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 fertilizer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27초

토양비옥도(土壤肥沃度) 증진(增進) 및 제(諸) 기술요인(技術要因)에 의(依)한 비료(肥料) 소비추세(消費趨勢) 전망(展望) (Prediction of chemical fertilizer consumption in relation to soil fertility improvement and various agriculturai technical factors)

  • 류인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83-199
    • /
    • 1976
  • 1. The cultivated land in Korea has originally low fertility resulting in high dependence to fertilizers. 2. The total fertilizer requirement calculated by the Office of Rural Development (ORD) in 1976 was about 1,153 thousand mts, and the total amount of supply planned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ishery was 1,010 thoushand mts which is close to the amount calculated by ORD. However, there is some gap between the amount of recommended (N, 11.6; $P_2O_5$: $K_2O$, 7.3kg/10a> and supply planned (N, 12.0; $P_2O_5$, 6.3; $K_2O$. 4.8kg/10a) fertilizers for each elements per unit area 3. For 15 years from 1960 to 1975 the fertilizer consumption of nitrogen was roughly increased from 200,000 mts to 500,000 mts; phosphorus, from 50,000 to 250,000 mts; potassium, from 10, 000 to 170,000 mts; accounting 2.5, 5, and 17 times of increase respectively. 4. The total fertilizer consumption for 5 years from 1967 to 1971 was about 100,000 mts and another 5years from 1971 to 1975 was 300,000 mts indicating three times increase. 5. The direct factors influenced to the increase of fertilizer consumption in recent years are 1) the dissemination of high yielding Tongil type rice varieties which are resistant to heavy fertilization 2) high price policy for agricaltural products 3) increased cultivation of vegetables:, fruits, and forages which require high level of fertilizers. The indirect factors are 1) dissemination of new improved agricultural techniques, 2, improvement of cultivated land conditions through irrigation system and land reform, 3) increased supply of silicate fertilizers, and 4) increase of farm income. 6. The percentage of total fertilizer consumption by rice (32%) and barley (25%) is about 57%. The ratio of total fertilizer consumption by vegetables and forages is expected to increase greatly. 7. Based on the increasing tendency of cultivated land and yield per unit area for last 10 years in each crop, total fertilizer consumptions in 1980, 1990, and 2000 year are estimated to 1,290,000, 1,580,000 and 1,870,000 mts respectively.

  • PDF

아마품종의 시비량 반응 (Response of Flax Varieties to Fertilizer Levels)

  • 박희진;권병선;이정일;손응룡;황종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53-357
    • /
    • 1989
  • 아마 답전작 재배에서 시비량에 따르는 주용 형질의 반응을 구명하고자 시험했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성숙기는 3품종 모두 무비구보다 시비구에서 늦었으며 품종별로는 Wiera, Stoment Goss 품종이 무비구에서 6월 15일 ~ 17일인데 비해 시비구에서는 6월 18일~20일로 3~4일 늦었고 Taijungsun#1은 부비구가 6월 13일이었는데 비해 시비구는 6월 14~15일로 1~2일 늦었다. 2. 경장과 유분함량은 시비구에서 경장이 가장 길었고 유분함량도 가장 많았으며 시비량이 더 많은 N-P$_2$O$_{5}$-K$_2$O =9-7-5kg/10a 시비구에서는 오히려 경장이 짧고 유분함량이 적었다. 3. 원경중과 종실중은 3품종 모두 N-P$_2$O$_{5}$-K$_2$O =8-6-4kg/10a의 증시구에서는 직물체의 과번무와 도복 및 모아마의 발생으로 오히려 수량이 감수되었다. 4. 분산분소에서도 품종간, 시비량간, 품종과 시비량의 교호작용에서도 모두 고도의 유의차를 나타내어서 척박지인 사양토의 답전작 아마재배는 N-P$_2$O$_{5}$-K$_2$O =8-6-4kg/10a의 시비에서 가장 좋은 반응을 보여 주었다.

  • PDF

수도(水稻) 통일계(統一系) 품종(品種)의 도열병(稻熱病) 발생(發生)에 미치는 시비수준(施肥水準)의 영향(影響) (Effect of Different Level of Fertilizers on Blast Disease Occurrence of Tongil-line of Rice)

  • 김홍기;박종성
    • 농업과학연구
    • /
    • 제6권2호
    • /
    • pp.97-104
    • /
    • 1979
  • 새로운 도열병균의 생태형에 대하여 감수성이 높은 수도 통일계 품종 밀양 23호의 도열병의 발생경과와 발생양상에 미치는 시비수준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이 연구를 시도하였다. 그 동안에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체로 시비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밀양 23호는 도열병에 대하여 감수성이 더욱 높아지며 발병과 시비 수준사이에 밀접한 관계가 인정되었다. 이와 같은 관계는 마디도열병이나 이삭목도열병의 발생보다도 잎도열병 발생에 있어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시비수준이 낮은 경우에도 마디도열병이냐 목도열병이 상당히 많이 발생하며 시비수준이 높은 경우의 마디 또는 이삭목도열병의 발생과 차이가 크지 않았다. 따라서 시비수준을 조절하므로서 마디 또는 목도열병을 회피시킨다는 것은 불가능할지 모르며 또한 잎도열병의 발생상으로부터 목도열병을 예찰한다는 것도 곤란한 일이라 생각된다.

  • PDF

Evaluation of Growth and Yield on Italian Ryegrass in Reclaimed Land

  • Yun-Ho Lee;Hyeon-Soo Jang;Jeong-Won Kim;Bo-kyeong Kim;Deauk-Kim;Jong-Tak You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2-102
    • /
    • 2022
  • More than 74% of forage crops in Korea are cultivated in winter rice fields. Italian ryegrass (IRG) can be said to be a representative forage crop, but over 70% of its seeds are dependent on imports. In addition, there are concerns that the stable supply of research fees may be disrupted due to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war, and other facto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cure a large production area for stable supply. Korea's reclaimed land area is 135,000 ha and its agricultural area is 112,000 ha.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apply IRG to the domestic IRG seed industry through stable cultivation techniques on reclaimed land. In this study, IRG 'Kowiearly' varsity was cultivated in late October 2020 and early October 2021 in the Saemangeum reclaimed land. The seeding methods were conventional drill sowing seeding, new technology spot seedling (30 × 18 cm) and new technology drill sowing seeding. The amount of sowing was conventional drill sowing seeding 2.0(kg/10a), new technology spot seedling 1.5(kg/10a), and new technology drill sowing seeding 1.5(kg/10a). Fertilizer application amount is conventional drill sowing seeding(N-P2O5-K2O) 9.0-12-12(kg/10a), and new technology spot seedling and drill sowing seeding were(N-P2O5-K2O) 4.5-12-12(kg/10a) respectively. Fertilizer was applied accordingly. After that, in February, the conventional drill sowing seeding, new technology drill sowing seeding and spot seedling applied 4.0 and 2.2(kg/10a) of nitrogen supplement fertilizer, respectively. Before wintering, plant length was higher in 2022 than in 2021, but leaf number was higher in 2021. Heading time was April 30, 2021 and April 25, 2022. In heading time, plant length was 74 cm in 2021 and 67 cm in 2022, lower than in 2021.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anicle and the number of seeds in the 2021 harvester in all treatment plots, and, thus seed yield was no differ. However, the drill sowing seeding and spot seedling of the new technology were somewhat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drill sowing seeding. On the other hand, seed yield was decreased in all treatment plots compared to 2022 because of raifall deficiency in 2021.

  • PDF

대맥(大麥)에 대(對)한 맥기비용(麥基肥用) 신개발(新開發) 복합비료(複合肥料)의 비효에 관(關)한 연구(硏究) (Sudies on the Effect of a New Compound Fertilizer for Application for Barely)

  • 김광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1-36
    • /
    • 1978
  • 용성연비(熔成憐肥)를 함유(含有)하는 입상(粒狀) 신복합비료(新複合肥料)의 보리 기비(基肥)로서의 효과(效果)를 시판(市販) 비종(肥種)들과 비교(比較)하기 위하여 토양중(土壤中) 유효인산(有效燐酸) 함량(含量)이 약(約)50ppm인 식양토(埴壤土) 포장(圃場)에 보리를 공시(供試)하여 1976년(年) 11월(月)부터 1977년(年) 6월(月)까지 실시(實施)한 시험(試驗)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혹한(酷寒)으로 인(因)하여 전국(全國) 공(共)히 심(甚)한 한해(寒害)를 입었으나 처리간(處理間) 생육상(生育狀)과 수량(收量)의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됐다. 2. 초장(草長)과 식물체(植物體) 건물중(乾物重)의 경시적(經時的) 변동양상(變動樣相)으로 볼 때 함용성연비(含熔成憐肥) 신복합비료(新複合肥料)는 초기(初期) 생육(生育)보다는 후기(後期) 생육(生育)을 양호(良好)하게 하는 효과(效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수량(收量)과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로 볼 때에도 위의 추리(推理)를 확인(確認)할 수 있었다. 즉(卽) 함용성연비(含熔成憐肥) 신복비구(新複肥區)의 수량(收量)은 중과석구(重過石區)나 용연구(熔憐區)보다 높았으며 이삭당 알수와 등숙률(登熟率)이 높은 것이 증수(增收)의 원인(原因)으로 나타났다. 4. 식물체(植物體) 분석(分析)을 통(通)한 인산(燐酸) 흡수량(吸收量)으로 볼 때 함용연(含熔憐) 신복비(新複肥)는 후기인산(後期燐酸) 공급(供給)을 원활(圓滑)케 한 것 같다. 그러나 본시험(本試驗) 조건하(條件下)에서는 이 비료(肥料)에 함유(含有)된 고토(苦土)나 규산(珪酸)은 별다른 효과(效果)를 나타내지 않았다. 5. 본(本) 시험성적(試驗成績)은 비정상적(非正常的)으로 혹한(酷寒)이란 조건하(條件下)에서 얻어진 것이며 신비료(新肥料)의 토양중(土壤中)에서의 화학적(化學的) 행동(行動)에 관(關)한 연구결과(硏究結果)가 없으므로 본(本) 시험결과(試驗結果)에서 얻어진 신비료(新肥料)의 우수성(優秀性)은 확정적(確定的)인 것으로 보기는 현재(現在)로서는 어렵다.

  • PDF

토양검정(土壤檢定)에 의한 채소류(菜蔬類)의 삼요소(三要素) 시비량(施肥量) 조정(調整) (Revised Rates of NPK Fertilizers Based on Soil Testing for Vegetable Crops)

  • 이춘수;허범량;송요성;곽한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85-91
    • /
    • 1994
  • 1980~'90년대(年代)의 토양화학(土壤化學) 성분함량(成分含量) 및 기존(旣存) 시비량(施肥量) 성적(成績)을 이용(利用)하여 채소류(菜蔬類)에 대한 시비기준량(施肥基準量)을 보완조정(補完調整)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연대별(年代別) 토양화학(土壤化學) 성분(成分)의 변화를 보면 1980~'90년대(年代)가 1960~'70년대(年代)에 비해 토양(土壤)의 인산(燐酸)과 가리(加里)가 축적(蓄積)되었으며, 전체(全體) 재배면적(栽培面積)에 대해 축적(蓄積)된 유효인산(有效燐酸)(400ppm이상(以上)) 및 치환성가리(置換性加里)(0.7me/100g이상(以上))의 면적(面積) 비율(比率)은 각각 70.5, 59.2%이었다. 2. 1980~'90년대(年代)의 토양화학성분(土壤化學成分)을 토대로 채소류별(菜蔬類別) 시비기준량(施肥基準量)을 하향조정(下向調整)하였으며, 그 결과(結果) 질소(窒素) 0~6.0kg/10a, 인산(燐酸) 0.7~12.3kg/10a, 가리(加里) 2.0~9.0kg/10a의 절감(節減)이 가능하였다. 3. 채소류(菜蔬類)에 대한 현행(現行) 시비추천(施把推薦) 공식(公式)을 종합적(綜合的)으로 보완(補完)해 토양화학성분(土壤化學咸分) 함량(含量)에 의한 필지(筆地)별 시비량추천(施肥量推薦)의 정확도(正確度)를 더욱 높였다.

  • PDF

신개발 심층시비장치를 이용한 심층시비의 밭작물 재배 효과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Deep Fertilization on Upland Crop Cultivation and Ammonia Emissions using a Newly Developed Deep Fertilization Device)

  • 홍성창;김민욱;김진호;박성직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28-34
    • /
    • 2023
  • Nitrogen fertilizers applied to agricultural lands for crop cultivation can be volatilized as ammonia. The released ammonia can catalyze the formation of ultrafine dust (particulate matter, PM2.5), classified as a short-lived climate change pollutant, in the atmosphere. Currently, one of the prominent methods for fertilizer application in agricultural lands is soil surface application, which comprises spraying the fertilizers onto the soil surface, followed by mixing the fertilizers with the soil. Owing to the low nitrogen absorption rate of crops, when nitrogen fertilizers are applied in this manner, they can be lost from land surfaces through volatilization. Therefore, investigating a new fertilization method to reduce ammonia emissions and increase the fertilizer utilization efficiency of crops is necessary. In this study, to develop a method for reducing ammonia emissions from nitrogen fertilizers applied to soil surfaces, deep fertilization was conducted using a newly developed deep fertilization device, and ammonia emissions from barley, garlic, and onion fields were examined. Conventional fertilization (surface application) and deep fertilization (soil depth of 25 cm) were conducted for analysis. The fertilization rate was 100% of the standard fertilization rate used for barley, and deep fertilization of N, P, and K fertilizers was implemented. Ammonia emissions were collected using a wind tunnel chamber, and quantified subsequently susing the indole-phenol blue method. Ammonia emissions released from the basal fertilizer application persisted for approximately 58 d, beginning from approximately 3 d after fertilization in conventional treatments; however, ammonia was not released from deep fertilization. Moreover, barley, garlic, and onion yields were higher in the deep fertilization treatment than in the conventional fertilization treatment. In conclusion, a new fertilization method was identified as an alternative to the current approach of spraying fertilizers on the soil surface. This new method, which involves injecting nitrogen fertilizers at a soil depth of 25 cm, has the potential to reduce ammonia emissions and increase the yields of barley, garlic, and onion.

국내산 유기자원 우각을 활용한 유기질비료의 작물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Application Effects of Organic Fertilizer Utilizing Livestock Horn Meal as Domestic Organic Resource on the Growth and Crop Yields)

  • 장재은;임갑준;이진구;윤승환;홍상은;신기해;강창성;홍순성
    • 유기물자원화
    • /
    • 제27권2호
    • /
    • pp.19-30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산 우각이 혼합된 유기질비료를 개발하여 가장 많은 유기재배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벼를 포함하여 가지에 대한 시용효과를 조사하고 수입 유박을 대체할 유기자원으로 우각의 활용가능성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질소함량이 높은 국내산 유기자원 선발을 위하여 계분, 어분, 콩깻묵, 참깻묵, 들깻묵, 혈분, 우각, 맥주오니 등 8종을 분석하여 질소함량이 높은 유기자원을 선발하였고 보조제로 왕겨 바이오차, 미강 등을 원료별, 혼합비율별로 혼합하고 성분을 분석하여 유기농업에 사용 가능한 유기질비료 제조조건을 확립하였다. 우각은 전질소(T-N) 함량이 12.0 %로 높아 혈분 13.5 % 다음으로 높았으며 어분 및 깻묵은 전질소 함량이 5.9~7.9 % 수준이었다. 계분은 유기농업에 사용가능한 무항생제 산란계 계분을 사용하였으며, 맥주오니는 질소함량이 3.4 %로 나타났다. 무항생제 계분, 우각, 맥주오니 등을 주재료로 바이오차, 미강 등을 보조제로 사용하여 유기질비료를 제조한 결과. 수입유박의 질소함량(4.0~4.2 %) 대비 개발한 유기질비료의 질소함량은 7.5 %로 높고 중금속함량은 Zn 400 mg/kg, Cu 120 mg/kg 이하 등으로 나타나 질소 함량이 높고 유기농업자재 품질기준에 적합한 유기질비료를 개발하였다. 우각이 포함된 유기질비료를 사용하여 벼와 가지를 재배하면서 시용효과를 조사한 결과 토양검정질소시비량 기준 100 % 시용시 혼합유박 대비 시용량을 40 % 감소하였음에도 벼 생육 및 수량이 대등하였으며, 가지 재배시에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우각 등 국산 유기자원을 이용한 새로운 고농도 질소원 선발 및 이를 이용한 유기재배 적합 유기질비료 개발은 친환경농업 확대 보급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지역자원을 이용한 기존 수입 혼합유박 대체 연구의 출발점이자 폐기되고 있는 국내 유기자원의 활용 방안 모색에서 큰 의미를 가지며 향후 확대 보급된다면 친환경농산물의 안정적 생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ssesment of Nitrate Nitrogen in Groundwater in Yanggu-Gun, Gangwon-Do in Korea

  • Choi, Won Gyu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4권6호
    • /
    • pp.26-32
    • /
    • 2019
  • An analysis of groundwater quality is significant for monitoring and managing water contamination and groundwater system. For the purpose of those,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were studied over the concern for water quality, water type and origin of nitrate nitrogen. Total colony counts were detected in 11 out of 20 samples, and the average value was 31.73 CFU/ml. Range and average of NO3-N concentrations were 0.9~24.0 mg/L and 8.3 mg/L. All groundwater types were found to be Ca2+-HCO3-. The range and average of NO3-N were 0.2~17.4 mg/L and 8.7 mg/L, and those of δ15N were 1.7~8.9‰, and 5.0‰. Careful consideration is required for evaluating the origin of nitrogen when NO3-N concentration is low. In general, noticeable difference between rockbed and alluvial water was not found. The ranges of nitrate origins by chemical fertilizer, livestock manure and domestic sewage, and natural soil were 29.6~76.4%, 14.2~58.9% and 2.6~7.0%, and the average values of those were 57.4%, 37.4%, and 5.3%, respectively. Origin of nitrate was affected by more chemical fertilizer than the other parameters. Rockbed water was more affected by chemical fertilizer than alluvial water.

Fly ash 비료화(肥料化) 연구(硏究) -I. Fly ash의 광물학적(鑛物學的) 특성(特性) (Utilization of Fly Ash as a Source of Mineral Fertilizers -I.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 신제성;성기석;김만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09-314
    • /
    • 1987
  • 화력발전소(火力發電所)에서 부생(副生)되는 Fly ash의 비료자원(肥料資源) 가능성(可能性)을 검토(檢討)하기 위해 국내산(國內産) 무연탄(無煙炭) 및 도입(導入) 유연탄(有煙炭)의 회(灰)에 대한 광물학적(鑛物學的) 특성(特性)을 분석(分析)하였다. Fly ash는 규소(珪素), 알미늄이 주성분(主成分)으로서 전형적(典型的)인 규산(珪酸)알미늄 광물(鑛物)의 특성(特性)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비료자원(肥料資源)으로서 규소(珪素) 및 가리(加里)는 식물(植物)에 쉽게 이용(利用)될 수 없는 성분(成分)이었다. X-선회석분석(線回析分析), 시차열분석(示差熱分析), 적외선분광분석(赤外線分光分析) 및 Scanning Electron Micrography 분석(分析)에 의하여 새로운 광물(鑛物)인 Mullite의 형성(形成)을 확인(確認)하였으며 괴상(塊狀)의 규산물질(珪酸物質)이 생성(生成)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