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 records from Korea

검색결과 725건 처리시간 0.028초

New Records of the Diatom Species (Bacillariophyta) from the Seaweed and Tidal Flats in Korea

  • Kim, Byoung Seok;Kim, So Yeon;Park, Jong-Gyu;Witkowski, Andrzej
    • 환경생물
    • /
    • 제35권4호
    • /
    • pp.604-621
    • /
    • 2017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find the indigenous diatom species unrecorded in Korea from February to December 2016. The samples were taken at 28 sites of the coastal regions on the west coast of Korea and Jeju Island. Diatoms were collected mostly from sand and mud of tidal flats, including gravel, seaweed on the bottom and macrophytes floating in the seawater. Diatom specimens were observed by means of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wenty one species were discovered and added as new specimens to the Korean diatom flora, which are divided into 9 orders, 12 families, and 16 genera. The list and photographs of the species are include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in Korea.

Freshwater bryozoans of Korea-observations on living colonies and three new records

  • Hyun Sook Chae;Hyun Jong Kil;Ho Jin Yang;Ji Eun Seo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50-60
    • /
    • 2024
  • We performed a taxonomic study on Korean freshwater bryozoans with the materials collected from 70 localities during 2014 to 2016. A total of 14 Korean freshwater bryozoans are reported through this study. Among them, three Plumatellids, Plumatella fungosa (Pallas, 1768), P. repens (Linnaeus, 1758), and P. reticulata Wood, 1988, are newly added to the Korean fauna. Three species were redescribed with only their statoblasts: Lophopodella carteri, Plumatella rugosa, and Stephanosella hina (Seo, 1998; 2005; Chae et al., 2016). Their colonies were found in Korea for the first time in this study. Since Fredericella sultana, Hyalinella punctata, and Plumatella casmiana were reported from Korea (Toriumi, 1941), neither statoblast nor colony has been found, but we observed them. Living colonies of six species were photographed in the field. Furthermore, the statoblasts of nine species, including three species new to the Korean fauna, were also document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한국 담수산 Jesogammarus (Crustacea , AMphipoda , Anisogammaridae)의 1 신종 (One New Species of Freshwater Anisogammaridae(Crustacea, Amphipoda, Anisogammaridae) from South Korea)

  • 이경숙;서인순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6권2호
    • /
    • pp.251-260
    • /
    • 1990
  • 1987년 7월부터 1990년 5월까지 경기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그리고 전라북도의 11개 지역의 웅덩이와 샘물에서 담수산 옆새우류를 채집하여 관찰한 결과 Jesogammarus(Annanogammarus) 1신종이 확인되어 Jesogammarus(an-nanogammarus) koreaensis라고 명명하여 기재한다. 본종은 Jesogammarus(Annanogammarus) fluvialis Morino 1985와는 제1안테나 첫번째 병부마디에 distal spine이 있는 점이 다르다.

  • PDF

공공기록물 관리에 있어 이명박정부의 책임과 '업적' (New Government's Responsibility and Achievement in Records & Archives Management)

  • 이승휘
    • 기록학연구
    • /
    • 제18호
    • /
    • pp.257-280
    • /
    • 2008
  • 이 글은 국가기록원의 형사고발로 야기된 이른바 '기록물유출사건'을 검토하면서 사건의 진실을 넘어, 이런 사태가 발생하는 근본적인 이유를 점검해보자 한 것이다. 전직대통령은 자신의 재임 기간 중에 생산된 대통령기록물을 언제라도 볼 수 있는 권리가 법률적으로 보장되어 있는데, 이를 확대해석하여 재임시 복제해갔다. 이를 불법이라고 보고 형사고발한 것은 형식상 국가기록원이지만, 실제로는 현정부의 청와대측이었다. 이 사건의 결과가 어떻게 나든가를 차치하고, 이 사건이 기록관리에서 중시되는 것은, 대통령기록물에 대한 보호벽이 무너질지 모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 사건을 발생시킨 근본적 원인을 더듬어보면, 기록관리기구가 여전히 정치적으로 독립성을 갖고 있지 못한데 있다. 그런데 국가기록원이 최근 제출한 기록관리법률 개정안을 보면 국가기록관리위원회의 위상을 국무총리 직속에서 행정안정부 장관 직속의 기관을 하향조정하고 있다. 이는 기록관리기구의 정치적 독립을 더욱 어렵게하는 조치를 크게 우려하지 않을 수 없는 일이다. 기록관리에 있어 기록관리기구의 정치적 독립 이외에 또 하나의 중요한, 어찌보면 더 중요한 요소가 있으니, 기록관리의 전문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기록관리기구가 전문성을 확보하는 구체적인 조치는 개방형직위제의 도입과 전문가의 임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새정부 들어서서 이루어진 국가기록원의 조직개편을 보면, 기록관리의 전문성이 확대되기는 커녕 축소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새정부 들어서서 전개되고 있는 기록관리에 관한 제정책들이 우려를 낳게 하는 것이지만, 어찌보면 이는 지난 정부의 소산이기도 하다. 따라서 새정부가 지난 정부에서 이루지 못했던 기록관리기구의 정치적 독립성을 제도적으로 마련하고, 전문인력의 확충을 지방으로까지 확대시킨다면, 이는 새정부의 책임이자 나아가 업적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ree species of Choreutidae (Lepidoptera) new to Korea with the first record of Brenthiinae for the country

  • Sohn, Jae-Cheo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1권3호
    • /
    • pp.202-207
    • /
    • 2022
  • Three species of Choreutidae, Choreutis atrosignata (Christoph, 1888), Choreutis japonica (Zeller, 1877), and Litobrenthia japonica (Issiki, 1930),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The records of C. atrosignata and C. japonica are based on two females from Yeongwol, Gangwon Province and from the Island Chujado, Jeju Province, respectively. The latter species was obtained from two larvae collected on the leaves of Ficus erecta (Moraceae). Photographs and data of rearing the larvae are provided. The record of L. japonica was based on two specimens collected from the Islands, Bogildo and Wando, Jeollanam Province. The present data of L. japonica represent the first record of the subfamily Brenthiinae and the genus Litobrenthia from Korea. Distributions of two species C. japonica and L. japonica, previously known only from Japan, now extends to Korea. Habitus and genitalia of the species treated here are briefly described and illustrated, if possible. To sum up, the Korean Choreutidae comprises four genera and 10 species, nine in Choreutinae and one in Brenthiinae.

공공기관 기록관리 평가제도의 현황과 개선방향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 for Evaluation System of Records Management in Public Institutions)

  • 박종연;이해영;서효선;김우희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51-274
    • /
    • 2019
  • 공공기관에 기록관리 평가제도가 도입된 지 10년이 지났다. 지난 10년간 공공기관의 기록관리 평가제도는 기록물관리전문요원 배치와 기록관인프라 확충에도 기여하였으나, 현 시점에서는 서열화, 환류조치의 미흡 등 여러 가지 문제점들로 인하여 새로운 평가체제를 도입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기록관리 평가제도에 대한 변화과정 검토를 통해 현황분석을 진행하였고, 전문가 간담회, 현장 방문 등 다양한 방식의 의견수렴을 통해 문제점을 확인하고 개선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여러 문제점 분석에 기반하여 제안한 새로운 기록관리 평가의 방향은 단계별 도입, 기관의 특성에 따른 맞춤형 지표선정, 거버넌스 체계의 도입, 기관의 자율적 지표선정에 의한 자체평가, 그리고 국가기록원의 컨설팅기능 강화 등이다.

한국 기록관리행정의 변천과 전망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es in Korea : Its Development and Prospects)

  • 남효채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9-35
    • /
    • 2001
  • 조선왕조의 기록관리 전통의 맥이 끊어진지 거의 한세기가 지난 1999년도에 한국은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을 제정 시행함으로써 기록관리의 새로운 시대를 맞이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국사 전반에 걸쳐 오백년 간의 중요한 역사적 사실들이 기록되었다. 이것은 인류역사상 주요한 업적이며 전세계적으로 귀한 사례이다. 이것이 가능했던 것은 실록이 누대(累代)의 사관들이 저술하고 편찬한 일차자료인 기록물을 수집, 선정한 것이기 때문이다. 근대적 기록보존소에서는 중요한 공공기록물이 원형대로 보존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기록보존을 위해 중요한 국가 기록물을 평가 선별하는 근대적 기록보존제도를 확립해야 했다. 그러나 일제에 의한 식민지화로 그 기회를 빼앗겼고 우리의 훌륭한 기록보전 전통은 계승되지 못했다. 중앙화된 기록보존제도는 1969년 총무처에 정부기록보존소를 설립함으로써 발전하기 시작했다. 정부기록보존소는 조선왕조의 사고 전통을 계승해서 1984년 부산에 현대적 사고시설을 건축했다. 1998년 정부기록보존소는 대전정부종합청사로 본부를 이전하고 첨단 시청각기록물 서고를 갖추었다. 1996년부터 정부기록보존소는 마이크로필름 보존을 보완하고 수작업 등록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하여 기록물 관리시스템 전산화를 도입했다. 소장 기록물의 디지털화는 이용자에게 디지털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주요한 사업이었다. 이를 위해 정부기록보존소는 새로 컴퓨터/서버 시스템을 구입하고 응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 이와 병행하여 정부기록보존소는 역사학 및 문헌정보학 배경을 가진 아키비스트들을 증원하여 고도의 전문화를 이루는 방향으로 인력구조를 크게 혁신하였다. 보존연구직과 전산직 역시 채용되었다. 새로운 기록물관리법은 2000년 1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이 법은 한국의 기록물관리에 있어 다음과 같은 변화를 가져왔다. 첫째, 이 법은 입법 사법 행정부, 헌법기관, 육해공군, 국가정보원 등 모든 공공기관의 기록물을 규정한다. 범국가적으로 통일된 기록물관리체계가 갖추어지게 되었다. 둘째, 각 기관의 수준별로 공공기록물 관리 기관을 두게 되었다. 중앙기록물관리기관, 국회 및 사법부에 특수기록물관리기관, 대도시 및 도에 지방기록물 관리기관, 공공기관에 자료관 또는 특수자료관, 각 과단위에서는 기록물관리책임자가 기록관리를 책임지게 되었다. 셋째, 공공기관의 기록물은 생산시에 컴퓨터에 등록된다. 따라서 인터넷이나 컴퓨터망을 통해 기록물을 쉽게 추적, 검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넷째, 기록관리학 분야에서 전문적 훈련을 받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배치를 의무화함으로써 기록물의 전문적 관리를 보장하게 된다. 다섯째, 공공기록물의 불법적 처리는 처벌을 받을 수 있는 범죄를 구성한다. 앞으로 공공기록물관리는 한국정부의 '전자정부 추진정책'과 함께 발전할 것이다. 다음과 같은 변화가 예상된다. 첫째 공공기관에서는 전자결재 문서 외에 종이문서, 시청각기록물, 간행물 등도 모두 디지털화하여 행정의 효율화 및 생산성을 제고할게 될 것이다. 둘째, 국회는 이미 특수기록관을 설립하였다. 법원과 국가정보원도 뒤를 따를 것이다. 시도 차원에서 더 많은 기록관들이 설립될 것이다. 셋째, 우리 사회가 지식정보사회화 될수록 기록관리기능은 더욱 중요한 국가기능이 될 것이다. 더 많은 대학교, 학회, 시민단체들이 기록보존에 고한 인식제고에 참여하고, 기록보존운동이 범국민적 차원으로 심화될수록 한국의 기록물관리는 현재보다 눈에 띄게 발전할 것이다.

Two New Records of Monstrilloid Copepods (Crustacea) from Korea

  • Chang, Cheon You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0권3호
    • /
    • pp.206-214
    • /
    • 2014
  • Two monstrilloid copepod species belonging to the genus Monstrilla Dana are newly recorded from Korea: M. grandis Giesbrecht, 1891 and M. hamatapex Grygier and Ohtsuka, 1995. Specimens were obtained from inshore waters around the coasts of South Korea, using a light trap installed at quays and wharves overnight. Based on the Korean specimens, the two species are redescribed, with brief accounts of their affinities and morphological variabilities. Remarkable morphological discrepancies are confirmed in female leg 5 of M. grandis between type material from Southern Hemisphere and European and Asian specimens, which raise a strong doubt on their conspecificity. Korean specimens of M. hamatapex well coincide with the type specimens from Japan, except for some variations in the setal armature of leg 5 and antennules. This is the second taxonomic paper on the monstrilloid copepods in Korea, and the genus Monstrilla is newly added to Korean fau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