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urotrophic factor

검색결과 224건 처리시간 0.039초

Hirschsprung's Disease: Etiology and Pathophysiology

  • 이명덕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8권1호
    • /
    • pp.41-47
    • /
    • 2002
  • 장 운동은 장근 및 점막하 신경총으로 구성된 내인성 신경계와 외인성 신경계가 합세하여 균형을 이루면서 장관이 팽창하면 상부는 수축하고 하부는 이완되어 장 내용물이 하방으로 이 동하는 운동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신경절 세포가 없으면 내인성 신경계 억제작용 매체인 NO의 결손으로 평활근이 이완되지 않을 뿐더러 외인성 신경계 작용이 장벽에 현저히 증가되어 평소의 2-3배가 되는데 특히 adrenergic 계가 더 작용이 강하여 장벽 긴장도가 증가된 것이 무신경절 장관에서 나타나는 장 운동장애 현상의 병태생리로 설명되고 있다. 이러한 신경총의 부재는 NCC의 이동, 정착 및 성숙에 관여하는 여러 인자들의 복합적인 병적 작용 발현으로 일어나는 발생학적인 현상이며, 이러한 각종 인자들의 결함은 이와 관련된 염색체 혹은 유전자들의 변이 현상에 의한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유전적인 요인들이 깊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 하나씩 증명되어가고 있는 단계라고 말 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HD와 동반되어 나타나는 이러한 현상들을 밝혀 나가고 있는 단계에 불과하며, 이러한 분자생물학적인 지식을 기초로 한다고 하여도 아직은 발병 예방이나 유전적인 치료를 고려할 수 있는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 PDF

Thermitomyces albuminosus powder의 랫드를 이용한 90일 경구투여독성시험 (Repeated Dose 90-Day Oral Toxicity Study of Dried Thermitomyces albuminosus Powder in Rats)

  • 안민지;허혜선;이지선;손혜영;임해옥;박강백;이준헌;지재규;박영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0호
    • /
    • pp.1153-1162
    • /
    • 2016
  • 계종버섯(Thermitomyces albuminosus)의 안정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사료에 계종버섯의 분말을 5%, 2.5%, 1.25%, 0%를 혼합하여 90일 동안 랫드에 자유 급이 시켜 실험동물의 일반증상, 체중변화, 혈액학적 검사, 부검소견, 임상병리, 조직병리학적 검사의 결과를 토대로 독성을 평가하였다. 독성판정기준은 독성의 정도와 양상에 따라 weight-based classification (독성 강도에 따른 분류)로 분류 하였는데 비시험물질-유래 변화인 NOEL, 시험물질-유래 경미한 변화는 NOAEL, 시험물질-유래 중요한 변화는 LOAEL을 기준으로 나누었다. 시험결과, 수컷 좌, 우측 신장 중량이 용량의존적으로 증가하여 고용량군에서는 12%, 8% 증가 하였다. 하지만 임상, 조직병리학적 결과 독성으로 판단되는 소견이 관찰되지 않아 시험물질-유래 경미한 변화로 판단으로 분류하였다. 따라서 판정기준에 따라 수컷은 NOAEL 암컷은 NOEL이 식이함량 5%로 추정되지만 식약처고시에 따라 암수 모두 NOAEL이 식이함량의 5%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계종버섯은 식품 또는 기능성식품으로의 개발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트레드밀 트레이닝이 비만 쥐의 neurotrophins와 초기발현 단백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readmill Training on Neurotrophins and Immediately Early Protein in Obese Rats)

  • 우진희;신기옥;여남회;박소영;강성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7호
    • /
    • pp.985-991
    • /
    • 2011
  • 본 연구는 고지방식이로 인한 비만으로 불균형된 지질구성과 산화적 손상이 신경세포형성과 초기발현단백질에 미치는 생물학적 영향을 알아보고, 규칙적인 운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동물은 4주령 SD rat 수컷 30마리를 1주간의 적응기간을 둔 뒤, 15주간 고지방식이를 통해 비만으로 유도하였으며, high fat diet sedentary (HDS, n=15)와 high fat diet and training (HDT, n=15)으로 분류하여 연구하였다. 운동강도는 1~4주는 저강도, 5~8주는 중강도로 주5회 실시하였다. 8주 트레이닝 후 혈청지질, 8-OHdG, MDA, neurotrophic factor, 그리고 IEG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TC와 TG에서 HDS와 HDT 사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8-OHdG에서 HDT는 트레드밀 트레이닝 후에 HDS보다 낮게 나타났다(p<0.05). 해마에서 c-jun, BDNF 그리고 간에서 MDA의 단백질 발현은 HDT가 트레드밀 트레이닝 후 HDS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결론적으로 8주간 트레드밀 훈련은 고지방식이 비만 유도 쥐의 혈청지질 성분의 불균형을 개선시키고, 조직과 혈청의 산화적 손상과 DNA 손상을 완화시켜 주어, 비만으로 인한 합병증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NT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손상된 뇌기능과 신경세포의 생성 기전 활동에 긍정적 영향을 나타냄으로써 공간적 학습기능의 향상을 가져온 것으로 판단된다.

운동 트레이닝이 비만 어린이의 neurotrophins, HGF (hepatocyte growth factor)와 산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xercise on Neurotrophins, Hepatocyte Growth Factor (HGF), and Oxidative Stress in Obese Children)

  • 우진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69-574
    • /
    • 2012
  • 본 연구는 운동 트레이닝이 비만 어린이의 산화적 스트레스, 신경성장 및 간 세포성장 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12주간 유산소 운동을 실시한 후 트레이닝 전과 후의 농도 수준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NGF와 BDNF는 트레이닝 전과 후 모두 OT군이 NT군 보다 낮았으며, NGF는 트레이닝에 따라 두 그룹 모두 증가되었다. HGF는 트레이닝 전 OT군이 NT군 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트레이닝 후 차이는 없었다. MDA, ox-LDL, 8-OHdG 모두 OT군이 NT군 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냈고, 트레이닝에 따른 차이는 ox-LDL에서만 발견되었다. 이상의 결과, 비만은 성장기 어린이에게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신경과 간 성장인자의 분비 이상을 초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12주 유산소 운동은 이들 인자들의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인지기능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Lactobacillus plantarum C29 Alleviates TNBS-Induced Memory Impairment in Mice

  • Lee, Hae-Ji;Jeong, Jin-Ju;Han, Myung Joo;Kim, Dong-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1호
    • /
    • pp.175-179
    • /
    • 2018
  • In a preliminary study, Lactobacillus plantarum C29 was found to suppress 2,4,6-trinitrobenzenesulfonic acid (TNBS)-induced colitis in mice. Therefore, to understand whether an anti-colitic probiotic C29 could attenuate memory impairment, we examined the effects of C29 on TNBS-induced memory impairment in mice. Orally administered Lactobacillus plantarum C29 attenuated TNBS-induced memory impairment in mice in the Y-maze, noble object, and passive avoidance task tests. C29 treatment increased TNBS-suppressed hippocampal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expression and inhibited TNBS-induced hippocampal NF-${\kappa}B$ activation and blood LPS levels. Moreover, C29 restored the TNBS-disturbed gut microbiota composi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29 can alleviate memory impairment presumably by restoring the gut microbiota composition.

BDNF Promotes Neurite Growth and Survival of Antennal Lobe Neurons from the Silk Moth Bombyx mori in vitro

  • Kim, Jin-Hee;Sung, Dong-Kyung;Park, Chan-Woo;Kim, Kang-Min;Park, Hun-Hee;Kim, Hak-Ryul;Lee, Bong-Hee
    • 한국잠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잠사학회 2003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f Silkworm/Insect Biotechnology and Annual Meeting of Korea Society of Sericultural Science
    • /
    • pp.99-99
    • /
    • 2003
  •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induced a significant neurite extension of antennal lobe (AL) neurons from the silk moth Bombyx mori in culture on lamini/ concanavalin A-coated dishes, in comparison with smaller effect of 20-hydroxyecdy-sone (20-HE). But the effect fur neurite extension by 5-hydroxytryptamine (5-HT) could not be foun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new primary branches from the principal neurites of AL neurons was also shown in culture with BDNF and 5-HT, but not with 20-HE. (omitted)

  • PDF

인간 신경아세포종 세포 배양을 통한 뇌 신경세포 생육 촉진인자의 생산

  • 홍종수;우광회;.박경유;이현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02-105
    • /
    • 1997
  • In cultivating human neuroblastoma cells maximum number of neurites per cell and length of the neurite were estimated as 5.5 and 2.2 (nm),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nerve cells. Maximum specific BDNF production rate was also calculated as 2.5$\times $10$^{-5}$(ng/cell/day) at 7$\times $ 10$^{5}$ (viable cells/ml) of maximum cell density, corresponding to 100 (ng/mL) of BDNF. The secretion of BDNF was occurred most in the later peroids of the cultivation, yielding 75 (ng/mL) of BDNF. The production of rate of BDNF was elongated in adding 1 ($\mu $g/mL) of BDNF as well as 40% increase of the length of the BDNF. It proves that BDNF can be used as one of biopharmaceuticals to treat age-related diseases such as Alzheimer's disease and Prakinson's disease. It can also provide the information of scaling-up mammalian cell cuture system to economically produce BDNF.

  • PDF

Job Stress and Neuropeptide Response Contributing to Food Intake Regulation

  • Kim, Ki-Woong;Won, Yong Lim;Ko, Kyung Sun;Kang, Seong-Kyu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1권4호
    • /
    • pp.415-420
    • /
    • 2015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between food intake behavior and job stress level and neuropeptide hormone concentrations. Job strain and food intake behavior were first identified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concentrations of neuropeptide hormones (adiponectin, brain 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leptin, and ghrelin) were determined, and the correlations were analyzed. In the results, job strai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diponectin (odds ratio [OR], 1.220; 95% confidence interval [CI], 1.001~1.498; p < 0.05) and BDNF (OR, 0.793; 95% CI, 0.646~0.974; p < 0.05), and ghrelin exhibit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ood intake score (OR, 0.911; 95% CI, 0.842~0.985, p < 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job stress affects food intake regulation by altering the physiological concentrations of neuropeptide hormones as well as emotional status.

자살 : 유전자-환경 상호작용 (Suicide : Gene-Environment Interaction)

  • 김용구
    • 생물정신의학
    • /
    • 제17권2호
    • /
    • pp.65-69
    • /
    • 2010
  • Gene-environment interactions are important in pathogenesis of suicide or suicidal behavior. Twin and adoption studies and family studies show that genetic factors play a critical role in suicide or suicidal behavior. Given the strong association between serotonergic neurotransmission and suicide, recent molecular genetic studies have focused on polymorphisms of serotonin genes, especially on serotonin transporter and tryptophan hydroxylase genes. Some studies have reveale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s allele of the serotonin transporter gene and the risk of suicide attempt associated with childhood trauma. In addition, the polymorphism o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gene also may influence the effect of childhood trauma in relation to the risk of attempting suicide. Future studies should explore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suicide or suicidal behavior and examine for gene and environment inter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