이론인 상보적 수업과 사회과에서의 웹 활용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고, 두 번째 단계로 학습자 중심의 자기주도적 수업이 가능한 웹 기반 사회과 상보적 교수-학습 시스템을 구현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구현된 웹 사이트를 실제 수업에 적용한 후 학습자의 사회 학습 능력 및 사회과 학습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분석해 보았다.

  • PDF

A Study on Cognitive Development of Scientifically Talented Students toward Definition and Theorem in the Course of Multivariable Calculus

  • Kim, Seong-A;Choi, Jongsool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6권3호
    • /
    • pp.195-206
    • /
    • 2012
  • We adopt a spirit of Problem based learning to the class of Multivariable Calculus in a school of scientifically talented students and observed effects of our teaching-learning method in the Spring Semester of 2010. Twelve students who enrolled in this clas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We have proceeded with classroom experiment for the half of semester after midterm exam so that the students could compare our teaching-learning method with usual traditional one in the subject of multivariable calculus. Especially, we investigated changes in the learning attitude and cognitive development of the students toward definition and theorem of mathematics. Each group of 4 students worked on a sheet of our well-designed structured problems of several steps in each class and presented how they understood the way of constructing new definition and related theorems. Instructor's role in this research was to guide students' activities as questioner so that students could attain the clear meanings of definitions and theorems by themselves. We firstly analyzed students' process of mathematization of definition through observing their discussions and presentations as well as their achievements in the quizzes and final exams. Secondly, we analyzed students' class-diaries collected at the end of each class in addition to pre/post surveys.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의 u-러닝 교수학습 모형 설계 (A Design of u-Learning's Teaching and Learning Model in the Cloud Computing Environment)

  • 정화영;김윤호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781-786
    • /
    • 2009
  •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은 웹을 기반으로 한 응용분야의 새로운 트랜드이다. 이는 많은 사용자들이 쉽게 인터넷을 통해 자원을 할당받고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는 IT 비즈니스 모델이라 할 수 있다. 또한 u-러닝은 인터넷 기반 학습의 효율성을 극대화한 모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를 인터넷 기반 학습에 응용하는 u-러닝 교수 학습 모형의 설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제안된 교수 학습 모형은 u-러닝에 맞도록 준비, 계획, 수집, 학습 진행, 분석 및 평가, 피드백의 7단계로 구성하였다. 이는 클라우드 u-러닝 서버와 클라우드 LMS를 두어 처리 및 관리하도록 하였으며, 학습자의 이동형 기기 모델의 인식을 위하여 이동형 기기 메타데이터를 두도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