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18초

토빗모형을 이용한 교차로 보행자 사고모형 개발 (Developing the Pedestrian Accident Models of Intersections using Tobit Model)

  • 이승주;임진강;박병호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154-159
    • /
    • 2014
  • This study deals with the pedestrian accidents of intersections in case of Cheongju. The objective is to develop the pedestrian accident models using Tobit regression model. In pursuing the above, the pedestrian accident data from 2007 to 2011 were collected from TAAS data set of Road Traffic Authority. To analyze the accident, Poisson, negative binomial and Tobit regression models were utilized in this study. The dependent variable were the number of accident by intersection. Independent variables are traffic volume, intersection geometric structure and the transportation facility.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obit model was judged to be more appropriate model than other models. Also, these models were analyz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such the main variables related to accidents as traffic volume, pedestrian volume, number of traffic island, crossing length and the pedestrian countdown signal systems were adopted in the above model.

딥 러닝을 이용한 고속도로 교통사고 건수 예측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Development of Expressway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 Using Deep Learning)

  • 류종득;박상민;박성호;권철우;윤일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4-25
    • /
    • 2018
  • 최근 빅데이터 시대의 도래와 함께 교통사고와 관련된 요인을 설명하기 용이해졌다. 이에따라 최신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교통사고 자료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속도로 교통사고 자료를 이용하여 고속도로의 주요 분석 단위인 콘존의 교통사고 건수를 예측하기 위하여 음이항 회귀모형과 딥 러닝을 이용한 기법을 적용하고 예측 성능을 비교하였다. 예측 성능 비교 결과, 딥 러닝 모형의 MOE들이 음이항 회귀모형에 비해 다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MAD 기준으로 차이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딥 러닝을 이용할 경우 다른 독립변수들을 추가하는 것이 용이하고, 모형의 구조 등을 변경할 경우 예측 신뢰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과대산포 가산자료의 새로운 표본선택모형 (A new sample selection model for overdispersed count data)

  • 조성은;조준;김형문
    • 응용통계연구
    • /
    • 제31권6호
    • /
    • pp.733-749
    • /
    • 2018
  • 어떠한 연구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는 관찰치가 부분적으로 관측 가능할 때 표본선택의 문제가 일어난다. 이러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헤크만은 표본선택 모형을 개발하였고 이변량 정규분표의 가정 하에 최대우도방법을 사용하여 모수를 추정하였다. 최근 이항자료와 포아송 자료에 대한 표본선택모형이 제안되었다. 이를 분포조정에 기초하여 과대산포 자료에 대한 모형으로 확장하고자 한다. 표본선택이 없는 과대산포 자료는 흔히 음이항 분포로 분석되어진다. 따라서 음이항 분포를 이용하고 분포조정을 도입한 과대산포 자료에 대한 새로운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실제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프로파일 우도함수를 이용하여 모수에 대해 추정한 결과는 안정적이다.

영과잉 가산자료(Zero-inflated Count Data) 분석 방법을 이용한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노인학대 발생과 심각성에 미치는 위험요인 분석 (Risk Factors Influencing Probability and Severity of Elder Abuse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pplying 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Modeling of Abuse Count Data)

  • 장미희;박창기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819-832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risk factors that influence the probability and severity of elder abuse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Methods: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data from community-dwelling Koreans, 65 and older (N=416). Logistic regression,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d 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 for abuse count data were utilized to determine risk factors for elder abuse. Results: The rate of older adults who experienced any one category of abuse was 32.5%. By 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alysis, the experience of verbal-psychological abuse was associated with marital status and family support, while the experience of physical abuse was associated with self-esteem, perceived economic stress and family support. Family support was found to be a salient risk factor of probability of abuse in both verbal-psychological and physical abuse. Self-esteem was found to be a salient risk factor of probability and severity of abuse in physical abuse alone.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ailored prevention and intervention considering both types of elder abuse and target populations might be beneficial for preventative efficiency of elder abuse.

청주.청원 지방부 신호교차로의 후미추돌 사고모형 (Rear-end Accident Models of Rural Area Signalized Intersections in the Cases of Cheongju and Cheongwon)

  • 박병호;인병철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51-158
    • /
    • 2009
  • 본 연구는 지방부에서의 후미추돌사고를 다루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신호교차로의 후미주돌 사고특성을 분석하고 청주 청원에 대한사고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도시부와 지방부의 특성을 비교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종속변수는 사고건수와 EFDO(equivalent property damage only)이며, 독립변수는 교통량과 기하구조 요소들로 이루어졌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고건수를 종속변수로 이용한 포아송 회귀모형과 EFDO를 종속변수로 이용한 음이항 회귀모형이 통계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분석된다. 둘째, 포아송 회귀분석 결과 나타난 독립변수들은 중차량비, 교통량 합계 그리고 차량 유출입구 합계이며 음이항 회귀분석으로 나타난 요인은 주도로 폭, 교통량 합계 그리고 중차량비로 분석된다. 마지막으로, 지방부에서의 특정 독립변수는 주도로 폭과 중차량비 그리고 차량 유출입구 합계이다.

  • PDF

회전교차로 측면충돌 사고모형 개발 (Developing the Sideswipe Accident Model at Roundabouts)

  • 박병호;임진강;김성룡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4-110
    • /
    • 2015
  • This study deals with the roundabout accident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ideswipe accident models at roundabout. In the pursuing the above, this study gives particular attentions to collecting the data of geometric structure and accidents of 54 roundabouts in Korea and developing the Poisson an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ideswipe accident is analyzed to be the highest frequency that is 39.5% of total accident data. Second, Poisson models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s developed. Finally, traffic volume per approach($X_1$), number of circulatory roadway($X_3$), operation of parking lot($X_4$) and width of circulatory roadway($X_6$) are adopted as the common variables. This study might be expected to give some implications to the accident research on the roundabout.

회전교차로에서의 화물차 사고모형 (Traffic Accident Models for Trucks at Roundabouts)

  • 손슬기;김태양;박병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53-59
    • /
    • 2017
  • PURPOSES : This study deals with traffic accidents involving truck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raffic accident model for trucks at roundabouts. METHODS : To achieve its objective, this study gives particular attention to develop appropriate models using Poisson an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s. Traffic accident data from 2007 to 2014 were collected from TAAS data set of road traffic authority. Thirteen explanatory variables such as geometry and traffic volume were used. RESULTS : The main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wo statistically significant Poisson models (${\rho}^2=0.398$ and 0.435) were developed, and (2) the analysis revealed the common variables to be traffic volume, number of exit lanes, speed breakers, and truck apron width. CONCLUSIONS : Our modeling reveals that increasing the number of speed breakers and speed limit signs, and widening the truck apron width are important for reducing the number of truck accidents at roundabouts.

포아송 및 음이항 회귀분석을 이용한 해상운임 결정요인이 해운선사의 블랭크 세일링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 (A Study on Impact of Factors Influencing Maritime Freight Rates Using Poisson an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alysis on Blank Sailings of Shipping Companies)

  • 류원형;남형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62-77
    • /
    • 2024
  • 해상운송 산업에서는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세계 주요 해운선사들이 해운 시황에 따른 선복량을 탄력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블랭크 세일링을 주요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블랭크 세일링은 중국의 춘절 기간에 맞추어 많이 실시되어 왔지만, 2020년부터 시작된 글로벌 팬데믹과 미국·중국 간 무역 전쟁 등과 같은 특수한 상황으로 인해 최근 해운선사들은 기존 대비 큰 규모의 블랭크 세일링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블랭크 세일링은 화물 운송 지연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기업과 소비자의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포아송 회귀모형과 음이항 회귀모형을 활용하여 해상운임 결정요인이 해운선사의 블랭크 세일링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포아송 회귀분석의 2M의 경우 유의한 변수로 글로벌 컨테이너 해상물동량, 컨테이너 선복량, 컨테이너선 해체량, 컨테이너선 신조선가지수, OECD 인플레이션을 도출하였고, 음이항 회귀분석의 Ocean Alliance의 경우 글로벌 컨테이너 해상물동량과 컨테이너선 발주량을, THE Alliance의 경우 컨테이너선 선복량과 금리를, Non-Alliance의 경우 국제유가, 글로벌 공급망 압력지수, 컨테이너선 선복량, OECD 인플레이션을, Total Alliance의 경우 컨테이너선 선복량과 금리를 유의한 변수로 도출할 수 있었다.

ZAM 모형을 이용한 청주시 간선가로 구간의 사고모형 개발 (Developing the Accident Models of Cheongju Arterial Link Sections Using ZAM Model)

  • 박병호;김준용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43-49
    • /
    • 2010
  • 본 연구는 청주시의 가로구간 교통사고를 다루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가로구간의 사고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전체 322개 세부구간으로 분리된 간선도로의 사고 자료를 이용하여 ZAM 모형을 개발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ZAM 모형의 일종인 ZIP(zero inflated Poisson model)과 ZINB(zero inflated negative binomial model)를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형의 적합성을 결정하는 Vuong 통계 값과 과분산계수 ${\alpha}$의 t 통계 값을 바탕으로 개발된 다양한 모형을 평가한 결과, 포아송, 음이항, ZIP 및 ZINB 회귀모형 중 ZINB 모형이 최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ZINB 모형은 t, ${\rho}$${\rho}^2$값 (0.63)의 관점에서 보면, 다른 모형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매우 의미 있는 모형으로 평가된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ZINB 모형의 사고 요인은 교통량, 진출입구 수 그리고 중앙분리대 길이로 분석된다. 교통량과 진출입구 수는 사고발생에 '+'요인, 그리고 중앙분리대 길이는 '-'요인으로 평가된다.

지역별 회전교차로 사고모형 개발 및 논의 (Development of Roundabout Accident Models by Region)

  • 손슬기;박병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67-74
    • /
    • 2018
  • PURPOSES : The goal of this study is the development of roundabout accident models for urban and non-urban areas. METHODS : This study perform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gional factors affecting accidents. Traffic accident data were collected for the period 2010~2014 from the TAAS data set of the Road Traffic Authority. To develop the roundabout accident models, the Poisson an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s were used. A total of 25 explanatory variables such as geometry, and traffic volume were used. RESULTS :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null hypotheses that the number of accidents is the same should be rejected. Second, three Poisson regression accident models, which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ho}^2$ of 0.154 and 0.385) were developed. Third, it was noted that although the common variable of the three models (models I~III) is the number of entry lanes, the specific variables are entry lane width, roundabout sign, number of circulatory roadways, splitter island, number of exit lanes, exit lane width, number of approach roads, and truck apron.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suggestive countermeasures for decreasing the number of roundabout accidents.