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onate

검색결과 462건 처리시간 0.028초

대동맥 축착증 및 심한 대동맥 협착을 가진 저체중 신생아(2.4 kg)의 수술 전후 발생한 심실 기능 부전의 치료에 대한 양심실 보조 장치 적용 치험 예 (The Application of a Bi-ventricular Assist Device for a Low Weight (2.4 kg) Neonate with Coarctation of the Aorta and Critical Aortic Stenosis)

  • 곽재건;박천수;이창하;이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3호
    • /
    • pp.304-307
    • /
    • 2010
  • 대동맥 축착증 및 심한 대동맥 협착을 가진 생후 5일의 환자가 대동맥 협착을 해결하려는 중재적 시술 도중 유도 카테터에 의한 우측 경동맥 손상으로 인한 출혈 및 심낭 내 탐폰으로 인한 심정지가 발생하여 심폐소생술 후 체외막성산화기 보조를 받았다. 환자의 체중은 2.4 kg이었다. 1일 후 수술적 완전 교정술을 시행하였으나, 수술 직후 심한 심기능 저하로 인하여 양심실 보조 장치로 순환 보조를 하였고, 3일 후 양심실 보조 장치 이탈에 성공하였다. 이후 환자는 일반적인 치료 후 특별한 문제없이 퇴원하였다.

저체중 미숙아에서 시행만 심실중격결손을 동반한 대동맥축착증 완전 교정술 (Complete Repair of Coarctation of the Aorta and a Ventricular Septal Defect in a Low Birth Weight Neonate)

  • 곽재건;전재현;유재석;김웅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4호
    • /
    • pp.480-483
    • /
    • 2008
  • 질환에 따라서 많은 논란이 있으나, 최근 선천성 심기형의 수술적 교정시 조기의 일단계 완전 교정술을 시행하는 쪽이 장점이 부각되고 있다. 저체중(low birth weight) 미숙아에서 체외순환을 통한 개심술은 여러 가지 이유로 수술이 쉽지 않아 환자의 체중 및 장기 기능이 발달할 때까지 단계적으로 수술을 시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증례에서는 심실 중격 결손을 동반한 대동맥축착증을 가진 태내주수 29주, 출생체중 1,280 g, 수술 당시 체중 1,250 g의 미숙아의 성공적인 일단계 완전 교정술을 보고하고자 한다.

산후 6개월동안 산모와 신생아의 가정간호 요구-후향적 방법 (Home Care Needs of Parturient Women and Neonates-Retrospective Study)

  • 장순복;최연순;박소미;박정숙;김은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507-517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me care needs for parturient women and neonates up to the postpartum period. Methodology : The design of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survey study.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88 postpartum mothers who delivered a first baby during the period from December 1996 to July 1997. Data collection was done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by mailing. Data were collected at the point of six months after delivery. A structured questionnaire composed of items related to home care needs. Data analysis was done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 .The highest need was personal hygiene(93.2%) for the parturient women, and the peak period was the two week period after delivery. .The most frequent maternal needs regarding neonates were cord care (72.4%) during the first week, elimination(67.9%) during the first two weeks, baby crying(88.3%) and sleeping pattern(71.5%) at one month after delivery, and baby temperament(30.4%) at sixth months after delivery. .The mothers requested home care methods such as written material for self health care (35%) and counseling(34%) and direct home visits (5%) for neonate care. - Conclusion : The most important period for home health care needs was one week after delivery, and the health care needs for neonate temperament, behavior and sleeping pattern rose rapidly at the period of 6 months after delivery. Therefore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postpartum home care should be done by those, written material should be enhanced for parturient women care, and counseling enhanced for neonate care.

  • PDF

태변 흡인 증후군 신생아에서의 피하지방괴사 1례 (A Case of Subcutaneous Fat Necrosis in Neonate with Meconium Aspiration Syndrome)

  • 홍미애;오경창;안승인;신혜정;장진근;이병두;김병일;최중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11호
    • /
    • pp.1422-1425
    • /
    • 2002
  • 저자들은 태아 곤란증 때문에 제왕절개한 과체중아로 저산소성 손상을 받은 태변 흡인 증후군 환아에서 생후 3-4일경에 어깨와 등에 여러 개의 홍반성의 결절과 반이 발생하였고 악화와 완화를 반복했으며 2-3회의 바늘 흡인(needle aspiration)을 시행하였고 합병증 없이 1세경 소실되었던 신생아 피하지방괴사 1례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Expression of ATP-sensitive Potassium Channel and Sulfonylurea Receptor in Neonate and Adult Rat Tissues

  • Lee, So-Yeong;Lee, Hang;Lee, Mun-Han;Ryu, Pan-Do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5권5호
    • /
    • pp.433-441
    • /
    • 2001
  • The ATP-sensitive potassium $(K_{ATP})$) channel is a member of inward rectifier potassium channel (Kir) that is inhibited by intracellular ATP and functions in close relation to sulfonylurea receptors (SUR). Although the molecular mechanism and physiological function of $K_{ATP}$ channels are well understood, the expression pattern during development or treatment with the channel modulators such as glybenclamide is little known. In this work, we determined mRNA levels of a $K_{ATP}$ channel (Kir6.2) and a sulfonylurea receptor (SUR2) in rat tissues by RNase protection assay. Levels of Kir6.2 and SUR2 mRNA in the rat brain and skeletal muscle were higher in adult $(90{\sim}120\;days)$ than in neonate $(2{\sim}8\;days),$ whereas those in the heart were not much different between neonate $(2{\sim}8\;days)$ and adult $(90{\sim}120\;days).$ In addition, none of $K_{ATP}$ channel modulators (opener, pinacidil and nicorandil; blocker, glybenclamide) affected the Kir6.2 mRNA levels in the heart, brain and skeletal muscl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xpression of Kir and SUR genes can vary age-dependently, but the expression of Kir is not dependent on the long-term treatment of channel modulators. The effect of the channel modulators on mRNA level of SUR is remained to be studied further.

  • PDF

임신중(姙娠中) 유리(遊離)Thyroxine $(T_4)$의 동태(動態) (An Evaluation of Thyroid Hormones$(T_4,\;T_3\;&\;Free\;T_4)$ Concentrations During Pregnancy)

  • 이규보;김지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1-25
    • /
    • 1981
  • 갑상선(甲狀線) hormone인, $T_4,\;T_3$, 및 유리(遊離) $T_4$치(値)를 임신3분기별(姙娠3分期別), 분만직후(分娩直後), 그리고 신생아(新生兒)의 제대혈(臍帶血)에서 측정(測定)(RIA)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成績)을 얻었다. 1) 임신중(姙娠中) 혈청(血淸) $T_4$치(値)는 정상대조군(正常對照群)에 비(比)하여 높았으며 분만직후(分娩直後)에는 약간(若干) 높았으나 신생아(新生兒)에서는 정상(正常)이었다. 2) 혈청(血淸) $T_3$치(値)는 임신중(姙娠中)에 정상범위(正常範圍)였으나, 분만직후(分娩直後)에 정상(正常)의 2배이상(2倍以上) 상승(上昇)했으며 신생아(新生兒)에서는 정상대조군(正常對照群)에 비(比)하여 저하(低下)되었다. 3) 혈청유리(血淸遊離) $T_4$치(値)는 임신중기(姙娠中期)와 말기(末期)에서 유의(有意)하게 저하(低下)되었고 분만직후(分娩直後)나 신생아(新生兒)에서는 정상(正常)이었다. 따라서 여러 학자(學者)들이 보고(報告)한 바와 같이 갑상선중독증환자(甲狀線中毒症患者)가 임신(姙娠)이 된다면 중독증상(中毒症狀)이 개선(改善)된다는 사실(事實)을 저자(著者)들은 유효(有效) hormone인 $T_3$의 저정상범위(低正常範圍)에 머무는 것과 유리(遊離) $T_4$가 저하(低下)되는 것으로 설명(說明)될 가능성(可能性)을 제시(提示)하는 바이다.

  • PDF

선천성 사경을 동반한 더러브렛 신생망아지의 혈액화학 평가 (Evaluation on Blood Chemistry in a Thoroughbred Neonate (1-day old) with Congenital Torticollis)

  • 양재혁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1권2호
    • /
    • pp.71-76
    • /
    • 2019
  • 말의학에서 선천성 사경에 관한 임상병리학적 보고는 없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선천성 사경을 동반한 신생망아지의 혈액화학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Thoroughbred 망아지(암)가 341일의 정상 임신기간을 거쳐서 태어났다.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혈액화학검사에서 CK (creatine kinase), LDH (lactate dehydrogenase) 그리고 Na은 상당히 증가하였으나 Cl는 심각하게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목근육의 세포는 망아지의 임상병리학적 수치에 영향을 미쳤다. 이는 선천성 사경의 원인이 경추와 같은 뼈의 문제뿐만 아니라 근육장애일 수 있다. 저자들이 알기로는 본 논문은 신생망아지의 사경증에 관한 최초의 임상병리 보고서이다. 이 자료는 선천성 결손을 가진 망아지의 임상병리 해석에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수신증으로 발견된 신생아의 포도상의 윌름스 종양: 증례 보고 (Botryoid Wilms Tumor in a Neonate Presenting with Fetal Hydronephrosis: A Case Report)

  • 김주현;유소영;전태연;김지혜;김정선;백민기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3호
    • /
    • pp.701-706
    • /
    • 2020
  • 포도상의 윌름스 종양은 신우에서 발생하는 윌름스 종양의 희귀한 변이형이며 태아 혹은 신생아에서 진단된 경우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다. 저자들은 산전 초음파에서 우연히 발견된 수신증으로 내원한 신생아의 포도상의 윌름스 종양을 경험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출생 후 초음파 검사에서 확장된 신우 및 신배를 채우는 다수의 소엽상의 저에코 종괴가 관찰되었고 종괴 내부는 다양한 정도의 혈류 증가 소견을 보였다. 저자들이 아는 한, 영문으로 보고된 가장 어린아이에서 발생한 윌름스 종양의 증례이다.

신생아의 TPN 요법 시 발생되는 Cholestasis 치료를 위한 Ursodeoxycholic Acid의 약물사용 평가 (Drug Evaluation of Ursodeoxycholic Acid Use for Treatment of Cholestasis Associated with TPN Therapy in Neonate)

  • 이정옥;송태범;이명구;임성실
    • 약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270-281
    • /
    • 2010
  • 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 is necessary to neonate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for survival and growth because of impossible of enteral feeding. Long-term TPN can be associated with a broad spectrum of hepatobiliary disorder, ranging from mild hepatic dysfunction to severe end-stage liver disease. Cholestasis developed most commonly in neonate, ursodeoxycholic acid (UDCA) is widely used in adult with cholestatic and non-cholestatic liver diseases but there have been limited data on the effects in neonate with PNAC. This study was performed retrospectively to review all medical histories of the total 30 neonates with was administrated UDCA for treatment to parenteral nutrition associated cholestasis (PNAC) a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NICU from April 2002 to December 2008. UDCA was administrated at bilirubin is over 2 mg/dl. The criterias for drug evaluation were included hepatic biochemical marker such as direct bilirubin, total bilirubin, AST, ALT, ALP and GGT, TPN therapy period, cholestasis development period, UDCA treatment period, UDCA dosage and adverse effect. In the results, Post-UDCA treatment significant was decreased direct bilirubin, total bilirubin, AST and ALP (p<0.05), and was decreased GGT (p>0.05) and slightly was increased ALT (p>0.05). Reffective timect biDCA was appear at mean $10.5{\pm}1.3$ days, iDCA administration period was mean $64.4{\pm}5.9$ days, cholestasis period was mean $71.9{\pm}6.4$ days and UDCA dosage was mean $22.9{\pm}0.9$ mg/kg/day. Common adverse effects is diarrhea, 5 patients arised mild diarrhea but it possible also related with increased enteral feeding. In conclusion, iDCA can decrease direct bilirubin that major parameter t bcholestasis and oher hepatic biochemical makers. UDCA is effective on PNAC without any serious side effect and cost-effective. Although no greatly shortening cholestasis period, but can protect to develop into severe liver disease and other complication or death. Based on these result, UDCA is recommended for treatment of cholestasis at direct bilirubin is over 2 mg/dl.

신생아에서 종양으로 오인되는 폐 육아종의 비전형적인 소견을 보인 만성 육아종성 질환: 증례 보고 (Atypical Presentation of Chronic Granulomatous Disease in a Neonate with a Pulmonary Granuloma Mimicking a Tumor: A Case Report)

  • 유영진;선주성;이장훈;정현주;고영화;정준호;김현지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4호
    • /
    • pp.990-995
    • /
    • 2020
  • 만성 육아종성 질환은 유전성 면역결핍질환으로 포식세포가 정상기능을 하지 못함으로써 만성적이고 반복적인 감염이 생긴다. 염증성 육아종의 형성은 다양한 장기에서 관찰되며 폐를 침범할 경우 영상학적 특징으로는 대부분 다발성 결절 또는 경결로 나타난다. 저자들은 신생아에서 종양으로 오인되는 폐 육아종의 비전형적인 소견을 보인 만성 육아종성 질환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 증례는 발열을 주소로 내원한 생후 24일된 남아로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에서 우하폐에 위치한 비균질 조영 증강되는 종괴가 있었다. 종괴 내부 조영 증강되지 않는 부분은 자기공명영상의 확산강조영상에서 고신호 강도를 보였다. 환자는 수술적 절제를 시행하였고 X-염색체 연관 gp91phox 유전자 돌연변이의 만성 육아종성 질환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우리는 본 증례 발표를 통해 이러한 비전형적인 만성 육아종성 질환의 임상적, 영상학적인 특징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